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논문개요

ABSTRACT

목차

제1장 서론 16

제1절 문제 제기와 연구목적 16

제2절 선행연구와 논문의 방향 17

제3절 연구방법 18

제4절 논문의 전개 19

제2장 도널드 맥가브란의 교회성장학 21

제1절 도널드 맥가브란(Donald Anderson McGavran) 21

1. 도널드 맥가브란의 출생 및 성장배경 21

2. 도널드 맥가브란에게 영향을 준 사람들 26

3. 도널드 맥가브란에게 영향을 받은 사람들 30

제2절 교회성장학 36

1. 교회성장의 정의 36

2. 교회성장의 성경적 근거 37

3. 교회성장 운동의 역사 39

4. 교회성장의 종류 45

5. 교회성장의 중요성 48

6. 교회성장학의 핵심 원리 49

제3장 교회성장학에 대한 평가 65

제1절 교회성장학의 핵심적 동기: 진정한 회심 66

1. 교회성장학의 회심에 대한 가치들 66

2. 교회성장학의 선교 원리에서 본 회심 71

제2절 교회성장학에 대한 논쟁 74

1. 종족운동에 대한 논쟁 74

2. 동질집단 원리에 대한 논쟁 75

3. 수용성 원리에 대한 논쟁 77

4. 제자화와 완전화에 대한 논쟁 78

제3절 교회성장학의 장점과 긍정적 줄기 79

가. 관계 강조 80

나. 수용성 검토 81

다. 문화적 토착화 81

라. 교회개척을 통한 방법 81

마. 동질성 소그룹의 활성화 82

제4절 교회성장학의 단점과 부정적 줄기 84

제4장 교회성장학과 선교적 교회론의 연결점 88

제1절 선교를 향한 하나님의 본성 89

제2절 교회의 성육신적 특성 90

제3절 집단회심의 가능성 94

제4절 자생적 교회 중심 96

제5절 문화의 접촉점 활용 99

제6절 교회성장학과 선교적 교회론의 밀레니얼 세대 전도를 위한 연결점 102

1. 성육신적 사역 102

2. 문화사역 105

제5장 교회성장학의 동질집단원리에서 본 밀레니얼 세대 109

제1절 밀레니얼 세대의 정의 110

제2절 밀레니얼 세대의 특징 112

1. 재미 추구 113

2. 인터넷과 유튜브 세대 113

3. 1인 1가구(One Person Household), 나 혼자 산다 114

4. 워라벨(Work and Life Balance: 일과 삶의 균형) 116

5. '나' 중심 117

6. 느슨한 연대 118

제3절 밀레니얼 세대의 가치관 119

1. 공정성 119

2. 효율성 119

3. 소확행(Small but Certain Happiness, 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 121

4. 외로움 123

5. 혼합적 가치 124

제6장 밀레니얼 세대인 대구대학교 불신 학생들의 회심 연구 127

제1절 톰 레이너(Thom S. Rainer)의 레이너 척도(Rainer Scale) 127

1. U5(Antagonistic)의 세계: 복음을 극도로 거부하며 적대적인 태도 129

2. U4(Resistant)의 세계: 복음을 거부하지만 적대적이지는 않음 130

3. U3(Neutral)의 세계: 뚜렷한 수용성을 보이지 않는 중립적 태도 130

4. U2(Friendly)의 세계: 복음과 교회에 열린 태도 131

5. U1(Very Friendly)의 세계: 복음에 매우 열려 있는 빌립보의 간수 132

제2절 황병배의 레이너 척도(Rainer Scale) 조사 사례 133

1. 소수의 적대자들 134

2. 준비된 불신자들 135

3. 관계전도 135

4. 다양한 소그룹 136

5. 지역교회의 총체적 선교(Holistic Mission) 137

6. 기독교인의 윤리의식과 모범적인 삶 137

정확 137

7. 다른 사람, 다른 전도 방법(전도의 다양성) 138

제3절 대구대학교 불신 학생들에 대한 레이너 척도(Rainer Scale) 조사 140

1. 대구대학교의 기독교적 유산 140

2. 대구대학교의 기독교 현황 141

3. 대구대학교 비그리스도인 학생에 대한 조사 142

제4절 관련 연구와의 비교 분석 158

제7장 대구대학교 학생들을 통해 본 밀레니얼 세대들의 회심 전망에 관한 교회성장학적 통찰 160

1. 수용성 전도 160

2. 생애 전환기(Transitional Periods) 전도 163

3. 관계전도, 친구전도 164

4. 여정 전도 166

5. 문화 전도 168

6. 교육 전도 170

7. 평신도를 통한 전도 171

8. 삶을 통한 전도 172

제8장 결론 174

제1절 요약 174

제2절 결론 178

제3절 제언 181

참고문헌 184

부록- 기독교 호감도에 대한 설문조사 192

표목차

표 1. 의존성과 독립성 관련 조사 98

표 2. 세대별 표 111

표 3. 2018년 상반기 대비 7-8월의 '퇴근'과 '취미' 연관어 추이 116

표 4. 관계의 가성비 121

표 5. 톰 레이너(Thom S. Rainer)의 레이너 척도(Rainer Scale) 127

표 6. 황병배의 레이너 척도 조사 134

표 7. 대구대학교 불신 학생들에 대한 레이너 척도(Rainer Scale) 조사 146

표 8. 가장 호감이 가는 종교 147

표 9. 기독교에 대한 마음의 열린 단계 147

표 10. 가족, 친척, 친구 중 교회를 다니는 사람 148

표 11. 교회를 다니는 가족, 친척, 친구에 대한 마음 148

표 12. 교회를 다니는 가족, 친척, 친구에 대한 마음(U1+U2/ U4+U5 비교) 149

표 13. 만약 나를 교회로 초대한다면 누가 초대해 주면 좋겠습니까? 149

표 14. 기독교인들의 윤리의식에 대해 150

표 15. 기독교의 사회적 영향에 대해 150

표 16. 기독교와 이단을 구분할 수 있는가에 대해 151

표 17. 공공장소에서 전도하는 것에 대해 151

표 18. 공공장소가 아닌 곳에서 개인적으로 전도하는 것에 대해 152

표 19. 당신은 신에게 기도해 본 적이 있습니까? 152

표 20. 어떤 부분을 두고 기도를 하였습니까? 153

표 21. 어린 시절 교회에 갔을 때의 추억 153

표 22. 어린 시절 교회에 갔을 때의 추억(U1+U2/ U4+U5 비교) 154

표 23. 성경에 대한 가치관 154

표 24. 동성애에 대한 가치관 155

표 25. 동성애에 대한 가치관(U1+U2/ U4+U5 비교) 155

표 26. 코로나 19와 이단으로 인한 종교에 대한 인식의 변화 156

표 27. 레이너 척도(Rainer Scale)를 통한 통계 비교표 158

표 28. 관계성에 따른 분류와 접근방식 163

표 29. 오스카 톰슨의 관계 중심 동심원 165

초록보기

 본 논문의 목적은 대구대학교 선교를 위한 효과적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최근 들어 대학선교는 중요한 갈림길에 서 있다. 학령인구감소가 그 대표적 이유이다. 대학수학능력시험에 원서를 낸 수험생이 대학 모집 인원보다 적은 사태가 일어나 대학마다 고심이다. 대학교에 입학하는 학생의 수가 적으면 자연스럽게 대학선교가 어려워질 수 있다. 코로나 19 상황을 거치며 종교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확산한 것도 이유가 된다. 또한 대학생이 되었지만, 시간적, 심적 여유가 없다. 학과 공부도 열심히 해야 하고 재정적인 이유로 아르바이트도 해야 하고 자기 계발도 해야 하며 이성 친구도 사귀고 싶어 한다. 무엇보다 취업 경쟁을 이겨내기 위해 시간적, 심적으로 바빠지기에 신앙생활과 대학선교에 소극적으로 된다. 이러한 대학선교의 분위기는 대구대학교도 예외가 될 수 없다.

따라서 대구대학교 복음화에 도움이 되고자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대구대학교의 선교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먼저, 도널드 맥가브란의 교회성장학을 집중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교회성장학은 1955년에서 1990년대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적으로 부흥을 맞이하였다. 1975년에 풀러 신학교 신학대학원에서 목회학박사 과정을 제공하여 1985년까지 1,150명 이상의 미국 목회자들이 교회성장학을 배웠다. 그리고 그들은 전 세계 선교 현장에 나아갔고 교회성장학은 전성기를 맞았다. 하지만 교회성장학에서 여러 부작용이 발생했고 교회성장이라는 말 자체가 들어가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분명한 사실은 맥가브란의 선교전략에는 사장 되어서는 안 되는 귀한 선교전략들이 있고 또 그 선교전략이 교회성장 운동에 많은 좋은 영향을 끼쳤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회성장학에서 주장하는 효과적인 선교 원리들을 언급할 것이고 교회성장학에 대한 오해에 대한 답을 맥가브란의 저서에서 찾아 근거를 제시할 것이다.

더불어 맥가브란의 교회성장 이론 중, 동질집단원리를 대구대학교 학생 전도와 연결할 것이다. 그리고 밀레니엄 세대와 결부시킬 것이다. 대학생들은 동질집단인 동시에 밀레니얼 세대이다. 우리는 한국교회의 미래를 위해 밀레니얼 세대 전도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밀레니얼 세대의 특징과 가치관을 연구할 것이고 밀레니얼 세대인 대구대학교 불신 학생들을 대상으로 기독교에 대한 마음의 열린 정도를 조사할 것이다. 이 조사를 위해 톰 레이너(Thom S. Rainer)의 레이너 척도(Rainer Scale)를 사용하여 조사 결과에 근거해 대구대학교 선교를 위한 교회성장학적 통찰을 제시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