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摘要 12

第一章 绪论 14

1.1. 研究背景 14

1.1.1. 人口老龄化现状与情况 14

1.1.2. 老年人对室内设计的需求 17

1.1.3. 老年心理学为理论对研究的指导作用 18

1.2. 研究的目的与意义 19

1.3. 本课题相关的国内外研究现状 20

1.3.1. 国外研究现状 20

1.3.2. 国内研究现状 22

1.4. 研究方法, 创新点 23

1.4.1. 研究方法 23

1.4.2. 创新点 24

第二章 老年人的心理情感与环境需求 25

2.1. 中国老龄化发展及社会背景 25

2.1.1. 中国老龄化发展趋势 25

2.1.2. 中国的老龄化特征 28

2.1.3. 中国养老模式发展及现实问题 31

2.1.4. 老龄化发展受到广泛关注 35

2.2. 老年人的特征 43

2.2.1. 老年人的身体和心理特征 43

2.2.2. 老年人的分类 47

2.3. 老年人对室内设计的需求 50

2.3.1. 对健康保障空间的需求 50

2.3.2. 家居空间无障碍要求 52

2.3.3. 对于技术的智能空间要求 54

2.3.4. 不同老人的特殊需求 54

第三章 国外老龄化与室内设计发展 56

3.1. 国外老龄化发展脉络 56

3.1.1. 国外老龄化模式 56

3.1.2. 发达国家的养老模式和室内设计发展 58

3.2. 韩国养老制度与室内设计发展 60

3.3. 日本养老制度与室内设计发展 62

3.4. 美国养老制度与室内设计发展 64

(1) 多样化的居家养老模式 64

(2) 基于社区的养老模式 64

(3) 专业机构的养老服务模式 66

(4) 美国养老产业的机构支持 66

第四章 老年人居住室内空间结构设计 68

4.1. 老年居住的空间分布 68

4.1.1. 空间功能与布局 68

4.1.2. 整体空间组合 75

4.2. 老年室内空间的照明 80

4.2.1. 室内照明影响的因素 81

4.2.2. 家居空间的照明对老年人的影响 85

4.2.3. 老年家居空间照明的调研 88

4.3. 老年室内空间的风格 88

4.3.1. 中式风格 89

4.3.2. 韩式风格 92

4.3.3. 日式风格 94

4.3.4. 美式风格 97

4.3.5. 欧式风格 100

4.4. 老年室内空间色彩 104

4.4.1. 老年室内空间的色彩构成 104

4.4.2. 室内色彩对老年人的作用影响 104

4.4.3. 室内色彩环境 107

4.5. 老年室内空间材料 107

4.5.1. 室内空间材质的分类 107

4.5.2. 材料视觉特征对心理的影响 108

4.5.3. 老年室内空间在材料上的考察 110

第五章 基于老年人心理需求的室内设计实践 113

5.1. 老年居住空间的室内设计应用 113

5.1.1. 安全性设计应用 113

5.1.2. 实用性设计应用 114

5.1.3. 灵活性设计应用 116

5.1.4. 可持续性设计应用 116

5.2. 居住室内空间光环境的设计实践 117

5.2.1. 居住空间照明的设计实践 117

5.2.2. 居住功能空间的光环境设计实践 120

5.3. 老年居住空间的室内色彩设计实践 125

5.3.1. 在居住空间中对环境色彩进行营造 125

5.3.2. 居住功能空间的色彩搭配挑选 126

5.3.3. 家居光照色彩的氛围设置 127

5.3.4. 绿植增添空间色彩鲜明度 128

5.4. 老年居住室内空间的材质装饰 129

5.4.1. 居住功能空间材质的装饰 129

5.4.2. 家具材质设计的装饰 130

5.4.3. 织物图案设计的装饰 131

第六章 结论 133

参考文献 135

국문요약 140

ABSTRACT 143

부록 146

附录 1. 146

附录 2. 148

그림목차

图 2-1. 历次人口普查全国人口及年均增长率 26

图 2-2. 低龄老年人 48

图 2-3. 中龄老年人 48

图 2-4. 高龄老年人 48

图 2-5. 智能家居布置图 49

图 3-1. 运动治疗室图 62

图 3-2. 书画写作室 62

图 4-1. 公共空间 69

图 4-2. 私密空间 69

图 4-3. 门厅设置置物台 70

图 4-4. 鞋柜, 换鞋凳 70

图 4-5. 宽敞明亮的客厅 71

图 4-6. 客厅与餐厅相连接 71

图 4-7. 集睡眠, 储藏, 通行, 洗漱为一体的卧室 72

图 4-8. 厨房L形操作台 73

图 4-9. 设置扶手 74

图 4-10. 卫生间干湿分离 74

图 4-11. 多功能用途家居空间 75

图 4-12. 上网阅读区 75

图 4-13. 起居室, 餐厅, 厨房相连通 76

图 4-14. 卧室和客厅适合老年人看电视视距与高度 77

图 4-15. 老年住宅中交通功能流线对比 78

图 4-16. 老年居住空间中的视觉联系加强 80

图 4-17. 光的波长与性质 82

图 4-18. 加设侧窗来改善室内采光通风 84

图 4-19. 窗上沿高度采光质量 84

图 4-20. 传统中式风格 90

图 4-21. 新中式风格 90

图 4-22. 简约中式风格 91

图 4-23. 明清中式风格 91

图 4-24. 韩式象牙白家具搭配小碎花软装饰品 92

图 4-25. 简洁大方的韩式客厅 94

图 4-26. 韩式软装色彩统一 94

图 4-27. 禅意的日式元素 95

图 4-28. 日式极简的配色 95

图 4-29. 日式原木家具 96

图 4-30. 日式榻榻米 96

图 4-31. 古典美式 98

图 4-32. 现代美式 98

图 4-33. 乡村美式 99

图 4-34. 西部牛仔美式 99

图 4-35. 巴洛克风格 101

图 4-36. 洛可可风格 101

图 4-37. 古罗马风格 102

图 4-38. 哥特式风格 102

图 4-39. 古希腊风格 103

图 4-40. 意大利风格 103

图 4-41. 老年人目前家中的家具材料 111

图 4-42. 老年人期望家中的家具材料 111

图 5-1. 明亮的照明空间更适合老年人生活 118

图 5-2. 光照强度及柔和舒适的室内环境 119

图 5-3. 鞋柜下方可以添加照明 121

图 5-4. 床头柜, 书桌装台灯, 壁灯等辅助光源 122

图 5-5. 餐厅暖色灯光 123

图 5-6. 卫生间照明 124

图 5-7. 阳台自然光线照明 124

초록보기

 중국의 고령화는 진행 속도가 매우 빠르고 그 규모도 매우 클 뿐 아니라, 경제 발전이 균형을 이루지 못한 시기에 너무 일찍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런 점에서 중국 사람들은 이미 "부유하지 않으면 먼저 늙는다" 또는 "미리 준비하지 않으면 먼저 늙는다"라는 말을 실감하게 되는 상항에 직면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령화 문제가 심각한 오늘날 노인들의 심리적 수요에 부합하는 실내 환경을 설계하는 것을 연구 목표로 삼고, 노인들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주거 공간 설계 문제에 대하여 깊이 있는 분석과 연구를 진행하였다. 우선 노인들의 특수한 심리적 수요와 특징을 분석한 바탕 위에서, 노인들이 생활하기에 적합한 주거 공간과 실내 인테리어 설계 방법론을 귀납하였다. 이러한 실내 디자인 방안들을 활용함으로써 노인들에게 보다 편안하고 안전한 주거 체험을 제공하는 동시에 노인들의 부양 책임을 안고 있는 중년층의 부담도 경감시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노인들의 부양 문제와 노인들의 즐거운 노후 생활 문제를 잘 해결하여 그들이 노년기를 행복하게 즐기며 생활해나갈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논문에서는 먼저 노인의 심리적 요구라는 개념을 따로 제기하여 토론을 진행한 다음, 그러한 관점에서 최초의 주거 공간 사용 기능 속성을 분석하고 나아가 주거 공간에 대한 노인들의 심리적인 느낌과 안락함 추구 등 측면까지 함께 고찰함으로써, 근본적으로 노인의 심리적 감각을 만족시킬 수 있는 공간 환경을 설계하는 방안을 모색해보았다. 전통적인 실내 공간 디자인과 달리 실내 공간에 대한 심리적이고 감각적인 체험감에 초점을 맞추어, 사람들의 정신적 감각에 더욱 가까운 심리학 관련 이론을 빌려 주거 공간에 대한 노인들의 느낌을 연구하고 노인들의 심리에 맞추어 실내를 디자인하는 방법론을 귀납하고자 하였다.

논문은 전체적으로 모두 여섯 부분으로 구분 서술하였다. 제 1 장 緖論 부분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의미를 논술한 다음, 국내외의 실내 디자인 발전 상황을 정리하였다. 제 2 장에서는 노인들의 심리적 감정과 필요한 환경 등을 논하기 위해, 노인들의 특징을 논술한 다음 이어서 고령화 진행 추세와 사회적 배경을 정리한 후 노인들이 원하고 필요로 하는 것들을 정리하였다. 제 3 장에서는 외국 인구의 고령화 추세와 실내 인테리어 디자인의 발전 현황을 살펴보고, 특히 한국과 일본 및 미국 등 3 개국의 고령화 추세와 인테리어 디자인 발전 상황을 논술하였다. 제 4 장에서는 노인들이 거주하는 실내 공간의 구조와 디자인에 대한 중점적인 연구를 진행하여, 전체적인 공간 배치와 조명 분위기 및 색채 등에 대한 디자인 아이디어를 제시하였다. 제 5 장에서는 노인들의 심리적 수요를 바탕으로 한 실내 디자인 실천 방안을 최종 정리하고, 실제 인테리어 작업 진행 시의 디자인 응용에 대하여 논술하였다. 제 6 장 結論 부분에서는 논문의 전체적인 분석 연구 결과를 요약 정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노인들의 생리적 요구와 심리적 요구로부터 출발하여 그들이 거주하는 실내 공간의 人性化된 디자인의 중점적이고 세부적인 요구 사항들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실제 사례의 분석을 통해 노인들의 실내 환경에 대한 요구 사항을 검토하고, 그에 걸맞는 디자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실내 디자인 관점에 입각하여 "사람 중심"의 사상을 인테리어 디자인에 융합시킴으로써, 노인들이 쾌적하고 안전한 생활 조건 하에서 건강하고 즐거운 노후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조건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와 방안 모색을 통해 현대인들의 가정에 따뜻하고 조화로운 집안 분위기를 조성하는 한편, 여러 연령 층의 가족 구성원들이 모두 만족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갖추고 상호 관심과 배려를 통해 삶의 질을 제고하면서 실용적 가치를 극대화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가 노인들의 주거 환경을 개선하고, 나아가 인테리어 디자인의 人性化와 사회 발전에 긍정적 기여를 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