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개요 10

제1장 서론 12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제2절 연구 방법 15

제1항 문헌인용법 15

제2항 비교분석법 15

제3항 사례연구법 15

제4항 종합귀납법 16

제3절 연구 내용 16

제1항 이론적 배경 16

제2항 중국 신체극의 탐구 현황 17

제3항 중국 고전 무용이 신체극의 "중국화" 발전의 영향 18

제4절 선행연구 18

제2장 이론적 배경 26

제1절 서구 신체극 26

제1항 신체극의 기원과 발전 27

제2항 신체극의 특징 29

제2절 프세볼로트 예밀리예비치 메이어홀드과 생체역학 34

제1항 프세볼로트 예밀리예비치 메이어홀드 34

제2항 생체역학 37

제3절 예지 그로토프스키과 가난한 연극 41

제1항 예지 그로토프스키 41

제2항 가난한 연극 42

제4절 자크 르콕과 현대 신체극 45

제1항 자크 르콕 45

제2항 현대 신체극 46

제3장 중국 신체극에 대한 탐구 현황 49

제1절 서구 신체극의 도입과 영향 49

제2절 중국 신체극 대표 극단 분석 54

제1항 조묘(趙淼)와 삼척기 54

제2항 황준달(黃俊達)과 홍콩 녹엽 극단 59

제3항 이응(李凝)과 신체 유격대(遊擊隊) 63

제3절 신체극의 중국 내 전파 경로 67

제4장 중국 고전 무용이 신체극의 '중국화' 발전에 미친 영향 71

제1절 중국 고전 무용의 특성 71

제2절 중국 고전 무용 동작 요소의 융합적 활용 74

제1항 중국 고전 무용의 동태적 '원(圓)' 74

제2항 중국 고전 무용의 신운(身韻) 78

제3항 중국 고전 무용의 동작 리듬성 84

제4항 중국 고전 무용의 추상성 88

제5장 결론 92

제1절 '중국화'한 신체극의 실현 가능성 92

제2절 신체극의 중국에서의 발전 추세 94

제1항 신체극과 중국 전통예술의 융합 94

제2항 신체극 형식의 중국 문학작품 표현 98

제3절 결어 102

참고문헌 104

Abstract 113

표목차

〈표 1〉 본 논문의 문헌자료 통계표 23

〈표 2〉 삼척기극단 신체극 작품 통계표 55

사진목차

〈사진 1〉 신체극 〈수생〉 스틸 59

〈사진 2〉 신체극 〈수생〉 스틸 59

〈사진 3〉 신체극 〈고아2.0〉 스틸 61

〈사진 4〉 신체극 〈고아2.0〉 스틸 61

〈사진 5〉 신체극 〈꼬리뼈를 용서하기〉 스틸 65

〈사진 6〉 신체극 〈꼬리뼈를 용서하기〉 스틸 65

〈사진 7〉 신체극 〈꼬리뼈를 용서하기〉 스틸 66

〈사진 8〉 신체극 〈꼬리뼈를 용서하기〉 스틸 66

〈사진 9〉 '산하학당' 워크숍 70

〈사진 10〉 홍콩 鄧樹榮 신체극 워크숍 70

〈사진 11〉 유진우교수의 '몸 으로쓰는 시' 워크숍 70

〈사진 12〉 상하이 사범대학 신체극 워크숍 70

〈사진 13〉 신체극 〈수생〉 스틸 76

〈사진 14〉 신체극 〈수생〉 스틸 76

〈사진 15〉 신체극 〈연심불염〉 스틸 77

〈사진 16〉 신체극 〈연심불염〉 스틸 77

〈사진 17〉 제(提) 79

〈사진 18〉 침(沉) 79

〈사진 19〉 충(冲) 79

〈사진 20〉 고(靠) 79

〈사진 21〉 방제(旁提) 80

〈사진 22〉 횡녕(横擰) 80

〈사진 23〉 신체극 〈화피·귀진〉 스틸 81

〈사진 24〉 신체극 〈화피·귀진〉 스틸 81

〈사진 25〉 신체극 〈수생〉 스틸 82

〈사진 26〉 신체극 〈수생〉 스틸 82

〈사진 27〉 신체극 〈연심불염〉 스틸 83

〈사진 28〉 신체극 〈연심불염〉 스틸 83

〈사진 29〉 신체극 〈아큐정전〉 스틸 84

〈사진 30〉 신체극 〈아큐정전〉 스틸 84

〈사진 31〉 신체극 〈수생〉 스틸 86

〈사진 32〉 신체극 〈수생〉 스틸 86

〈사진 33〉 신체극 〈고아2.0〉 스틸 87

〈사진 34〉 신체극 〈고아2.0〉 스틸 87

〈사진 35〉 신체극 〈연심불염〉 스틸 87

〈사진 36〉 신체극 〈연심불염〉 스틸 87

〈사진 37〉 신체극 〈노진왕사〉스틸 90

〈사진 38〉 신체극 〈노진왕사〉스틸 90

〈사진 39〉 신체극 〈노진왕사〉스틸 90

〈사진 40〉 신체극 〈노진왕사〉스틸 90

〈사진 41〉 신체극 〈고아2.0〉 스틸 91

〈사진 42〉 신체극 〈고아2.0〉 스틸 91

〈사진 43〉 신체극 〈나찰국〉 스틸 96

〈사진 44〉 신체극 〈화수〉 스틸 96

〈사진 45〉 신체극 〈신서상〉 스틸 97

〈사진 46〉 신체극 〈신서상〉 스틸 97

〈사진 47〉 신체극 〈1971〉 스틸 100

〈사진 48〉 신체극 〈1971〉 스틸 100

〈사진 49〉 신체극 〈1971〉 스틸 101

〈사진 50〉 신체극 〈1971〉 스틸 101

초록보기

2002년 서양의 신체극이 중국에 진출하면서 다양한 연출 방식과 창작 이념이 중국 연극 창작자와 관객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 이는 중국 연극 고유의 창작 이념과 창작 방식을 깨뜨리고 중국 관객의 미적 습관을 전복시켰다.

세계 각국의 신체극 발전은 이미 다원화되고 있으며, 국경과 문화를 초월한 융합에 더욱 주목하고 있다. 신체극이 중국에 진출한 지 거의 20년이 지났는데, 중국 연극 시장에서는 여전히 널리 알려지지 않은 연극 형식이지만, 중국 연극 창작자의 노력으로 중국 전통 예술과 융합을 시도하고 있다. 본 논문은 중국 고전 무용 요소의 신체극에서의 융합 및 적용에 입각하여 중국화된 신체극을 형성한다. 중국의 민족화, 개성화, 다원화를 중국화된 신체극 작품으로 표현하려고 시도한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서술하고 연구하였다.

첫째, 본 논문은 서양 신체극을 이론적 배경으로 국내외 관련 저서와 논문자료를 다수 열람하고, 중국의 대표적인 신체극 극단과 작품을 분석하여 중국 신체극의 발전과정과 현황을 연구하였다. 중국 신체극은 발전 과정에서 점차 중국의 미학적 심미에 부합하고 중국화된 신체극의 창작 방법과 공연 형식을 모색해 나갔고, 중국 신체극의 발전은 단일한 '모방기'에서 융합의 '창작기'로 이행하였다.

둘째, 본 논문은 중국 고전 무용의 정의를 명확히 함과 동시에 중국 고전 무용과 발레의 구분을 밝히고, 중국 고전 무용을 신체극과 융합하는 원인을 설명했다. 논문에서 중국 고전 무용의 동태적 "원"의 운동 경로, 신운 동작, 움직임의 리듬 및 추상성이라는 네 가지 부분을 통해 중국 고전 무용 요소가 중국 신체극의 창작에 대한 적용을 분석했다.

셋째, 본 논문은 중국 신체극 작품 분석을 통해 중국 고전 무용과 신체극의 융합 가능성 및 신체극과 중국 전통 문화, 타예술과의 융합을 통해 신체극의 중국에서의 발전 추세를 논술했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중국 고전 무용을 표현 매체로 중국 신체극 창작에 융합시켰을 뿐, 이는 '중국화' 신체극의 유일한 표현 형식이 아니라 융합적 탐구이다. 필자는 이 논문이 신체극의 '중국화'를 촉진하는 출발점이 되어 '중국화' 신체극의 발전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기를 희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