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1장 서론 13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5
1.2. 연구의 방법 15
1.3. 연구의 흐름도 17
2장 어린이 박물관의 이론적 고찰 19
2.1. 어린이 박물관의 이해 21
2.1.1. 어린이 박물관의 배경 21
2.1.2. 어린이 박물관의 개념 23
2.1.3. 어린이 박물관의 목적 23
2.1.4. 어린이 박물관의 기능 25
2.2. 어린이 박물관 체험전시 공간의 이해 27
2.2.1. 어린이 박물관 체험전시의 개념 27
2.2.2. 어린이 박물관 체험전시의 특성 28
2.2.3. 어린이 박물관 체험전시의 유형 29
2.3. 소결 32
3장 어린이의 발달과 행태적 특성 33
3.1. 어린이 발달 특성 35
3.1.1. 어린이 발달 특성의 개념 35
3.1.2. 연령별 발달 단계 35
3.1.3. 어린이의 행태 특성 38
3.2. 어린이의 발달학적 특성 43
3.2.1. 어린이의 발달학적 특성 43
3.2.2. 어린이의 발달학적 특성과 놀이 형태 및 유형 48
3.2.3. 발달과 행태에 따른 어린이 박물관 디자인 요소 52
3.3. 소결 55
4장 사례분석 및 종합 57
4.1. 사례조사 대상범위 및 분석 방법 59
4.2. 사례분석 64
4.2.1. 경기도 어린이 박물관 64
4.2.2. 고양 어린이 박물관 66
4.2.3. 화성 어린이 문화센터 68
4.2.4. 인천 어린이 박물관 70
4.2.5. 국립 과천 과학관 72
4.2.6. 국립 어린이 과학관 74
4.2.7. Science Museum Oklahoma(오클라호마 과학박물관) 76
4.2.8. Children's Museum of Indianapolis(인디애나폴리스 어린이 박물관) 78
4.2.9. Children's Museum of Houston(휴스턴 어린이 박물관) 80
4.2.10. Boston Children's Museum(보스턴 어린이 박물관) 82
4.3. 공간별 분석 84
4.3.1. 전시공간 분석 84
4.3.2. 공용공간 분석 85
4.3.3. 서비스공간 분석 86
4.4. 분석의 종합 87
5장 어린이박물관 공간계획안 89
5.1. 계획의 방향 및 목적 91
5.2. 대상지 선정 및 분석 94
5.2.1. 대상지 선정 94
5.2.2. 대상지 현황분석 96
5.3. 공간 계획 97
5.3.1. 디자인 컨셉 97
5.3.2. 디자인 표현 98
5.3.3. 동선계획 및 공간 프로그램 103
5.3.4. 조닝 104
5.4. 공간 디자인 105
5.4.1. 평면 계획 105
5.4.2. 단면 계획 111
5.5. 투시도 113
5.6. 패널 121
6장 결론 123
참고문헌 127
English Abstract 129
〈그림 2-1〉 발달과 행태에 따른 공간적용 디자인요소 54
〈그림 5-1〉 BACKGROUND & PURPOSE 93
〈그림 5-2〉 SITE 95
〈그림 5-3〉 SITE ANALYSIS 96
〈그림 5-4〉 DESIGN CONCEPT 97
〈그림 5-5〉 EXPRESSION (신체발달) 98
〈그림 5-6〉 EXPRESSION (정서발달) 99
〈그림 5-7〉 EXPRESSION (인지발달) 100
〈그림 5-8〉 EXPRESSION (사회성발달) 101
〈그림 5-9〉 EXPRESSION 102
〈그림 5-10〉 CIRCULATION & SPACE PROGRAM 103
〈그림 5-11〉 ZONNING 104
〈그림 5-12〉 1F FLOOR PLAN 105
〈그림 5-13〉 2F FLOOR PLAN 107
〈그림 5-14〉 3F FLOOR PLAN 109
〈그림 5-15〉 입단면 투시도 111
〈그림 5-16〉 1F LOBBY 113
〈그림 5-17〉 2F LIBRARY 115
〈그림 5-18〉 2F EXHIBITION ZONE 117
〈그림 5-19〉 2F EXHIBITION ZONE 119
〈그림 5-20〉 전시 패널 121
현대 사회에서는 생활 수준과 문화 수준이 높아지고 있어 사회적, 문화적 기대치가 점점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여가 시간의 증대와 가족 중심의 생활 변화에 따라 문화 욕구와 가치가 높아졌다. 특히 핵가족화와 출생률 저하로 가족 내 아동의 영향력이 크게 상승되고 있다. 어린이들에게 다양한 체험과 교육 환경 제공이 우선시 되고 있으며 활동적이고 호기심 많은 어린이들을 위해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켜줄 시간과 장소도 필요로 하고 있다. 어린이 박물관의 기능과 역할도 많은 변화를 요구받는 이 시점에서, 어린이 행태 특성은 공간에서 디자인 요소와의 관계를 이해하고 특징을 파악하여 공간 구성을 하는데 필요한 요소로 적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어린이 박물관을 이용하는 이들이 전시나, 체험을 통해 놀이와 교육을 즐길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어린이 발달과 행태 특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국내외 다양한 사례에 어린이 발달과 행태 특성을 적용시켜 공간의 관계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어린이 박물관의 기능과 환경을 조사하고 어린이 행태 특성이 실내공간에 잘 활용이 되고 있는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결론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어린이 행동 특성이 어린이 박물관 각 공간마다 어떤 디자인 요소로 표현되었는지 국내외 사례 분석을 통해 어린이 박물관의 역할과 공간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