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I. 서론 11
1. 연구 목적 11
2. 연구 방법 13
II. 전각의 개념과 변천 15
1. 전각의 개념 15
2. 전각의 변천 16
1) 전각의 기원 16
2) 중국의 전각 17
3) 한국의 전각 27
III. 한글전각의 형성과 조형적 특징 36
1. 한글전각의 형성 36
1) 한글서체의 변천 36
2) 한글전각의 형성배경 41
3) 한글전각의 전개 43
2. 한글전각의 분류 55
1) 사용 목적 55
2) 인의 형식 61
3) 인문 내용 63
3. 한글전각의 조형적 특징 68
1) 자법의 조화 68
2) 장법의 정취 71
3) 도법의 혼융 74
IV. 한글전각의 조형미 분석 78
1. 자법의 형식성 78
1) 전통성 78
2) 통일성 79
3) 독창성 80
2. 장법의 조형성 81
1) 인문의 배열 82
2) 장법의 구분 84
3. 도법의 예술성 100
1) 切刀法과 沖刀法 100
2) 단도법과 쌍도법 103
V. 전각의 현대적 변용과 활용 105
VI. 결론 111
참고문헌 114
Abstract 121
(도 1) 宋·金·元나라의 관인 20
(도 2) 明·淸시대의 관인 21
(도 3) 文彭의 전각 25
(도 4) 何震의 전각 26
(도 5) 『훈민정음해례본』, 1446, 목판본, 간송미술관 소장. 37
(도 6) 『용비어천가』, 1447, 목판본, 서울대학교 도서관 규장각 소장. 37
(도 7) 『월인천강지곡』, 1448, 한글 활자본(갑인자 병용), 31x20.7cm, 대한교과서주식회사 소장. 37
(도 8) 『석보상절』, 1447, 한글 활자본(갑인자 병용), 29.8x20.7cm, 동국대학교 도서관 소장. 37
(도 9) 『오대산상원사 중창권선언문』, 1464, 월정사 성보박물관 소장. 39
(도 10) 『홍무정운』, 목활자(작은 글자는 갑인자), 고려대학교 도서관 소장. 39
(도 11) 『월인석보』권9, 10, 1459, 목판본, 개인 소장. 39
(도 12) 윤백영, 〈대한해방감회문〉, 궁체 진흘림, 1945, 한지에 먹, 국립한글박물관 소장. 40
(도 13) 덕온공주, 〈일촬금〉, 궁체 반흘림, 한지에 먹, 국립한글박물관 소장. 40
(도 14) 윤백영, 〈송인종황제권학서〉, 궁체 진흘림, 한지에 먹 41
(도 15) 이철경, 〈시편 제1편 전문〉, 궁체 정자, 한지에 먹. 41
(도 16) 대한민국 국새의 변천 44
(도 17) 김충현, 〈古時調〉, 1940, 한지에 먹, 127x33cm, 개인 소장. 45
(도 18) 〈古時調〉 작품의 전각, 1956년 김응현의 각 45
(도 19) 김충현, 〈修身齊家〉, 1938, 한지에 먹, 138x31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46
(도 20) 〈修身齊家〉 작품의 전각 46
(도 21) 일중 김충현의 소장 전각 47
(도 22) 1946년, 김응현의 전각 48
(도 23) 여초 김응현의 전각 49
(도 24) 원곡 김기승의 전각 50
(도 25) 위창 오세창의 전각 50
(도 26) 철농 이기우의 전각 51
(도 27) 운여 김광업의 전각 52
(도 28) 손재형, 〈전문〉, 1949, 종이와 혼합재료, 23x35cm, 개인 소장. 53
(도 29) 손재형, 〈적고관지〉, 1940, 선면, 개인 소장. 53
(도 30) 평보 서희환의 전각 55
(도 31) 구첩전 형태로 새긴 관인 예시 57
(도 32) 한국은행 7단위 번호권 58
(도 33) 한국은행 무번호권 58
(도 34) 2006 첨단위조방지 장치 적용권 58
(도 35) '한글전서체' 사용 예시 60
(도 36) 인의 형식에 따른 전각 예시(석용진 刻) 63
(도 37) 성명인 예시 64
(도 38) 아호인 예시 64
(도 39) 화압인 예시 65
(도 40) 재관인 예시 66
(도 41) 봉함인 예시 67
(도 42) 한문인 예시 67
(도 43) 초형인 예시 68
(도 44) 자법의 전통성 예시 79
(도 45) 자법의 통일성 예시 80
(도 46) 자법의 독창성 예시 81
(도 47) 疏密의 장법 85
(도 48) 輕重의 장법 86
(도 49) 增損의 장법 87
(도 50) 屈伸의 장법 88
(도 51) 離合의 장법 89
(도 52) 巧拙의 장법 90
(도 53) 呼應의 장법 93
(도 54) 挪讓의 장법 94
(도 55) 變化의 장법 95
(도 56) 界格의 장법 96
(도 57) 盤錯의 장법 97
(도 58) 邊緣의 장법 98
(도 59) 여백과 허실 장법 99
(도 60) 참치(좌)와 균화(우)의 장법 100
(도 61) 절도법 101
(도 62) 충도법 102
(도 63) 충도법(左), 절도법(中, 右) 전각 102
(도 64) 단도법(좌), 쌍도법(우) 전각 104
(도 65) 정병례, 〈장기판〉, 석재, 개인 소장. 106
(도 66) 김동성, 〈기다림〉 고시 2수, 석재, 30x30cm, 개인 소장. 106
(도 67) 김동성, 〈청산〉, 석재, 18x30cm, 개인 소장. 107
(도 68) 진영근, 〈쉼〉, 한지, 30x30cm, 개인 소장. 107
(도 69) 진영근, 〈거복아 巨福아〉, 한지에 먹, 24x72cm, 개인 소장. 108
(도 70) 김정민, 〈훈민정음〉, 2019, 한지 및 혼합재료, 127x120cm, 개인 소장. 108
(도 71) 김정민, 〈천명〉, 2021, 한지와 나무 및 혼합재료, 50x50cm, 개인 소장. 109
(도 72) 이동일·한용택 印槁, 유태흥 刻, 〈성명인〉, 석인재, 109
A Seal Engraving is called a "small art on the surface of a seal" by writing letters on the surface of the seal and engraving them. This paper will study the independent artistry of the pavilion, and put importance on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Seal Engraving and the protection of the beauty of Hangeul. Therefore, I started to study the formative nature of the Hangeul Seal Engraving.
The development of the Seal Engraving is deep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calligraphy history.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the history of Korean calligraphy, research on a style of Korean handwriting is needed.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Korean calligraphy, which has been transformed for 500 years since Hunminjeongeum was created.
But the research is very lacking. Hangul calligraphy developed into practical use, and it took a long time to be recognized as an art compared to Chinese calligraphy. And it is much shorter than that the Hangeul Seal Engraving was used in Hangeul calligraphy works.
In 1962, an official seal changed the text on the seal to Hangul and used them. Due to the use of Hangeul by government officials, Hangul was also used a lot for an individual seal. However, at that time, people lacked awareness of a style of Korean handwriting. A lot of bent Hangul, which was popular at that time, was used. It is still used a lot and it must be fixed.
A Seal Engraving is an important element of art from the selection of materials to the entire processes. You should not neglect any of them. As original handwriting such as calligraphy becomes popular, there are many unique handwriting in the Seal Engraving. It must first understand Hangul correctly.
This paper started by feeling the need to preserve the development of the Hangeul Seal Engraving and the individuality of Hangeul. Hangul Seal Engraving should be developed in various artistic ways. To do so, you must also understand the artistic nature of the Seal Engraving.*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