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25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5

1) 연구의 목적 25

2) 연구의 필요성 26

2. 연구 내용 및 방법 27

1) 연구 내용 27

2) 연구 방법 28

3. 선행연구 고찰 29

II. 초현실주의와 신고전주의 음악 32

1. 시대적 배경 32

2. 초현실주의와 신고전주의 33

III. 프랑스 6인조 (Groupe des Six) 36

1. 시대적 배경 36

1) 에릭 사티(Erik Satie)가 신고전주의와 프랑스 6인조에 끼친 영향 36

2) 장 콕토(Jean Cocteau)와 프랑스 6인조의 결성 37

2. 프랑스 6인조 38

1) 조르주 오리크(Georges Auric, 1899-1983) 38

2) 루이 뒤레(Louis Duray, 1888-1979) 38

3) 아르투르 오네게르(Arthur Honegger, 1892-1955) 39

4) 다리우스 미요(Darius Milhaud, 1892-1974) 39

5) 제르맨 타이페르 19) (Germaine Tailleferre, 1892-1983) 40

6) 풀랑크와 프랑스 6인조의 활동 40

IV. 풀랑크의 생애 및 창작 42

1. 풀랑크의 생애 42

2. 창작시기의 구분 45

1) 1기(1917-1922)-야수파(Fauvism) 시기 45

2) 2기(1923-1935)-신고전주의(Neo Classicism) 시기 46

3) 3기(1936-1952)-낭만주의(Romanticism) 시기 46

4) 4기(1953-1963)-종교음악에의 몰두 시기 47

3. 풀랑크 가곡의 특징 47

1) 형식 48

2) 조성 48

3) 선율 51

4) 리듬과 변박 52

5) 다이내믹 53

6) 반주 54

V. 화가의 작업 『Le Travail du Peintre』 분석 56

1. 창작 배경 56

1) 풀랑크와 모니에(Adrienne Monier)의 서점. 56

2) 폴 엘뤼아르(Paul Éluard, 1895-1952)와의 만남 56

3) 연가곡 『화가의 작업(Le Travail du Peintre)』 58

2. 각 곡의 분석 60

1) 제1곡 「파블로 피카소(Pablo Picasso)」 60

2) 제2곡 「마크 샤갈(Marc Chagall)」 81

3) 제3곡 「조르주 브라크(Georges Braque)」 108

4) 제4곡 「후안 그리스(Juan Gris)」 128

5) 제5곡 「파울 클레(Paul Klee)」 148

6) 제6곡 「호안 미로 (Joan Miró)」 166

7) 제7곡 「자크 비용(Jacques Villon)」 188

VI. 『화가의 작업(Le Travaildu Peintre)』 과 초현실주의의 시와 회화의 연결 213

1. 잦은 전조에서도 조성이 드러나는 지속음 사용 213

2. 곡 내의 템포 변화보다 잦은 박자 변화 사용 216

3. 반복 기법의 사용과 화가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지시어 221

4. 화가를 묘사하는 선율과 화음 224

5. 풀랑크와 화가의 친분에 따라 구성한 곡의 순서 230

VII. 결론 232

참고문헌 236

ABSTRACT 241

표목차

〈표 1〉 「파블로 피카소(Pablo Picasso)」 시의 내용 62

〈표 2〉 「파블로 피카소」 형식 64

〈표 3〉 「마크 샤갈」 시의 내용 82

〈표 4〉 「마크 샤갈」의 형식 84

〈표 5〉 「조르주 브라크(Georges Braque)」의 시의 내용 110

〈표 6〉 「조르주 브라크(Georges Braque)」의 형식 112

〈표 7〉 「후안 그리스」 시의 내용 130

〈표 8〉 「후안 그리스」 형식 132

〈표 9〉 「파울 클레」 시의 내용 151

〈표 10〉 「파울 클레」 형식 153

〈표 11〉 「호안 미로」의 시의 내용 167

〈표 12〉 「호안 미로」의 형식 169

〈표 13〉 「자크 비용」의 시의 내용 190

〈표 14〉 「자크 비용」 형식 192

그림목차

〈그림 1〉 위의 시에 대한 피카소의 그림 「La bouteille de vin(와인병), 1926」 63

〈그림 2〉 위의 시에 대한 피카소의 그림 「Jeune Fille Devant un Miroir(거울 앞 소녀) 1923」 63

〈그림 3〉 위의 시에 대한 샤갈의 그림 「Les Mariée de la Tour Eiffel (에펠탑의 신랑 신부) 1938」 83

〈그림 4〉 위의 시에 대한 샤갈의 그림 「Moi et le Village (나와 마을) 1911」 83

〈그림 5〉 위의 시에 대한 조르주 브라크의 그림 「Deux Oiseaux(두 마리의 새) 1953」 111

〈그림 6〉 위의 시에 대한 조르주 브라크의 그림 「Le Nid Dans le Feuillage(나뭇잎 안의 둥지), 1958」 111

〈그림 7〉 위의 시에 대한 그리스의 그림 「Portrait de Madame Josette Gros(조제트 그리스의 초상) 1916」 131

〈그림 8〉 위의 시에 대한 그리스의 그림 「Arlequin à la Guitare(기타를 연주하는 아를르캥) 1919」 131

〈그림 9〉 위의 시에 대한 파울 클레의 그림 「Fugue en Rouge(빨간색의 푸가) 1921」 152

〈그림 10〉 위의 시에 대한 파울 클레의 그림 「Remembrance Sheet of a Conception(잉태의 기억조각) 1918」 152

〈그림 11〉 위 시에 대한 호안 미로의 그림 「La Bouteille de Vin(와인병) 1924」 168

〈그림 12〉 위 시에 대한 호안 미로의 그림 「Le Chant du Rossignol à Minuit et la Pluie Matinale(밤과 비 오는... 168

〈그림 13〉 위의 시에 대한 자크 비용의 그림 「Le Cirque(서커스) 1933」 191

〈그림 14〉 위의 시에 대한 자크 비용의 그림 「A Quatre Mains(네 개의 손을 위하여)」 191

악보목차

〈악보 1〉 「파블로 피카소」 - 으뜸음을 유지함으로써 조성의 느낌을 강조.1-8마디 49

〈악보 2〉 「자크 비용」 근친조가 아닌 먼 조로의 전조. 23-28마디 50

〈악보 3〉 「강렬하고 야성적인 힘찬 모습」 빠르기로 야성적인 모습을 표현하고, 다이내믹으로 한층 강조.1-2마디 51

〈악보 4〉 「자크 비용」 리듬형- 간결한 리듬형.29-32마디 52

〈악보 5〉 「조르주 브라크」 지시어의 상세한 표현.37-41마디 53

〈악보 6〉 「아침에 나뭇가지들이」 복잡한 반주부, 전주 1-4마디 54

〈악보 7〉 제1곡 「파블로 피카소」 a,b,c,d 부분의 시작하는 단어를 기준으로 나눈 형식.4-28마디 65

〈악보 8〉 제1곡 「파블로 피카소」 피카소의 성격을 묘사.4-28마디 67

〈악보 9〉 제1곡 「파블로 피카소」 의문사 'pourquoi'의 각 음역에서의 사용과 클라이막스. 29-50마디 69

〈악보 10〉 제1곡 「파블로 피카소」 피카소의 강인함을 표현. 29-50마디 70

〈악보 11〉 제1곡 「파블로 피카소」반주부와 성악의 같은 진행. 1-11 마디 71

〈악보 12〉 제1곡 「파블로 피카소」 A♭음 중심의 전개. 17-21마디 72

〈악보 13〉 제1곡 「파블로 피카소」 C음의 반복과 반진행. 28-31마디 73

〈악보 14〉 제1곡 「파블로 피카소」 조성감의 확립.1-4마디 74

〈악보 15〉 제1곡 「파블로 피카소」 전조의 암시. 9-13마디 75

〈악보 16〉 제1곡 「파블로 피카소」 이명동음 전조와 폴리코드. 14-17마디 76

〈악보 17〉 제1곡 「파블로 피카소」 자주 등장하는 변화화음, 그러나 조성감은 유지. 22-27마디 76

〈악보 18〉 제1곡 「파블로 피카소」 베이스의 지속음, 후주와 전주의 통일감. 40-50마디 77

〈악보 19〉 제1곡 「파블로 피카소」 행과 일치되지 않는 악구. 4-28마디 79

〈악보 20〉 제2곡 「마크 샤갈」 실라빅 형태. 13-20마디 86

〈악보 21〉 제2곡 「마크 샤갈」 단조로움을 피하는 불규칙성. 13-26마디 86

〈악보 22〉 제2곡 「마크 샤갈」 쉼표의 사용과 실라빅. 45-52마디 87

〈악보 23〉 제2곡 「마크 샤갈」 couple 과 premier의 강조. 54-55마디 87

〈악보 24〉 제2곡 「마크 샤갈」 비현실적인 상상의 표현. 63-66마디 88

〈악보 25〉 제2곡 「마크 샤갈」 갑작스런 두잇단음표. 67-76마디 88

〈악보 26〉 제2곡 「마크 샤갈」 1-4마디 89

〈악보 27〉 제2곡 「마크 샤갈」 악보 26의 첫 부분과 같은 리듬. 33-36, 53-56마디 90

〈악보 28〉 제2곡 「마크 샤갈」 전주의 변형, 전주 3마디의 같은 음형(마디 15).13-16마디 91

〈악보 29〉 제2곡 「마크 샤갈」 하늘을 떠다니는 주제. 5-8, 17-20마디 92

〈악보 30〉 제2곡 「마크 샤갈」 극적인 도약과 선율의 하행진행. 53-55마디 93

〈악보 31〉 제2곡 「마크 샤갈」 신비로운 이미지. 65-70마디 94

〈악보 32〉 제2곡 「마크 샤갈」 달빛의 고요한 이미지. 77-81마디 95

〈악보 33〉 제2곡 「마크 샤갈」 e♭ 단조의 조성 중심. 1-13마디 96

〈악보 34〉 제2곡 「마크 샤갈」 세온음 진행. 1-4마디 97

〈악보 35〉 제2곡 「마크 샤갈」 4도 화음진행과 4,5도의 음정 후 7화음. 9-17마디 98

〈악보 36〉 제2곡 「마크 샤갈」 갑작스런 a♭ 음의 등장. 22-26마디 99

〈악보 37〉 제2곡 「마크 샤갈」 악구의 선율진행과 이명동음의 증 6화음의 사용. 29-32마디 100

〈악보 38〉 제2곡 「마크 샤갈」 G 장조로의 전조. 32-36마디 101

〈악보 39〉 제2곡 「마크 샤갈」 e단조에서 b단조로의 전조. 37-44마디 102

〈악보 40〉 제2곡 「마크 샤갈」 f#단조로의 예고. 45-52마디 103

〈악보 41〉 제2곡 「마크 샤갈」 A"부분- F#장조의 장화음. 53-58마디 104

〈악보 42〉 제2곡 「마크 샤갈」 D부분 조성과 화음- 장3화음을 사용한 신비로운 분위기 조성. 67-76마디 105

〈악보 43〉 제3곡 「조르주 브라크」 B♭ 음으로 시작함으로 새의 묘사에 집중. 1-13마디 113

〈악보 44〉 제3곡 「조르주 브라크」 'toute'와 'oui'의 강조. 10-27마디 114

〈악보 45〉 제3곡 「조르주 브라크」 정확히 명시한 지시어. 24-41마디 115

〈악보 46〉 제3곡 「조르주 브라크」 지시어와 꾸밈음. 1-4마디 116

〈악보 47〉 제3곡 「조르주 브라크」 A부분두 마디 단위의 반복과 간주부. 1-13마디 118

〈악보 48〉 제3곡 「조르주 브라크」 불규칙한 프레이즈. 14-20마디 119

〈악보 49〉 제3곡 「조르주 브라크」 2:3 형태의 진행과 오스티나토 베이스형, 반복의 또 다른 형태. 25-31마디 121

〈악보 50〉 제3곡 「조르주 브라크」 전조의 순서 (E♭ - B♭ - E♭ -g(반종지로 마침)), 딸림음의 강조. 1-13마디 123

〈악보 51〉 제3곡 「조르주 브라크」 전조 gm- B♭M-d♭m.14-23마디 124

〈악보 52〉 제3곡 「조르주 브라크」 D♭-b♭-d♭로의 전조. 25-33마디 125

〈악보 53〉 제3곡 「조르주 브라크」 D♭ 지속음과 d♭ 조로 마무리. 37-41마디 126

〈악보 54〉 제4곡 「후안 그리스」 시작부분의 리듬. 1-5마디 133

〈악보 55〉 제4곡 「후안 그리스」 친밀한 대상의 결합 표현. 6-17마디 134

〈악보 56〉 제4곡 「후안 그리스」 구조의 통일성. 1-5마디와 27-36마디 135

〈악보 57〉 제4곡 「후안 그리스」 성악성부의 순차진행에 반하는 피아노의 넓은 아르페지오와 페달. 1-8마디 136

〈악보 58〉 제4곡 「후안 그리스」 강해지는 다이내믹. 6-14마디 137

〈악보 59〉 제4곡 「후안 그리스」 B부분의 전반적인 진행, 비슷한 가사와 선율. 15-26마디 139

〈악보 60〉 제4곡 「후안 그리스」 페달의 강조. 27-29마디 140

〈악보 61〉 제4곡 「후안 그리스」 통일성의 강조. 33-36마디 140

〈악보 62〉 제4곡 「후안 그리스」 에올리안 느낌의 조성. 1-6마디 141

〈악보 63〉 제4곡 「후안 그리스」 전조의 여러 가능성. 9-15마디 142

〈악보 64〉 제4곡 「후안 그리스」 f-a 조로의 전조. 16-27마디 144

〈악보 65〉 제4곡 「후안 그리스」 c#단조로의 전조. 27-29마디 145

〈악보 66〉 제4곡 「후안 그리스」 시어의 유사성. 1-3마디와 28-30마디 146

〈악보 67〉 제4곡 「후안 그리스」 시어의 유사. 16-18마디와 22-24마디 146

〈악보 68〉 제5곡 「파울 클레」 각운을 맞춘 리듬. 7-12마디 154

〈악보 69〉 제5곡 「파울 클레」 12마디의 악구, 내용에 따른 전개. 27-36마디 155

〈악보 70〉 제5곡 「파울 클레」 눈물을 강조한 표현. 37-49마디 155

〈악보 71〉 제5곡 「파울 클레」 전주부의 3개 악구. 1-9마디 156

〈악보 72〉 제5곡 「파울 클레」 통일된 조성감. 24-25마디,48-49마디 157

〈악보 73〉 제5곡 「파울 클레」 레가토로 부드러움 강조. 17-22마디 158

〈악보 74〉 제5곡 「파울 클레」 종지의 통일성. 19-27마디, 48-52마디 159

〈악보 75〉 제5곡 「파울 클레」 반복과 통일감. 1-6마디 160

〈악보 76〉 제2곡 「마크샤갈」 세온음 진행. 1-2마디 161

〈악보 77〉 제5곡 「파울 클레」 불안정한 화음의 빈번한 사용의 효과와 세온음. 15-25마디 162

〈악보 78〉 제5곡 「파울 클레」 잦은 전조에도 불구하고 조성의 통일감 부여 27-52마디 164

〈악보 79〉 제6곡 「호안 미로」 대립하는 시어의 표현. 6-10마디 170

〈악보 80〉 제6곡 「호안 미로」 시어에 걸맞는 지시어 사용. 13-20마디 171

〈악보 81〉 제6곡 「호안 미로」 비슷한 리듬의 통일감. 22-32마디 172

〈악보 82〉 제6곡 「호안 미로」 다른 음절수의 시어에 마디를 맞추기 위한 변박의 사용과 중요 단어의 표현. 33-39 마디 173

〈악보 83〉 제6곡 「호안 미로」 노래 성부와 피아노 반주의 진행방법. 1-9마디 174

〈악보 84〉 제6곡 「호안 미로」 피아노와 성악의 유니즌, 잦은 변박. 10-12마디 175

〈악보 85〉 제6곡 「호안 미로」 반주부 페달의 지시어로 몽환적인 분위기 조성. 22-25마디 176

〈악보 86〉 제6곡 「호안 미로」 본래 템포로의 회귀와 음의 강조. 32-38마디 177

〈악보 87〉 제6곡 「호안 미로」 모티브를 구성하는 세 개의 음과 장7화음. 1-9마디 179

〈악보 88〉 제6곡 「호안 미로」 이명동음 전조와 폴리코드. 10-12마디 180

〈악보 89〉 제6곡 「호안 미로」 시어에 맞춘 급격한 전조. 13-19마디 181

〈악보 90〉 제6곡 「호안 미로」 페달을 이용한 몽환적인 표현. 22-26마디 182

〈악보 91〉 제6곡 「호안 미로」 지속음의 사용과 절정을 위한 전조. 27-31마디 183

〈악보 92〉 제6곡 「호안 미로」 '나'의 생각을 표출하기 위한 으뜸음의 지속사용, 작아지는 다이내믹. 32-38마디 185

〈악보 93〉 제6곡 「호안 미로」 작지만 강한 끝맺음. 39-43마디 186

〈악보 94〉 제7곡 「자크 비용」 목숨의 중요성을 강조. 3-4마디 193

〈악보 95〉 제7곡 「자크 비용」 같은 음절, 같은 선율. 5-11마디 194

〈악보 96〉 제7곡 「자크 비용」 특정 음의 진행과 반복, 음의 진행 방향. 12-19마디 195

〈악보 97〉 제7곡 「자크 비용」 이명동음이지만 같은 실음, 긍정적인 시어를 위한 표현. 24-28마디 196

〈악보 98〉 제7곡 「자크 비용」 약박으로 시작하는 16행, 긍정적인 시어를 위한 변화. 29-34마디 197

〈악보 99〉 제7곡 「자크 비용」 시어를 강조하는 긴 음가. 35-38마디 197

〈악보 100〉 제1곡 「파블로 피카소」 비슷한 유형의 첫곡. 1-4마디 198

〈악보 101〉 제7곡 「자크 비용」 첫 곡과의 유사성. 1-3마디 198

〈악보 102〉 제7곡 「자크 비용」 단7도 하행도약, 4도 도약, 베이스의 지속음. 3-11마디 200

〈악보 103〉 제7곡 「자크 비용」 긴장감의 고조. 12-19마디 201

〈악보 104〉 제7곡 「자크 비용」 부각되는 피아노 성부, 단어의 강조. 20-28마디 202

〈악보 105〉 제7곡 「자크 비용」 안정된 도약, 희망적인 표현. 29-38마디- 204

〈악보 106〉 제7곡 「자크 비용」 3음의 결여로 모호한 조성. 1-2마디 205

〈악보 107〉 제7 곡 「자크 비용」 같은 리듬이지만 조성으로 준 변화(같은 으뜸음조). 1-12마디 206

〈악보 108〉 제7곡 「자크 비용」 급격한 전조. 10-18마디 207

〈악보 109〉 제7곡 「자크 비용」 세온음. 모호한 조성과 긍정적인 시어들의 표현. 19-28마디 209

〈악보 110〉 제7곡 「자크 비용」 A'부분 b'와 후주 조성과 화음- 베이스의 평화로운 지속음과 노래 부분의 가온음으로 끝을 맺는 독특한 끝맺음 211

〈악보 111〉 제7곡 「자크 비용」 주체가 바뀜에 따른 조성의 변화. 23-30마디 214

〈악보 112〉 제6곡 「호안 미로」 지속음의 사용으로 조성감 확립. 32-38마디 215

〈악보 113〉 제4곡 「후안 그리스」 먼 조로의 전조 9-15마디 216

〈악보 114〉 제1곡 「파블로 피카소」 대칭 박자 1-4, 18-27마디 217

〈악보 115〉 제3곡 「조르주 브라크」 대칭 박자 1-3, 10-13, 37-41마디 218

〈악보 116〉 제4곡 「후안 그리스」 대칭 박자 1-3, 10-13, 37-41마디 219

〈악보 117〉 제5곡 「파울 클레스」 대칭 박자 1-5, 19-27마디 220

〈악보 118〉 제7곡 「자크 비용」 대칭 박자 1-6, 31-36마디 221

〈악보 119〉 제3곡 「조르주 브라크」 반복 1-13마디 222

〈악보 120〉 제1곡 「파블로 피카소」 1-4마디, 제7곡 「자크 비용」 1-3 지시어와 다이내믹, 박자의 통일 223

〈악보 121〉 제1곡 「파블로 피카소」 4-28마디 224

〈악보 122〉 제1곡 「파블로 피카소」 40-50마디 225

〈악보 123〉 제2곡 마크 샤갈 가벼운 느낌과 세온음. 1-8마디 225

〈악보 124〉 제3곡 「조르주 브라크」 34-41마디 226

〈악보 125〉 제3곡 「조르주 브라크」 1-13마디 227

〈악보 126〉 제4곡 「후안 그리스」 1-8마디 228

〈악보 127〉 제5곡 「파울 클레」 15-23마디 229

〈악보 128〉 제7곡 「자크 비용」 7도 도약 3-6마디 230

초록보기

19세기와 20세기 유럽을 휩쓴 산업혁명은 자본주의의 발달과 제국주의의 붕괴, 그리고 세계 1차 대전과 2차 대전을 거치면서 많은 변화가 있었다. 이러한 변화는 프랑스에서 사회, 정치뿐만 아니라 문화 예술계에까지 미쳤는데, 그 기류를 타고 나타난 것들이 기존의 낭만주의를 탈피하고 고전으로 돌아가자는 주장을 펼친 신고전주의와 미술의 초현실주의다.

신고전주의는 프랑스를 중심으로 나타난 예술 운동으로 고전으로의 회귀를 주장하며 합리주의적인 미학을 추구한다. 초현실주의는 20세기 초, 프랑스에서 일어났으며 대상을 기하학적인 형태로 분해하고 작가의 주관으로 재구성해서 여러 각도에서 본 물체를 평면적으로 표현을 하는 것이다.

풀랑크는 그 시기에 활동한 프랑스의 작곡가로 프랑스 6인조(Les Six)의 일원으로 활동하였고, 그의 음악은 지나치게 감상적이었던 낭만주의의 음악을 거부하고 간결한 고전 시대와 바로크 음악으로의 회귀를 표방한다. 그는 아마추어 시인으로도 활동했고, 미술에도 열정을 갖고 있어 엘뤼아르와 같이 당대 교류하던 시인들과 많은 공동작업을 하였다.

『화가의 작업(Le travail du peintre』은 이런 공동작업으로 당대의 시인이었던 폴 엘뤼아르(Paul Eluard)가 당대 화가의 그림을 묘사한 시를 주제로 하여 총 7개의 그림과 시에 음악을 입힌 성악 연가곡이다. 이 곡에 등장하는 화가들은 큐비즘(Cubism)-6인, 초현실주의(Surrealism)-1인의 화가들로 엘뤼아르는 그들의 미술작품을 시로 표현할 때 생생한 색채를 표현한다거나 그림의 표정과 행동들을 자세히 묘사하고 있다. 풀랑크의 이 작품은 초현실주의의 미술을 묘사한 엘뤼아르의 시에 신고전주의 음악을 지향하는 풀랑크의 음악을 입혔고 풀랑크는 리듬과 화성, 반주부의 페달 주법과 아르페지오, 레가토 주법 등을 통해 그의 독특한 음악을 드러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