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2

1.1. 연구 목적 12

1.2. 연구 범위와 방법 12

II. 도예에서의 혼합 매체 13

2.1. 혼합 매체 시작과 전개 13

1) 혼합 매체의 탄생과 영역 확산 13

2.2. 현대도예의 혼합 매체 17

1) 현대도예 혼합 매체 활용 17

2) 현대도예의 물성 표현 20

III. 선행 작품 분석 27

3.1. 유기물 활용 방식 27

1) 질리언 론데스(Gillian Lowndes) 27

2) 조안 세라(Joan Serra Carbonés) 29

3.2. 무기물 활용 방식 31

1) 야스나가 마사오미(安永正臣, Yasunaga Masaomi) 31

2) 아네타 레겔(Aneta Regel) 33

IV. 연구 작품 분석 34

4.1. 연구 작품에 활용한 매체 34

1) 유기물과 무기물의 개념 및 특성 34

2) 활용 매체와 도자 매체의 연계성 35

4.2. 연구 작품에 표현된 혼합 매체 37

1) 유기물의 활용: 치자열매를 활용한 작품 분석 37

2) 무기물의 활용: 돌을 활용한 작품 분석 51

V. 결론 63

VI. 참고문헌 66

ABSTRACT 69

표목차

[표 1] 작품에 사용한 분홍색 유약 조합비 45

[표 2] 부풀어 오르는 유약 조합비 47

[표 3] 작품에 사용한 유약 조합비 49

그림목차

[그림 1] 파블로 피카소 (Pablo Picasso), 〈등의자가 있는 정물 Still Life with Chair Caning〉, 1912 15

[그림 2] 마르셀 뒤샹(Marcel Duchamp), 〈샘, Fountain〉, 1917 15

[그림 3] 야기 가즈오(八木一夫), 〈자무자씨의 산보, ザ厶ザ氏の散步〉, 1954 18

[그림 4] 피터 볼커스(Peter Voulkos), 〈Siguirilla〉, 1999 19

[그림 5] 짐 멜처트(Jim Melchert), 〈Changes〉, 1972 20

[그림 6] 코이에 료지(鯉江 良二), 〈Return to earth〉, 1990 23

[그림 7] 코이에 료지(鯉江 良二), 〈Chernobyl Series〉, 1989-1990 23

[그림 8] 니시다 준(西田潤), 〈Untitled〉, 2002 24

[그림 9] 니시다 준(西田潤), 〈Nought〉, 2003 24

[그림 10] 브래드 테일러(Brad Evan Taylor), 〈Compressed mass rolled〉, 2015 25

[그림 11] 브래드 테일러(Brad Evan Taylor), Pyroplastic Deformation Series, 〈Concentric Rift〉, 2015 25

[그림 12] 다시마 에츠코(田嶋悅子), 〈Cornucopia 04-Y'IV〉, 2004 26

[그림 13] 다시마 에츠코(田嶋悅子), 〈Record〉, 2017 26

[그림 14] 질리언 론데스(Gillian Lowndes), 〈Untitle〉, 1976 28

[그림 15] 질리언 론데스(Gillian Lowndes), 〈Scroll〉, 1995 28

[그림 16] 질리언 론데스(Gillian Lowndes), 〈Three Piece Hook Figure〉, 1991 28

[그림 17] 작품 제작 과정 29

[그림 18] 조안 세라(Joan Serra), 〈Spotlight〉, 2013 29

[그림 19] 조안 세라(Joan Serra), 〈ME-PM-B1B2-6〉, 2015 30

[그림 20] 조안 세라(Joan Serra), 〈ME-PP-D2B-2〉, 2015 30

[그림 21] 야스나가 마사오미(安永正臣), 〈熔ける器〉, 2019 31

[그림 22] 야스나가 마사오미(安永正臣), 전시전경, 2020 32

[그림 23] 아네타 레겔(Aneta Regel), 〈Container Orange〉, 2020 33

[그림 24] 아네타 레겔(Aneta Regel), 〈Minion〉, 2020 33

[그림 25] 꽈리 열매 38

[그림 26] 신승은 作, 꽈리를 활용한 작품 38

[그림 27] 천일홍 39

[그림 28] 신승은 作, 천일홍을 활용한 작품 39

[그림 29] 건조된 치자열매 및 단면 40

[그림 30] 열매 표면에 흙물을 입혀 집적 (비소성 상태) 40

[그림 31] 온도에 따른 열매 양상 좌: 700℃, 중앙: 800℃, 우: 900℃ 41

[그림 32] 신승은, 〈ReMain Plant I〉, 도자, 110x190㎜, 2021 43

[그림 33] 신승은, 〈ReMain Plant II〉, 도자, 250x320㎜, 2021 46

[그림 34] 신승은, 〈ReMain Plant III〉, 도자, 230x150㎜, 2021 48

[그림 35] 신승은, 〈ReMain Plant IV〉, 도자, 280x250㎜, 2022 50

[그림 36] 좌측: 잡석, 중앙: 화산석, 우측: 납석 53

[그림 37] 신승은, 〈ReMain Stone I〉, 잡석, 유약, 90x110x60㎜, 2021 54

[그림 38] 잡석의 색 변화, 좌: 소성 전, 우: 소성 후 55

[그림 39] 신승은, 〈ReMain Stone II〉, 잡석, 유약, 70x100x40㎜, 2021 56

[그림 40] 소성하기 전 돌 56

[그림 41] 온도에 따른 잡석 모습 좌: 소성 전, 중앙:1180℃, 우: 1245℃ 57

[그림 42] 신승은, 〈ReMain Stone III〉, 화산석, 유약, 40x50x85㎜, 2021 59

[그림 43] 신승은, 〈ReMain Stone IV〉, 납석, 자기질 점토, 안료, 260x100x75㎜, 2021 60

[그림 44] 좌: 작품에 사용한 납석, 우: 일반적인 백색 납석 61

[그림 45] 납석 소성 전후 차이 좌: 소성 전, 우: 1240℃ 61

초록보기

 급변하는 현대 사회 속에서 예술가들은 자신의 생각과 의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 다양한 전략을 구사한다. 새로운 매체를 찾고 나름의 방식으로 작품에 반영하는 것은 작가들의 주된 관심사이다. 그들의 진취적이고 실험적인 시도는 미술의 각 영역 간의 경계를 허물어뜨리며 새로운 방향으로 나아가게 하였다.

1950년대 이후 일본과 미국을 시작으로 현대도예에 일어난 새로운 움직임은 다양한 매체의 활용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전위적인 물성 표현 방식은 이전에 없던 도예의 내용과 형식이 등장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이와 같은 현대도예의 물성 활용 배경과 실험적 시도에 주목하여 새로운 매체를 활용한 조형에 대하여 탐구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유기물과 무기물을 활용하여 물성에 의한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발견하고 이를 조형화한 일련의 시도를 다룬다. 구체적으로는 작품의 형식과 내용보다 제작 프로세스와 결과 및 새로운 매체를 탐색하고 작품에 활용할 때 얻게 되는 시각적 효과에 주력하였다.

II장에서는 현대미술에서 혼합 매체(Mixed media)의 형성 배경과 개념을 현대도예의 등장배경과 함께 고찰하였고 다른 분야와 구별되는 도예 매체의 속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여러 작가의 실험적인 시도와 작품을 통하여 현대도예의 물성 표현 방식을 알아보았다.

III장에서는 불이라는 매개를 적극 도입한 도자예술의 특징을 고려하여 관련 작품을 살펴보았다. 작품에 활용하는 여러 매체 중 유기물과 무기물을 활용한 방식에 주목하여 이에 해당하는 4인의 현대도예가들의 작품을 제작 방법과 물성에 의한 표현 효과에 대하여 면밀히 분석하였다.

IV장에서는 연구 작품 제작 및 분석적 결과를 기술하였다. 작품에 사용된 매체의 세부 특징을 살펴보았고 제작 방식 및 소성에 의한 결과와 의미에 대해 분석하였다.

V장은 결론으로 활용 매체를 통해 구현된 작품의 특징과 시각적 효과에 대한 분석과 조형적 의미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도자예술의 다양한 물성 표현을 기반으로 현대도예의 매체에 대한 범위를 확장 할 수 있으며 이는 새로운 표현 수단으로써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