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초록
Abstract
목차
1. 서론 11
1.1. 연구 목적 및 연구 대상 11
(1) 경음화 현상의 종류 12
1.2. 선행 연구 13
1.3. 논의구성 21
2. 연구 방법 22
2.1. 실험 목적 22
2.2. 실험 방법 및 실험 단어 22
2.3. 실험 대상 및 녹음 과정 26
2.4. 음성 분석 27
3. 어중 파열음·파찰음의 음성학적 특징 30
3.1. 분석 방법 30
3.2. 어중 파열음·파찰음의 폐쇄지속시간 30
3.2.1. 남녀화자의 폐쇄지속시간 30
3.2.2. 여성화자의 폐쇄지속시간 33
3.2.3. 남성화자의 폐쇄지속시간 35
3.3. 어중 파열음·파찰음의 VOT 37
3.3.1. 남녀화자의 VOT 37
3.3.2. 여성화자의 VOT 39
3.3.3. 남성화자의 VOT 41
3.4. 어중 파열음·파찰음의 F0 43
3.4.1. 여성화자의 F0 44
3.4.2. 남성화자의 F0 46
3.5. 어중 파열음·파찰음의 음성학적 특징 정리 48
(1) 폐쇄지속시간 48
(2) VOT 49
(3) F0 50
4. 경음화된 어중 파열음·파찰음의 음성학적 특징(명사 단독 발화) 51
4.1. 경음화된 어중 파열음·파찰음의 폐쇄지속시간(명사) 51
4.1.1. 남녀화자의 폐쇄지속시간 51
4.1.2. 여성화자의 폐쇄지속시간 55
4.1.3. 남성화자의 폐쇄지속시간 58
4.2. 경음화된 어중 파열음·파찰음의 VOT(명사) 60
4.2.1. 남녀화자의 VOT 60
4.2.2. 여성화자의 VOT 63
4.2.3. 남성화자의 VOT(명사) 66
4.3. 경음화된 어중 파열음·파찰음의 F0(명사) 69
4.3.1. 여성화자의 F0 69
4.3.2. 남성화자의 F0 71
4.4. 경음화된 어중 파열음·파찰음의 음성학적 특징 정리(명사) 74
(1) 폐쇄지속시간 74
(2) VOT 74
(3) F0 75
5. 경음화된 어중 파열음·파찰음의 음성학적 특징(문장 내부 서술어 발화) 76
5.1. 경음화된 어중 파열음·파찰음의 폐쇄지속시간(서술어) 76
5.1.1. 남녀화자의 폐쇄지속시간 76
5.1.2. 여성화자의 폐쇄지속시간 79
5.1.3. 남성화자의 폐쇄지속시간 81
5.2. 경음화된 어중 파열음·파찰음의 VOT(서술어) 82
5.2.1. 남녀화자의 VOT 82
5.2.2. 여성화자의 VOT 85
5.2.3. 남성화자의 VOT 86
5.3. 경음화된 어중 파열음·파찰음의 F0(서술어) 88
5.3.1. 여성화자의 F0 88
5.3.2. 남성화자의 F0 90
5.4. 경음화된 어중 파열음·파찰음의 음성학적 특징 정리(서술어) 92
(1) 폐쇄지속시간 정리 92
(2) VOT 정리 92
(3) F0 정리 93
6. 논의 95
6.1. 음성 실험 세부 목표 정리 95
(1) 어중 파열음·파찰음의 평음·경음·격음의 음성적 차이 95
(2) 경음화된 평음과 평음·경음의 음성적 차이 96
(3) 조음위치·조음방법에 따른 경음화된 평음의 음성적 차이 96
(4) 명사 단독 발화·문장 내 서술어 발화에 따른 경음화된 평음의 음성적 차이 96
(5) '평파열음 뒤에서의 경음화' 환경의 일반 명사·무의미 단어의 음성적 차이 96
6.2. '어중 경음화'의 음운론·음성학적 정의 97
7. 결론 104
참고문헌 106
〈그림 1〉 Praat을 이용한 폐쇄지속시간 측정 예시 27
〈그림 2〉 Praat을 이용한 VOT 측정 예시 28
〈그림 3〉 Praat을 이용한 F0 측정 예시 28
〈그림 4〉 어중 파열음·파찰음의 폐쇄지속시간(ms) 박스그림 31
〈그림 5〉 어중 파열음·파찰음의 폐쇄지속시간(ms) 박스그림(여성화자) 34
〈그림 6〉 어중 파열음·파찰음의 폐쇄지속시간(ms) 박스그림(남성화자) 36
〈그림 7〉 어중 파열음·파찰음의 VOT(ms) 박스그림 38
〈그림 8〉 어중 파열음·파찰음의 VOT(ms) 박스그림(여성화자) 40
〈그림 9〉 어중 파열음·파찰음의 VOT(ms) 박스그림(남성화자) 42
〈그림 10〉 어중 파열음·파찰음의 F0(HZ) 박스그림(여성화자) 44
〈그림 11〉 어중 파열음·파찰음의 F0(HZ) 박스그림(남성화자) 47
〈그림 12〉 명사 내부 환경의 폐쇄지속시간(ms) 박스그림 52
〈그림 13〉 명사 내부 환경의 폐쇄지속시간(ms) 박스그림(여성화자) 55
〈그림 14〉 명사 내부 환경의 폐쇄지속시간(ms) 박스그림(남성화자) 58
〈그림 15〉 명사 내부 환경의 VOT(ms) 박스그림 61
〈그림 16〉 명사 내부 환경의 VOT(ms) 박스그림(여성화자) 64
〈그림 17〉 명사 내부 환경의 VOT(ms) 박스그림(남성화자) 66
〈그림 18〉 명사 내부 환경의 F0(Hz) 박스그림(여성화자) 69
〈그림 19〉 명사 내부 환경의 F0(Hz) 박스그림(남성화자) 72
〈그림 20〉 서술어 내부 환경의 폐쇄지속시간(ms) 박스그림 76
〈그림 21〉 서술어 내부 환경의 폐쇄지속시간(ms) 박스그림(여성화자) 79
〈그림 22〉 서술어 내부 환경의 폐쇄지속시간(ms) 박스그림(남성화자) 81
〈그림 23〉 서술어 내부 환경의 VOT(ms) 박스그림 83
〈그림 24〉 서술어 내부 환경의 VOT(ms) 박스그림(여성화자) 85
〈그림 25〉 서술어 내부 환경의 VOT(ms) 박스그림(남성화자) 87
〈그림 26〉 서술어 내부 환경의 F0(HZ) 박스그림(여성화자) 88
〈그림 27〉 서술어 내부 환경의 F0(HZ) 박스그림(남성화자) 90
본고는 경음화 현상을 겪는 어중의 파열음·파찰음의 음성학적 특징을 면밀하게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남·녀, 평파열음 뒤 ·형태론적· 통사론적 경음화, 일반명사·무의미 단어, 서술어 내부·명사 내부 등의 다양한 비교군을 마련하여 이루어질 것이다. 경음화 현상의 경우 격음화, 위치동화 등의 음운현상과 달리 그 기제에 있어서 매우 다양한 양상을 보이는데, 별개의 기제로서 발생하는 음운 현상의 출력형이 모두 경음이라는 단일한 음소로 인식된다는 점에서 '경음화된 평음'의 음성학적 특징을 면밀하게 밝히는 것은 음운현상의 기제와 관련해서 새로운 이해의 가능성을 열어줄 수 있다. 본고의 실험에서는 폐쇄지속시간, VOT, F0의 세 가지 음성학적 특징을 이용할 것이다. 녹음은 90년대 초반-00년대 초반 사이의 표준어 화자 남성 6명, 여성 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음성 자료에서 음성학적 특징들은 Praat 6.2.17을 통해 측정되었다. 이후 분석된 자료들은 R의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통해 각 범주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밝혀졌으며, 이후 개별 범주들의 일대일 비교를 위해 Tuckey 사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상자그림을 이용하여 시각자료를 첨부했다.
3장에서는 모음 뒤의 파열음·파찰음의 삼지적 상관속의 음성학적 대립 체계를 밝혔다. 이후 4장에서는 명사 내부에서의 경음화된 어중 파열음·파찰음의 음성학적 대립 체계를 밝혔는데, 실험 단어들은 (1) 모음 뒤 (2) 평파열음 뒤 경음화 환경-일반명사 (3) 평파열음 뒤 경음화 환경-무의미 단어 (4) 형태론적 경음화 환경으로 구분되었다. 5장에서는 서술어 내부에서의 경음화된 어중 파열음·파찰음의 음성학적 대립 체계를 밝혔는데, 실험 단어들은 (1) 모음 뒤 (2) 평파열음 뒤 경음화 환경 (3) 형태론적 경음화 환경으로 구분되었다. 6장에서는 앞선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어중 경음화'의 존재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
본고에서 진행한 음성학적 실험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본고는 특히 성별이나 음소에 따라 장애음의 발성 유형 대립 양상이 매우 상이하다는 점을 밝힌 것에 의의가 있다. 즉, 같은 파열음 계열일지라도 조음 위치에 따라서 음성학적 대립 구조의 차이를 보이며, 같은 음소일지라도 성별에 따라서는 음성학적 대립 구조에 차이를 보인다는 사실을 밝힌 것이다. 또한 같은 '평파열음 뒤에서의 경음화'를 겪을지라도, 그것이 무의미 단어냐 일반명사냐에 따라서 그 음성학적 특징이 상이함을 밝혔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