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12

1. 서론 16

1.1. 연구의 목적 및 배경 16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8

2. 중국 전통 휘파 건축과 마두벽에 대한 고찰 22

2.1. 중국 전통 휘파 건축 22

2.1.1. 휘파 건축의 정의 22

2.1.2. 휘파 건축의 발전 과정 23

2.1.3. 휘파 건축의 종류 28

2.1.4. 휘파 건축의 특성 36

2.2. 중국 전통 휘파 건축의 마두벽 45

2.2.1. 마두벽의 정의 45

2.2.2. 마두벽의 종류 46

2.2.3. 마두벽의 기능 51

2.2.4. 마두벽의 특성 57

3. 선행 작가 연구 63

3.1. 베이위밍(贝聿铭 Ieoh Ming Pei, 1917-2019) 64

3.2. 왕수지(王受之 Wang ShouZhi, 1946-) 68

3.3. 한스 웨그너(Hans J. Wegner, 1914–2007) 71

4. 연구 작품의 분석과 제작과정 79

4.1. 연구 작품의 배경 및 주요 개념 79

4.1.1. 작품의 배경 79

4.1.2. 주요 개념 82

4.2. 연구 작품의 통합적 분석 84

4.2.1. 연구 작품의 재료 분석 84

4.2.2. 연구 작품의 공예 분석 87

4.2.3. 연구 작품의 조형 요소 분석 94

4.3. 연구 작품의 개별적 분석 97

4.3.1. 인상Ⅰ-테이블 98

4.3.2. 인상Ⅱ-의자 100

4.3.3. 인상Ⅲ-벤치 102

4.3.4. 인상Ⅳ-조명 104

4.3.5. 인상Ⅴ-수납장 106

4.3.6. 인상Ⅵ-티 테이블 108

4.3.7. 인상Ⅶ-스툴 109

4.4. 연구 작품 제작과정 및 도면 110

4.4.1. 인상Ⅰ-테이블 110

4.4.2. 인상Ⅱ-의자 114

4.4.3. 인상Ⅲ-벤치 118

4.4.4. 인상Ⅳ-조명 122

4.4.5. 인상Ⅴ-수납장 126

4.4.6. 인상Ⅵ-티 테이블 130

4.4.7. 인상Ⅶ-스툴 134

5. 결론 140

참고문헌 144

ABSTRACT 149

표목차

〈표 1〉 연구 체계도 21

〈표 2〉 문루(門樓)의 분류 31

〈표 3〉 휘파 건축 중 마두벽의 분류 51

〈표 4〉 마두벽 층수의 분류 58

〈표 5〉 북미흑호두목의 결 분류 86

〈표 6〉 순묘(榫卯)의 분류 88

〈표 7〉 마두벽 요소의 선형 변환 과정 96

〈표 8〉 인상Ⅰ-테이블의 작품진행과정 110

〈표 9〉 인상Ⅱ-의자의 작품 진행과정 114

〈표 10〉 인상Ⅲ-벤치의 작품 진행과정 118

〈표 11〉 인상Ⅳ-조명의 작품 진행과정 122

〈표 12〉 인상Ⅴ-수납장의 작품 진행과정 126

〈표 13〉 인상Ⅵ-티 테이블의 작품 진행과정 130

〈표 14〉 인상Ⅶ-스툴의 작품 진행과정 134

그림목차

(그림 1) 고휘주 (古徽州) 지도 22

(그림 2) Hongcun Village의 부분 (명나라와 청나라) 23

(그림 3) 고월 사람들의 건란식 건축 24

(그림 4) 휘파 건축의 융합과정 25

(그림 5) 천정(天井) 공간의 앙면도와 부감도 30

(그림 6) 천정(天井)의 분류(평면도) 30

(그림 7) 휘주 혈연 취락 형태 개시도 33

(그림 8) 오봉루(五鳳樓)종묘 평면도 34

(그림 9) 허국석방(許國石坊), 명나라(1584) 36

(그림 10) 당서패방군(棠樾牌坊群) 명나라와 청나라(1529-1797) 36

(그림 11) 천두식(穿斗式) 38

(그림 12) 월량식(月樑式) 38

(그림 13) 미인고(美人靠) 38

(그림 14) 휘주 민가의 내부 공간 평면배치 (일주양종(一主兩從)) 42

(그림 15) 휘파 건축중의 '삼조(三雕)' 44

(그림 16) 마두벽의 위치 46

(그림 17) 휘군태수하군덕정비기(徽郡太守何君德政碑记) 52

(그림 18) 마두벽의 화재 예방 기능 53

(그림 19) 천정 온도 조절 기능 54

(그림 20) 마두벽의 운율 변화 55

(그림 21) 베이위밍과 쑤저우 박물관의 모형 65

(그림 22) 쑤저우 박물관 68

(그림 23) 쑤저우 박물관의 베씨(貝氏) 마두벽 68

(그림 24) 건축 디자이너 왕수지 68

(그림 25) 완커 제5원(萬科第五園) 69

(그림 26) 권의(圈椅)와 The China Chair의 팔걸이 72

(그림 27) 한스 웨그너와 "Y" 의자 73

(그림 28) Y Chair 74

(그림 29) The China Chair 74

(그림 30) 권의(圈椅)(왼쪽)와 Y-Chair (오른쪽) 74

(그림 31) 권의(圈椅) (왼쪽)와 The China Chair(오른쪽) 75

(그림 32) "태양" Stool 81

(그림 33) Frost Chair Ⅰ 83

(그림 34) 연대과순(煙袋鍋榫) 89

(그림 35) 찬변타조장판(攢邊打槽裝板) 89

(그림 36) 격각순(格角榫) 90

(그림 37) 용봉순구조(龍鳳榫結構) 90

(그림 38) 천대(穿帶) 90

(그림 39) 소격견(小格肩) 91

(그림 40) 대격견(大格肩),실견(實肩) 91

(그림 41) 대격견, 허견(虛肩) 91

(그림 42) 원재정자형(1) 92

(그림 43) 원재정자형(2) 92

(그림 44) 원재정자형(3) 92

(그림 45) 인상Ⅰ-테이블의 일부 92

(그림 46) 인상Ⅱ-의자의 일부 92

(그림 47) 전투연미순(全透燕尾榫) 93

(그림 48) 반투연미순(半透燕尾榫) 93

(그림 49) 전개연미순(全蓋燕尾榫) 93

(그림 50) 인상Ⅴ-수납장의 부분 93

(그림 51) 인상Ⅰ-테이블의 부분 98

(그림 52) 인상Ⅱ-의자의 부분 101

(그림 53) 인상Ⅲ-벤치의 부분 103

(그림 54) 인상Ⅳ-조명의 구조 105

(그림 55) 인상Ⅴ-수납장의 서랍 107

(그림 56) 인상Ⅵ-티 테이블의 무늬 108

(그림 57) 인상Ⅶ-스툴 무늬 109

(그림 58) 인상Ⅰ-테이블 2021, 북미흑호두목, 은, 1950x850x800 111

(그림 59) 인상Ⅰ-테이블 디테일부분 112

(그림 60) 인상Ⅰ-테이블의 도면 113

(그림 61) 인상Ⅱ-의자 2021, 북미흑호두목, 은, 480x530x450 115

(그림 62) 인상Ⅱ-의자 디테일부분 116

(그림 63) 인상Ⅱ-의자의 도면 117

(그림 64) 인상Ⅲ-벤치 2021, 북미흑호두목, 1700x420x450 119

(그림 65) 인상Ⅲ-벤치 디테일부분 120

(그림 66) 인상Ⅲ-벤치의 도면 121

(그림 67) 인상Ⅳ-조명 2021, 북미흑호두목, LED, 500x200x1900 123

(그림 68) 인상Ⅳ-조명 디테일부분 124

(그림 69) 인상Ⅳ-조명의 도면 125

(그림 70) 인상Ⅴ-수납장 2021, 북미흑호두목, 1800x410x500 127

(그림 71) 인상Ⅴ-수납장 디테일부분 128

(그림 72) 인상Ⅴ-수납장의 도면 129

(그림 73) 인상Ⅵ-티 테이블 2021, 북미흑호두목, 850x850x250 131

(그림 74) 인상Ⅵ-티 테이블 디테일부분 132

(그림 75) 인상Ⅵ-티 테이블의 도면 133

(그림 76) 인상Ⅶ-스툴 2021, 북미흑호두목, 400x400x450 135

(그림 77) 인상Ⅶ-스툴 디테일부분 136

(그림 78) 인상Ⅶ-스툴의 도면 137

(그림 79) 박사학위 청구전 전시 전경 (1) 138

(그림 80) 박사학위 청구전 전시 전경 (2) 138

(그림 81) 박사학위 청구전 전시 전경 (3) 139

(그림 82) 박사학위 청구전 전시 전경 (4) 139

초록보기

 휘파 건축(徽派建築)은 중국 봉건사회 말기에 형성된 중요한 건축 양식으로 중국 강남의 명청(明清) 시대 건축을 대표한다. 휘파 건축은 주로 고대 휘주 지역(현재의 중국 안후이성 황산시, 쉬안청시, 장시성 우위안현, 푸량현)에 분포되어 있으며 건축 장식의 부재는 뚜렷한 지역적 문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 중 마두벽은 휘파 건축 장식 부재의 중요한 상징으로서 고대 휘주 사람들의 정신 세계를 표현한 것으로 깊은 문화적 배경을 담고 있다.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휘파 건축의 마두벽의 조형예술적 특성을 고찰하여 마두벽과 아트퍼니처의 디자인을 결합하는 새로운 방법을 탐구하는 것이다. 아트퍼니처의 디자인을 위한 새로운 발전 방향을 확장하고 아트퍼니처의 디자인 표현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동시에 물리적 기능을 중시하는 가구를 감정과 심리적 의존을 제공하는 시각 장치로 전환하여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감정 경험을 선사하려고 한다.

본 논문에서 마두벽을 창작 주제로 선택한 이유는 서구 디자인 문화의 심각한 영향, 전통 가구 문화의 단층과 유실 등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시사점과 참고적 의의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휘파 건축의 마두벽 요소는 일반적으로 건축 디자인, 시각 전달 디자인, 상품 포장디자인 등에 많이 활용되지만 아트퍼니처 가구 분야에서는 매우 드물게 나타나며 활용도 다소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중국 전통 휘파 건축인 마두벽 요소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 논문의 구조는 모두 다섯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I장은 서론이다. 현대 가구 분야가 당면한 문제에 대하여 휘파건축 마두벽을 연구의 주요 대상으로 선정한 이유를 밝히고 연구의 배경과 목적, 연구의 범위와 내용을 제시하였다.

II장은 중국의 휘파 건축과 마두벽에 대한 이론적 고찰이다. 연구자는 중국 전통 휘파 건축과 마두벽을 각각 정의, 발전 과정, 유형, 특성 등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하고 연구해 보았다. 그리고 전통적인 휘파 건축 마두벽의 문화적 의미와 표현 방식을 요약하고 연구 논문을 위한 이론적 배경을 제공하였다.

III장은 선행작가에 대한 연구와 분석이다. 연구자는 선행작가 베이위밍(貝聿銘 Ieoh Ming Pei, 1917-2019)의 쑤저우 박물관, 왕수지(王受之 Wang ShouZhi, 1946-)의 완커 제5원, 한스 웨그너(Hans J. Wegner, 1914-2007)의 'The China Chair' 와 'Y' 의자에 대해 각각 연구와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마두벽 요소를 추출하고 적용하는 방법과 전통과 현대를 융합한 디자인 이념을 얻었으며, 이는 연구자의 작품 창작에 중요한 참고 자료를 제공해 주었다.

이어 IV장은 연구 작품의 제작 과정에 대한 분석이다.

본 장에서는 2021년 12월 연구자 박사학위 청구전에 발표된 작품 분석을 중심으로 다루어 보았다. 연구자는 이번 전시작의 이름을 '인상(印象)' 이라고 명명하고 휘파 건축 마두벽 예술의 특색을 청구전를 통해 표현하였다. 그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작품의 창작 배경과 주요 개념에 대해 설명하였다. 연구 논문은 작품의 창작 배경을 정리하고 작품의 개념이 형성된 원인을 분석하였다. 이어 작품의 설계와 제작을 연구하는 실천 과정에서 휘파 건축문화의 함의에 대한 인식과 이해를 보여주었다.

둘째, 재료 선택, 공예 제작 그리고 요소 추출의 세 가지 측면에서 가구 작품에 대한 포괄적인 분석을 하였다.

연구작품의 재료는 북미 흑호두목과 백색 금속을 사용하였다. 재료의 색상이 작품 창작 주제의 색상과 일치한다. 이처럼 흑갈색의 북미 흑호두목과 백색 금속을 연구 작품의 재료로 활용하면 마두벽의 '흰 벽 검은 기와'의 특성을 잘 나타낼 수 있다. 동시에 기존의 관습을 타파하여 중국 가구에 대한 사람들의 고유한 인식을 바꾸기 위한 것이다.

연구 작품의 제작 기술은 중국 전통 순묘(榫卯)의 구조를 채택하였다. 가구 조형 구조에 순묘 공예를 활용하면 가구의 전체 구조가 완벽하게 통일될 뿐만 아니라 간결하고 섬세한 조형 예술의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연구 작품은 마두벽 요소를 추출하는 주요 표현 방법으로 선을 활용하였다. 연구자는 선을 사용하여 마두벽의 특성을 요약하고 현대 아트퍼니처 디자인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요소를 귀납하였다. 선은 마두벽의 계단 모양 윤곽 특징을 잘 살려준다. 계단 형태의 가로선은 수평 방향으로 건축의 본체를 끌어당겨 건물 공간을 확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가로줄의 여러 조의 배열은 마두벽이 마치 음표처럼 오르락내리락하는 리듬감과 운율감을 만들어낸다.

셋째, 연구자는 인상 시리즈의 가구별 작품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인상' 시리즈 가구는 모두 7점의 작품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체 가구 시리즈의 완전성과 일관성을 보장하기 위해 마두벽 요소를 모든 가구 조형물에 적용하였다. 마두벽 요소의 정제는 연구자가 심사숙고하여 자세히 따져보고 여러 차례 대조하여 최종 선정하였다.

V장은 결론이다. 결론에서는 먼저, 연구 작품의 사례 분석을 통하여 중국 전통 휘파 건축 마두벽의 예술미를 전체적으로, 체계적으로 표현하여 사람들의 정신과 감정의 요구를 만족시켰다. 나아가 아트퍼니처의 혁신 발전에 새로운 동력을 불어 넣어 현대 가구의 미래 발전 길을 넓히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물리적 기능을 중시하는 가구를 정서적, 정신적 의탁을 제공하는 시각 장치로 전환하여 새로운 시각 경험을 선사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는 휘파 건축의 마두벽의 문화적 함축성과 예술미를 아트퍼니처를 통해 보여주고 휘파 건축의 문화적 다양성, 예술성, 유일성을 홍보하고 보호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향후 관련 연구자들이 아트퍼니처와 다른 중국 전통 문화 요소를 결합하는 데 토대가 될 것이며, 아울러 미래 아트퍼니처의 발전과 혁신의 길에 기여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