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요약

Abstract

목차

I. 서론 12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3

1.1.1. 연구의 필요성 13

1.1.2. 연구의 목적 15

II. 이론적 배경 16

2.1. 교육용 게임의 정의 및 필요성 16

2.1.1. 교육용 게임의 정의 16

2.1.2. 게임 기반 교육에 관한 필요성 18

2.2. 교육용 게임의 교육적 요소 19

2.2.1. 구성주의 이론의 교육적 적용 19

2.2.2. 구성주의 인지발달이론의 교육용 게임요소 31

2.3.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의 정의와 필요성 38

2.3.1.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의 정의와 특징 38

2.3.2. 육성시뮬레이션 게임의 교육적 함의 40

III. 식물학습 교과서 분석 43

3.1. 식물학습 정의 43

3.1.1. 식물학습 교과서의 내용 44

3.1.2. 식물학습 교과의 학습목표 50

IV. 교육용 게임의 설계 및 구현 52

4.1. 교육용 게임의 설계 52

4.1.1. 교육용 게임의 개요 52

4.1.2. 교육용 게임의 설계 52

4.2. 교육용 게임의 설계 및 구현 54

4.2.1. 개발 및 구현환경 54

4.2.2. 교육용 게임의 실행 방법 및 구현 55

V. 결론 66

참고 문헌 68

표목차

[표1] 인지발달이론의 교육용 게임요소 32

[표2] 학습동기의 모형 37

[표3] 잎사귀의 명칭 및 모양새의 특징 45

[표4] 식물이 서식 할수있는 환경과 생김새 46

[표5] 강이나 연못에 사는 식물의 특징 49

[표6] 4학년 교과서 식물의 생활 학습 목표 51

[표7] 게임의 시놉시스 53

[표8] 프로그램 개발 환경 55

[표9] 교과서 분석을 통한 개발된 게임 목록 65

그림목차

[그림 1] 잎사귀의명칭 45

[그림 2] 잎사귀의모양 45

[그림 3] 강아지풀 46

[그림 4] 밤나무 46

[그림 5] 물수세미 46

[그림 6] 가래 46

[그림 7] 부들 46

[그림 8] 기둥선인장 46

[그림 9] 남극좀새풀 46

[그림 10] 북극이끼장구채 46

[그림 11] 꽃의 명칭 47

[그림 12] 강이나 연못에 사는 식물 48

[그림 13] 게임 플로우 차트 54

[그림 14] 타이틀 화면 56

[그림 15] 시작 화면 56

[그림 16] 게임 진행1 57

[그림 17] 게임 진행2 57

[그림 18] 결과 화면 58

[그림 19] 미니게임 선택 화면 59

[그림 20] 식물 이름 맞추기1 60

[그림 21] 식물 이름 맞추기2 60

[그림 22] 식물 이름 맞추기 결과 61

[그림 23] 서식지 게임1 62

[그림 24] 서식지 게임2 62

[그림 25] 서식지 게임 오답 63

[그림 26] 서식지 게임 정답 63

[그림 27] 식물 이름 맞추기 게임의 시작 코드 63

[그림 28] 식물 서식지 게임 코드 64

초록보기

초등학교 교과목에 식물학습을 통하여 우리 주변에 함께 있는 식물들을 관찰하므로써 자연에 소중함과 자연이 우리 사람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경험이 폭넓게 인식되어 기초적인 모습을 갖고 있다 대면 교육에서는 주로 행하여 온 수업 형태에서 벗어나 주입식 암기와 주입식 강의에서의 학습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서 학생들은 식물학습 교과목을 학습 하는데 있어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다양하게 극복하기 위해서 학생들이 스스로 재미있게 식물 관련 교과목에 식물의 모양새 식물의 생김새 식물의 변화하는 과정을 식물 게임을 통하여 시간과 공간에 제약없이 학습을 함으로써 대면 수업을 보조하고 비대면 수업을 준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식물에 대한 정보가 어떻게 되는지 알아가는 직접적인 체험이 절실히 필요하다. 따라서 식물에 교육적 내용과 식물 게임의 재미있는 부분을 결합하여 식물교육용 게임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교육용 게임의 설계는 학습과제 분석, 교수-학습자 전략 수립, 게임 시놉시스작성, 초등학교 식물학습에 게임소재를 선정, 하고 적절한 게임장르 및 시나리오 선정, 세부 스타일 작성 세부 중요한 설계순으로 .식물 게임으로 공부할 수 있다는 학생들에게는 새로운 지적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할 수 있었으나 식물학습으로 구현된 게임이 학생들의 만족할 만큼 기대치를 재미있지는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따라서 식물학습 교과목학습의 식물학습을 몇 개의 제한된 게임에 대해 학습이 이루어 졌다는 게 아쉬움이 남지만 식물학습을 게임으로 구현하여 경험하므로 전반적인 식물에 대한 이해와 학교 주변에 식물과 나무를 공부하는 목적의 중요성에 대해 깊이 있게 탐구하고 이해하게 되었다는 식물 교육적 효과가 나타났다.

향후 연구과제로서 본 논문에서 구현된 초등학교 식물 교육용 게임을 보완하여 식물학습에 적용되는 식물에 게임의 숫자를 늘여야 하겠고, 식물교육용 게임의 측면에서는 식물 게임이 식물학습에 대한 효과에 이론적인 식물 연구와 식물 게임을 개발하고 학교에서 적용 및 활용하는 실천적 연구가 더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