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中文摘要 10
第一章 绪论 12
1.1. 研究背景及研究目的 12
1.2. 研究综述 15
1.2.1. 有关中国阿尔泰语系诸民族民间文学的研究综述 15
1.2.2. 有关韩国民间文学的研究综述 21
1.3. 研究方法和范围 23
1.3.1. 研究方法 23
1.3.2. 研究范围 24
第二章 中韩鹰形象的来源以及演变过程 25
2.1. 中国鹰形象的来源以及演变过程 25
2.1.1. 鹰形象的来源 25
2.1.2. 鹰形象 的 演变过程 26
2.2. 韩国鹰形象的来源以及演变过程 31
2.2.1. 鹰形象的来源 31
2.2.2. 鹰形象的演变过程 34
第三章 中韩文学中鹰形象的具体体现 37
3.1. 中国文学中鹰形象的体现 37
3.1.1. 神话中的体现 37
3.1.2. 传说中的体现 43
3.1.3. 民间故事中的体现 48
3.1.4. 史诗, 诗歌等叙事文学中的体现 56
3.2. 韩国文学中鹰形象的体现 72
3.2.1. 民间故事中的体现 72
3.2.2. 散文作品中的体现 81
3.2.3. 诗歌作品中的体现 83
第四章 中韩文学中鹰形象所隐喻的文化意蕴 91
4.1. 中国文学中鹰形象文化意蕴 91
4.1.1. 萨满的创造者 91
4.1.2. 萨满的助手和守护神 92
4.1.3. 神奇能力的拟人化形象 93
4.1.4. 正义的英雄形象 94
4.2. 韩国文学中鹰形象文化意蕴 95
4.2.1. 象征灵魂的载体 95
4.2.2. 王位的象征 97
4.2.3. 贤者, 忠义的化身 98
4.3. 两国文学中的不同文化意蕴原因分析 98
第五章 结论 104
参考文献 108
국문요약 113
ABSTRACT 115
〈图 1〉 辽宁省文物考古研究院收藏的红山文化玉鹰 26
〈图 2〉 黑龙江省博物馆珍藏的 《骨雕鹰首》 28
〈图 3〉 内蒙古博物馆收藏的匈奴王金冠 28
〈图 4〉 吉林文物考古研究所收藏的金代春水玉-海青啄天鹅 29
〈图 5〉 高句丽古坟壁画中的 '三足乌' 32
〈图 6〉 早期的三灾符咒图样 33
〈图 7〉 现代三灾符咒图样 34
〈图 8〉 辽代的官印有鹰形 68
매는 맹금류의 일종으로 사냥 능력이 뛰어나고, 부리와 눈, 발톱이 사나워 조류의 왕으로 불린다. 날카로운 발톱과 부리로 공중에서 나는 새뿐만 아니라 토끼 등 지상 동물, 물 속의 물고기 등도 잡을 수 있다.
매는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러 우리의 문화, 생활과 밀접하다. 중국에서 매에 관한 문화는 원시사회의 토템 숭배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으며 매는 신의 화신이기도 하다. 조류 토템은 인류 토템 신앙의 원형으로 가장 널리 분포되고, 종류가 가장 많으며, 영향력이 가장 큰 토템 형태이다. 수 천년의 종교 의식속에서 매는 신비로운 색채로 부각되었으며 신성을 부여하게 되었다. 또한 고대 군사에서 매는 군신의 상징이기도 하였다. 한국 문화에서 매와 매사냥에 관하여 가장 일찍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서 기록된 바가 있으며, 기원 전후에 만주 동북지방에서 수렵생활을 하던 숙진족으로부터 고조선 시대에 보급된 것이다. 고조선의 부락시기에 매는 태양신의 상징이고 태양신이 인류에게 취지를 전달하는 신성한 존재이며 인류 영혼의 매개체이기도 하였다. 봉건왕조 시기에 이르러 매사냥의 문화는 점차 사람들의 생활과 밀접하게 되었고 매 형상 또한 인격화되어 점차 변화하기 시작하였으며 매는 왕위, 덕성이 높은 현자, 충의의 화신을 상징하였다.
매의 생존환경은 인류의 생활환경과 멀리 떨어져 인류에게 위협이 되지 않으며 먹이사슬에서도 인류와 경쟁 관계를 가지지 않는다. 또한 매의 수렵 능력이 뛰어나 매는 점차 인류에 의해 길들여져 사냥의 도우미가 되었으며 이 것이 바로 매사냥 문화의 초기 형태이다. 원시 시대에 인류의 주요 생존 방식은 어업과 수렵이었기에 매는 이 시기에 있어 없어서는 안될 보조자의 존재였다. 하지만 봉건사회에 들어서면서 매사냥 문화는 점차 왕권 귀족의 사치한 생활에서 놀이와 운동의 상징이 되었으며 점차 생존 방식과 연관성을 잃게 되었다.
따라서 본문은 중국과 한국의 문학에서 나타난 매 형상에 관한 비교를 통해 중한 양국이 매 형상을 부각함에 있어서의 표현 방식과 방법을 분석하여 양국의 문학작품에서 매 형상이 담고 있는 문화적 의미를 정리하였다. 중국 문학 작품에서 매 형상이 나타나고 있는 문화적 의미는 샤먼의 첫 창조자, 인류의 어머니 신, 인류 선조의 은인과 스승, 샤먼의 첫 메신저, 샤먼 영혼의 화신, 보호신 등의 형상이다. 그러나 한국문학 작품에서 매 형상이 나타나고 있는 문화적 의미는 영혼의 매개체, 왕위, 현자와 충의지사이다. 한중 양국의 매 형상이 서로 다른 문화적 의미를 나타내는 이유는 각국의 종교문화, 생활습관, 생산방식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