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초록 6
제1장 서론 9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9
제2절 연구문제 12
제3절 용어 정의 13
1. SNS 중독경향성 13
2. 자기노출 13
3. 외로움 13
제2장 이론적 배경 14
제1절 SNS 중독경향성 14
1. SNS의 개념 및 이용현황 14
2. SNS 중독경향성 17
제2절 자기노출 19
1. 자기노출의 개념 19
2. 자기노출과 SNS 중독경향성 21
제3절 외로움 23
1. 외로움의 개념 23
2. 자기노출과 외로움 26
3. 외로움과 SNS 중독경향성 28
제3장 연구 방법 31
제1절 연구 대상 31
제2절 측정도구 33
1. 자기노출 33
2. 외로움 33
3. SNS 중독경향성 척도 34
제3절 자료 분석 35
제4장 연구 결과 36
제1절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36
제2절 자기노출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외로움의 매개 효과 37
1. 자기노출과 SNS 집착 및 금단증상의 관계에서 외로움의 매개효과 37
2. 자기노출과 SNS 과잉소통과 몰입의 관계에서 외로움의 매개효과 38
3. 자기노출과 SNS를 위한 과도한 시간소비의 관계에서 외로움의 매개효과 40
제5장 논의 및 결론 42
참고문헌 46
ABSTRACT 62
부록 65
〈부록 1〉 설문지 65
그림 1. 자기노출과 SNS 과잉소통과 몰입의 관계에서 외로움의 매개효과 모형 39
그림 2. 자기노출과 SNS 과도한 소비시간의 관계에서 외로움의 매개효과 모형 4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노출, 외로움, SNS 중독경향성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대학생의 자기노출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외로움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남도 M시에 위치한 대학교에서 개설된 강좌 중 임의로 10개의 강좌를 선정한 후, 설문조사에 참여하기를 원하는 대학생 318명으로, 자기노출, SNS 중독경향성, 그리고 외로움에 대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총 330부가 배부되었고, 응답이 누락되었거나 불성실한 응답을 보인 12부를 제외한 총 318부의 설문지가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Jourard(1964)의 자기노출검사(Jourard Self-Disclosure Questionnaire: JSDQ)를 한병현(1996)이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번안하여 수정, 보완된 자기노출 척도, Russell, Peplau와 Ferguson(1978)이 만든 UCLA 척도를 Russell, Peplau와 Cutrona(1980)가 개정하고 김교헌과 김지환(1989)이 우리 실정에 맞게 번역하여 타당화한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RULS) 외로움 척도, SNS가 근본적으로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고 있고, SNS 중독도 인터넷 중독과 그 맥락을 같이한다(한국정보화진흥원, 2011)는 연구를 근거로, Young(1996)의 인터넷 중독진단 척도 8문항과 한국정보문화진흥원(2005)의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 검사 K척도 성인용 20문항을 수정, 보완한 후, 조성현과 서경현(2013)이 중독 전문가의 자문을 통해 9문항을 추가하여 최종 20문항으로 구성된 SNS 중독경향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연구대상자의 인구학적 배경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각 측정 도구의 신뢰도를 구하기 위해 Cronbach's α 신뢰계수를 산출하였다.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대학생의 자기노출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외로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Hayes(2013)가 제안한 SPSS Macro의 Model 4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매개변인의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부트스트랩 신뢰구간방법을 이용하여 반복 횟수 5,000번의 부트스트래핑을 통해 95% 신뢰구간에서 간접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 간 상관관계를 보면 대학생의 자기노출은 외로움과 유의한 정적 관계를, SNS 집착 및 금단증상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SNS 과잉소통과 몰입 그리고 SNS를 위한 과도한 시간소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외로움은 SNS 집착 및 금단증상, SNS 과잉소통과 몰입 그리고 SNS를 위한 과도한 시간소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자기노출과 SNS 집착 및 금단증상의 관계에서 외로움은 독립변인인 자기노출이 종속변인인 SNS 집착 및 금단증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아 외로움이 매개변인이 되기 위한 조건이 충족되지 않았다.
셋째, 자기노출과 SNS 과잉소통과 몰입의 관계에서 외로움은 부분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기노출이 SNS 과잉소통과 몰입의 관계에서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외로움을 매개로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쳤다.
넷째, 자기노출과 SNS를 위한 과도한 시간소비의 관계에서 외로움은 부분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기노출이 SNS를 위한 과도한 시간소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외로움을 매개로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생의 자기노출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경로뿐 아니라 외로움 등 다양한 매개효과를 고려하여 대학생의 SNS 과다사용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예방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보인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