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1

1. 연구의 필요성 11

2. 연구목적 15

3. 연구가설 15

4. 용어의 정의 18

1) 신체조성 18

2) 악력 18

3) 배근력 19

4) 등속성 근기능 19

5) 무산소성 페달링 파워 20

6) 주기화 트레이닝 20

5. 연구의 제한점 22

II. 이론적 배경 23

1. 경륜의 역사 23

2. 경륜의 종류 24

1) 아마추어 경륜(대한 자전거 연맹) 25

2) 국민체육진흥공단 경주사업본부 경륜 25

3. 사이클 경기력 향상 요인 28

1) 단거리 28

2) 중·장거리 28

3)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경기력 향상 요인 29

4. 단거리(경륜)관련 측정변인 29

1) 신체조성 29

2) 악력 30

3) 배근력 30

4) 벤치프레스 근력 및 스쿼트 근력 31

5) 등속성 근기능 31

6) 윈게이트 테스트 32

5. 종목별 사이클 경기력 향상을 위한 근력 훈련 32

1) 트랙 종목을 위한 근력 트레이닝 프로그램 33

2) 도로선수를 위한 근력트레이닝 프로그램 35

6. 경륜경주력 향상을 위한 훈련 37

1) 단거리 훈련 38

2) 유·무산소성 지구력 훈련 38

3) 파워 및 스피드 지구력 훈련 39

4) 특수 스피드 훈련 39

5) 스프린트 훈련 39

6) 가속 트레이닝 훈련 40

8) 중·장거리 훈련 42

9) 유무산소성 지구력 훈련 42

10) 유산소성 지구력 및 특수 지구력 단계 42

11) 특수 지구력 단계 43

7. 단거리((경륜) 선수의 근육의 생화학적 특성 43

1) 웨이트 트레이닝과 스프린트 선수의 주행을 위한 근육 43

2) 스프린트 선수의 근섬유 형태 44

3) 단거리 종목의 에너지 대사 45

4) F-S Axis 45

5) 스타팅파워 47

6) 가속파워 47

8. 중장거리 선수의 근육의 생화학적 특성 47

1) 중거리 종목의 에너지 대사 47

2) 중거리 종목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생리학적 요인 48

9. 주기화 트레이닝 프로그램 48

10. 근력 트레이닝의 원칙 50

1) 관절 가동범위의 확보 50

2) 연결조직의 강화 51

3) 코어 근력의 강화 51

4) 고정근과 협동근의 강화 52

5) 다관절 움직임의 중요성 52

6) 근력 트레이닝의 주기화 53

7) 과부하 및 점증운동부하의 원칙 53

11. 근력 트레이닝의 주기화 54

1) 조직적응기 55

2) 근비대기 56

3) 최대근력향상기 56

4) 파워전환기 57

5) 지구력 전환 57

6) 파워유지기 58

7) 지구력유지기 58

8) 전이기 59

12. 주기화 근력트레이닝의 효과 60

13. 주기화 근력훈련이 경륜경주력에 미치는 효과 66

14. 테이퍼링 68

1) 테이퍼링의 정의 및 방법 68

2) 테이퍼링이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70

III. 연구방법 73

1. 연구대상 73

2. 연구절차 73

3. 실험설계 73

4. 측정장비 75

1) 신체조성 측정기 75

2) 악력 측정기 76

3) 배근력 측정기 77

4) 등속성 근기능 측정 장비 78

5) 윈게이트 시스템 79

5. 주기화 근력트레이닝의 적용 80

1) 주기화 근력트레이닝 프로그램 80

2) 주행훈련의 주기화프로그램 82

6. 측정방법 84

1) 신체 조성 84

2) 악력 84

3) 배근력 84

4) 등속성 근기능 85

5) 무산소성 페달링 파워 85

7. 통계처리 87

IV. 연구결과 88

1) 신체조성 88

2) 악력 및 배근력 88

3) 등속성 근기능 89

4) 무산소성 페달링 파워 91

V. 논의 93

1. 신체조성 93

2. 악력 및 배근력 94

3. 등속성 근기능 95

4. 무산소성 페달링 파워 98

VI. 결론 및 제언 101

1. 결론 101

2. 제언 103

참고문헌 105

Abstract 115

표목차

표 1. 주기화 주행 훈련 및 근력 훈련 프로그램(전체 주기 : 6개월) 49

표 2. 주기화 주행 훈련 및 근력 훈련 프로그램(전체 주기 : 6개월) 82

표 3. 신체조성 88

표 4. 악력 및 배근력 89

표 5. 등속성 근기능 89

표 6. 등속성 근기능(슬관절) 90

표 7. 등속성 근기능(슬관절) 90

표 8. 등속성 근기능(슬관절) 91

표 9. 윈게이트 무산소성 평균 페달링 파워(Peak Power) 91

표 10. 윈게이트 무산소성 평균 페달링 파워(Mean Power) 92

표 11. Fatigue index 92

그림목차

그림 1. 스프린트 훈련 40

그림 2. 스프린트 훈련 41

그림 3. 속근섬유의 동원과 파워생산 44

그림 4. F-S Axis 46

그림 5. 경륜 경기력을 위한 훈련요인 50

그림 6. 테이퍼링 종류 70

그림 7. 실험설계 74

그림 8. 신체조성 측정기 75

그림 9. 악력 측정기 76

그림 10. 배근력 측정기 77

그림 11. 등속성 근기능 측정기 78

그림 12. 윈게이트 시스템 측정기 79

초록보기

주기화(Peridization) 트레이닝 프로그램은 운동목표와 강도, 시간, 훈련량 등을 주기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목표로 가지는 최고의 경기력을 발현하기 위한 훈련계획이다. 이러한 주기화 트레이닝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경륜선수후보생 21명 대상으로 경륜 경기력 향상 요인으로 생각되는 변인(신체조성, 악력, 배근력, 등속성 근기능, 윈게이트 무산소성 페달링 파워)을 주기화 트레이닝을 전⋅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신체조성에서 체중은 사전 77.5±5.84kg, 사후 76.4±6.63kg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 되었다(p<.05). 둘째, 등속성 근기능의 Flexion Total Work Done 우측에서 180°/sec 각속도로 측정하였더니 사전 587±82.06%BW, 사후 607.6±86.15%BW는 통계적 유의성이 증가되었다(p<.05). 또한, 주기화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통해 통계적 유의성이 증가 되지는 않았지만 Flexion Peak Touque 180°/sec 좌측 사전 140.4±20.96%BW, 사후 222±35.49%BW(p<.067) 증가되는 경향이 발견되었으며, Flexion Total Work Done 180°/sec 좌측 사전 547.8±72.61%BW, 사후 570.3±83.98%BW(p<.08) 증가되는 경향이 발견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1~2명의 대상자가 추가된다면 충분히 유의한 증가가 관찰될 것으로 사료된다.

주기화 트레이닝을 통하여 감소된 결과는 신체조성에서 체질량지수 사전 25.3±1.53kg/m², 사후 24.9±1.8kg/m²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가 관찰되었으며(p<.01), 등속성 근기능에서 Extension Total Work Done 60°/sec 우측 사전 1014.3±140.14%BW, 사후 981.8±142.34%BW, 통계적으로 감소된 유의성이 관찰되었다(p<.05). 또한, 무산소성 페달링에서 평균파워는 주기화 트레이닝 진행 전 74.9±5.45kpm/sec, 진행 후 72.2±6.44kpm/sec,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1), 절대치는 훈련프로그램 진행 전 735±53.44watt, 진행 후 708.2±63.18watt,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가 관찰되었고(p<.01), 피로지수(Fatigue inedex) 진행 전 37.03±4.25%, 진행 후 40.32±5.9%,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1). 이러한 결과는 주기화 트레이닝 프로그램이 무산소성 페달링에 효과가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경륜선수후보생들의 주기화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통해 시즌 후반 효과를 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신체조성에서 향후 연구계획을 수립할 때 근력 훈련프로그램이 근육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고려하고, 악력 및 배근력은 하체 근력프로그램의 위주보다 상, 하체 밸런스 있는 프로그램 구성을 계획해야 한다고 사료된다. 등속성 근기능, 무산소성 페달링 파워는 평소에 사용하지 않은 장비에서 적응이 쉽지 않음을 뜻할 수 있으며 피험자의 사이클에서 직접 근력트레이닝의 효과를 검증할 수 있는 실험실 내에서의 조건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격적인 트레이닝 프로그램 적용 시점이 경륜선수들의 시즌 중 강한 근력 훈련이 적용되어 테이퍼링을 통해 근육의 글리코겐 재합성에 요구되는 시간 및 트레이닝을 통해 손상된 근육의 회복을 하여 근력의 기능을 최대화 시켜줘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효과를 적용하지 않아 지속적인 훈련누적으로 피로가 쌓이고 근력 트레이닝의 연속성과 집중성 결여로 근력 트레이닝에 긍정적인 효과를 찾지 못한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위 내용을 종합하여 여러 상황을 고려한 주기화 근력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계획하여 적용을 한다면 경륜후보생들의 경기력을 향상 시키는 유의미한 트레이닝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