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Title Page
Contents
Abstract 10
Chapter One. Introduction 12
1.1. Background to the Study 12
1.2. Research Problem 18
1.3. Research Objectives 20
1.4. The Hypothesis of the Study 20
1.5.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21
1.6. Scope of the Research 22
1.7. Limitation of the Study 23
1.8. Plan of Study 24
1.9. Outline of the dissertation 24
1.10. Definition of Terms 25
Chapter Two. Literature Review 28
2.1. Theoretical Framework 28
2.1.1. Leader-Member Exchange (LMX) Theory 30
2.1.2. Public Service Motivation (PSM) Theory 32
2.2. Leadership 34
2.2.1. The Concept of Leadership 34
2.2.2. Leadership and Management 41
2.2.3. Leadership in Education 44
2.2.4. Leadership Styles 50
2.3. Commitment 62
2.3.1. The Concept of Commitment 62
2.3.2. Teacher Commitment 66
2.3.3. Three-Component Model of Commitment 70
2.4. Job Satisfaction 74
2.4.1. The Concept Job Satisfaction 75
2.4.2. Teacher Job Satisfaction 81
2.4.3. Models of Job Satisfaction 83
2.5. Empirical Evidence on Leadership Style and Job Satisfaction 87
2.6. Empirical Evidence on Leadership Style and Employee Commitment 93
2.7. Research Gaps 96
2.8 Conclusion 97
Chapter Three. Research Methodology 98
3.1. Pilot Study 98
3.2. Participants 99
3.3. Data Collection Procedures 100
3.4. Measures 101
3.4.1. Leader-Member Exchange 103
3.4.2. Public Service Motivation 104
3.4.3. Job Satisfaction 107
3.4.4. Organizational Commitment. 107
Chapter Four. Results 109
4.1. Overview 109
4.2. Statistical Analysis Techniques 109
4.3. Survey Results 110
4.3.1. Response Rate 110
4.3.2.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111
4.3.3. Descriptive Statistics 112
4.3.4. Reliability Test 113
4.3.5. Hypotheses Testing 113
4.3.6. Correlational Analysis 114
4.3.7.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LMX, PSM, TJS and TC 116
4.3.8.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121
Chapter Five. Conclusions 126
5.1. Overview 126
5.2. Discussion of Findings 126
5.3. Implication of the Study 133
5.4. Research Limitations 137
5.5. Recommendations 138
5.6. Conclusion 139
References 142
APPENDICES 186
APPENDIX A. Survey Instrument as Seen by Participants 186
APPENDIX B. VARIABLE MEASURING INSTRUMENT 188
Abstract In Korean 195
Figure 2.1. Educational Leadership At The Second Cycle Institutions. 46
Figure 2.2. Shows The Factors To Which The Commitment Of Teachers Contributes. 67
이 연구는 리더-구성원 교환 이록(LMX)과 공공 서비스 동기(PSM)가 가나의 고등학교에서 교사의 직업 만족도와 몰입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이 연구는 가나에서 가장 크고 인구가 많은 고등학교가 위치한 가나의 수도인 아크라에서 가르치고 있는 고등학교 교사들을 표본으로 시행되었다. LMX(Leader-Member Exchange), PSM(Public Service Motivation), 직무 만족도, 조직 몰입도를 측정하는 설문지를 200 명의 교사에게 배포했다. 이 연구는 LMX 와 PSM 이 직업 만족도와 조직 몰입도에 미치는 영향을 테스트하기 위해 상관 관계, T-test/ANOVA 및 다중 회귀를 사용했다.
분석 결과 LMX가 교사의 직업 만족도와 교사 몰입도에 긍정적이고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LMX 변인 중 LMX 3, LMX 5, LMX 6, LMX 7 이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LMX 3 는 교장이 교사의 잠재력을 인식하는 능력에, LMX 5 는 교장이 교사의 복지를 추구하는 능력에 영향을 미쳤다. LMX 6 는 교장에 대한 교사의 신뢰도에, LMX 7 는 교사와 교장 간의 업무 관계에 영향을 미쳤다. 이와 유사하게 LMX 변인 중 LMX 6 만이 교장에 대한 교사의 신뢰수준과 교사의 직무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PSM Comp 와 PSM SS 는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긍정적이고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SM 하위척도에서 PSM Compassion 과 PSM Public Interest 는 교사의 직무 몰입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가나 고등학교 교사의 직무 만족도와 교사 몰입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기존의 이해를 확장하는 근거를 마련해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공립 고등학교의 교장이 교사들로 하여금 공립 고등학교에 계속 참여하고 헌신하도록 유도할 때 교사들과 강력한 업무 관계 구축을 강조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