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0

1. 연구의 배경 10

2. 연구 목적 13

3. 용어 정의 14

1) 부양과업 14

2) 부양부담 14

3) 생활만족도 15

II. 문헌고찰 16

1. 부양과업 16

1) 부양과업 개념 16

2) 부양과업 관련 선행연구 17

2. 부양부담 19

1) 부양부담 개념 19

2) 부양부담 관련 선행연구 20

3. 생활만족도 23

1) 생활만족도 개념 23

2) 생활만족도 관련 선행연구 24

III. 연구방법 26

1. 연구 설계 26

2. 연구 모형 26

3. 연구 대상 27

1) 대상자 선정기준 27

2) 표본크기 산출 방법 27

4. 연구 도구 28

1) 일반적 특성 28

2) 부양과업 28

3) 부양부담 29

4) 생활만족도 29

5. 자료 수집 방법 31

6. 자료 분석 방법 32

7. 윤리적 고려 33

IV. 연구결과 34

1. 일반적 특성 34

2. 부양과업, 부양부담, 생활만족도의 정도 37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부양과업, 부양부담, 생활만족도 39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부양과업의 차이 39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부양부담의 차이 41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활만족도의 차이 43

4. 부양과업, 부양부담, 생활만족도의 상관관계 45

5.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7

V. 논의 49

1. 부양과업, 부양부담, 생활만족도의 정도 49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부양과업, 부양부담, 생활만족도 53

1) 부양과업 53

2) 부양부담 54

3) 생활만족도 54

3. 부양과업, 부양부담, 생활만족도의 상관관계 56

4.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57

5.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60

VI. 결론 및 제언 62

1. 결론 62

2. 제언 63

참고문헌 64

Abstract 75

부록 78

1. IRB 심의 결과 통지서 78

2. 도구 사용 승인 81

3. 설문지 83

표목차

〈표 1〉 치매노인 부양자의 일반적 특성 35

〈표 2〉 부양과업, 부양부담, 생활만족도 정도 38

〈표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부양과업 차이 40

〈표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부양부담 차이 42

〈표 5〉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활만족도 차이 44

〈표 6〉 부양과업, 부양부담(하위차원), 생활만족도의 상관관계 46

〈표 7〉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8

그림목차

〈그림 1〉 연구 모형 26

초록보기

본 연구는 치매노인 부양자의 일반적 특성과 부양과업, 부양부담, 생활만족도의 정도를 파악하고 위 요인들의 관계를 확인하여, 치매노인 부양자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5개구 치매안심센터에서 치매노인 부양자 183명을 대상으로 하여 2022년 10월 15일부터 2022년 11월 1일까지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김경숙(2008)이 수정한 부양과업 측정도구, 권중돈(1994)이 수정한 부양부담 측정도구, 최성재(1986)의 생활만족도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ver.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부양과업은 3점 만점에 2.05±0.56점, 부양부담은 5점 만점에 3.27±0.72점, 생활만족도는 5점 만점에 3.12±0.61점이었다.

2) 대상자의 부양과업은 일반적 특성 중 나이(F=2.846, p=.039), 치매노인과의 관계(F=5.006, p=.001), 일일 부양시간(F=10.702, p=<.001), 주관적 건강상태(F=4.623, p=.011), 비공식적 지지(F=9.928,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부양부담은 일일 부양시간(F=3.406, p=.010), 주관적 건강상태(F=12.092, p<.001), 비공식적 지지(F=3.409, p=.035), 공식적 지지(F=5.405,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생활만족도는 주관적 건강상태(F=16.696, p<.001), 비공식적 지지(F=16.261,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부양과업, 부양부담, 생활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생활만족도와 부양과업(r=-.220, p<.01), 생활만족도와 부양부담(r=-.609, p<.01)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부양과업과 부양부담(r=.378, p<.01)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4)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일반적 특성 중 '비공식적 지지'(β=.219, p<.001), 부양부담의 하위차원인 '치매노인과 부양자 관계의 부정적 변화'(β=-2.015, p<.05), '심리적 부담'(β=-4.802, p<.001)이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모형의 총 설명력(adj.R2)은 49.0%였다(F=20.424, p<.001).

치매노인 부양자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은 일반적 특성 중 '비공식적 지지'와 부양부담의 하위차원인 '치매노인과 부양자 관계의 부정적 변화', '심리적 부담' 이었다. 그러므로 치매노인 부양자의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하여 치매노인 부양자의 '비공식적 지지'를 높이고, 부양부담 하위차원인 '치매노인과 부양자 관계의 부정적 변화'와 '심리적 부담'을 낮추는 간호 중재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 연구의 결과는 치매노인을 위한 국가의 정책적, 제도적 지원 방향의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