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초록 12

I. 서론 13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3

2. 이론적 배경 19

1) 중년기 19

2) 영성 21

3) 회복 탄력성 25

4) 삶의 만족도 29

5) 인지적 재해석 34

3. 연구문제 및 가설 40

4. 연구모형 41

II. 연구방법 42

1. 연구대상 42

2. 측정도구 43

1) 영성 척도(Spirituality Assessment Scale: SAS) 43

2) 삶의 만족도 척도(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SWLS) 44

3) 회복 탄력성 척도(Youth Korea Resilience Quotient-27) 45

4) 인지적 재해석 척도(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ERQ 중 6문항) 46

3. 연구절차 47

4. 분석방법 48

III. 연구결과 49

1.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 평균비교, 상관계수 49

1) 주요 변인들의 기술 통계치 49

2) 평균 비교 50

3) 주요 변인 간 상관관계 53

2. 연구모형 검증 54

1) 영성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회복 탄력성의 매개효과 54

2) 회복 탄력성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인지적 재해석의 조절 효과 56

3) 영성과 회복 탄력성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인지적 재해석의 조절된 매개효과 58

IV. 논의 61

1. 연구 결과에 대한 요약 및 의의 61

2.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65

참고문헌 66

부록 86

부록 1. 기본정보 설문지 87

부록 2. 영성 척도 (Spirituality Assessment Scale: SAS) 88

부록 3. 삶의 만족도 척도(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SWLS) 90

부록 4. 회복 탄력성 척도(Youth Korea Resilience Quotient-27) 91

부록 5. 인지적 재해석 척도(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ERQ 중 6문항) 94

ABSTRACT 97

표목차

〈표1〉 연구참여자의 인구통계학적 정보 42

〈표2〉 영성 척도의 하위요인별 문항 구분과 신뢰도 43

〈표3〉 회복탄력성 척도의 하위요인별 문항 구분과 신뢰도 45

〈표4〉 주요 변인들의 기술 통계치 49

〈표5〉 성별에 따른 영성, 삶의 만족도, 회복 탄력성, 인지적 재해석의 평균 차이 50

〈표6〉 연령대에 따른 영성, 삶의 만족도, 회복 탄력성, 인지적 재해석의 평균 차이 51

〈표7〉 종교 유무에 따른 영성, 삶의 만족도, 회복 탄력성, 인지적 재해석의 평균 차이 52

〈표8〉 주요 변인 간 상관관계 53

〈표9〉 영성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회복 탄력성의 매개효과 분석 55

〈표10〉 회복 탄력성에 대한 간접효과 검증 56

〈표11〉 회복 탄력성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인지적 재해석의 조절효과 분석 57

〈표12〉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58

〈표13〉 인지적 재해석의 조건 값에 따른 단순회귀선의 유의성 검증 59

〈표14〉 인지적 재해석의 조절된 매개효과 유의성 검증 59

그림목차

〈그림1〉 연구모형 41

〈그림2〉 영성과 회복 탄력성,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 모형 55

〈그림3〉 회복 탄력성과 인지적 재해석의 상호작용 효과 60

초록보기

본 연구는 중년 성인의 영성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회복 탄력성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 인지적 재해석이 이러한 매개효과를 조절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리서치 전문회사 마크로밀 엠브레인(Macromill Embrain) 패널 가입 회원 중 만 40세부터 64세까지의 중년 성인 486명을 대상으로 영성, 회복 탄력성, 삶의 만족도, 인지적 재해석의 척도를 사용하여 자기 보고식 설문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Baron과 Kenny(1986)의 방식에 따라 매개효과를 분석하고 Bootstrapping을 실시하였으며,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한 조절효과 분석 및 PROCESS MACRO를 활용한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변인들 간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 탄력성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영성이 높을수록 회복 탄력성에 영향을 미쳐 삶의 만족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인지적 재해석은 회복 탄력성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지적 재해석의 수준이 높을수록 회복 탄력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도 증가하였다. 넷째, 영성은 회복 탄력성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며, 회복 탄력성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인지적 재해석은 조절된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상담 장면에서의 시사점 및 후속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