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논문개요(초록) 11
I. 서론 12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2. 연구 문제 15
1) 연구문제 15
II. 이론적 배경 16
제1장 마음챙김 16
1. 마음챙김의 개념 및 효과 16
2. 유아 마음챙김 선행연구 22
제2장 유아기 발달 25
1. 유아기 사회 정서 발달 25
2. 유아 문제행동 27
3. 유아 자기조절력 28
제3장 사회정서 프로그램과 마음챙김 32
1. 사회정서 프로그램과 사회정서학습(SEL) 32
2. 마음챙김 기반 사회정서 프로그램 선행연구 35
III.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37
제1장 프로그램 개발 절차 37
1. 프로그램 개발 순서 37
2. 프로그램 목표 수립 37
3. 프로그램 내용 구성 38
4. 프로그램 실시 및 평가 44
제2장 프로그램 실행 및 적용 45
1. 연구대상 45
2. 연구도구 45
3. 연구절차 46
4. 자료분석 47
IV. 연구결과 49
1. 검사지 반응 분석 49
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집단 내 사전-사후검사 차이비교 49
2) 프로그램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50
3) 프로그램이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효과 52
2. 대상자 반응분석 54
V. 논의 및 제언 59
1. 논의 59
2. 제언 64
참고문헌 66
부록 83
1. 문제행동 설문지 84
2. 자기조절력 설문지 87
3. 마음챙김 기반 사회정서 프로그램 활동안 89
ABSTRACT 108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음챙김 기반 사회정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현장에 적용하여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문제행동의 변화를 통해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서울의 S 유치원에 다니는 5세 어린이 12명의 집단을 대상으로 통제 및 실험조건으로 설정하여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을 구성하였고 통제집단에서 첫 번째 사전검사 후 8주간 일상적인 유치원 과정을 지내고 두 번째 사전 검사를 진행하였으며 실험집단에서 8주간 주 2회 15회차의 마음챙김 사회정서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사후검사를 진행하여 결과를 측정하였다. 측정 도구는 양옥승과 이정란(2003)의 유아의 자기조절력 척도와 오경자와 김영아(2008)의 CBCL 1.5-5세 문제행동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t-test와 Wilcoxon 분석을 시행하여 변화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 연구는 유아의 문제행동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특별히 문제행동에서 외현화 문제의 하위요인인 공격성에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자기조절의 하위요인인 행동억제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위의 결과 마음챙김 기반 사회정서 프로그램이 아이들의 공격성을 감소시키고 자기조절력의 하위 변인인 행동억제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현장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유아를 위한 마음챙김기반 사회정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