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12

Ⅰ. 서론 14

A.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4

B. 연구의 목적 20

C. 연구의 가설 21

D. 용어의 정의 22

1. 전방 뻗기 운동 22

2. 일어서기 훈련 22

3. 하지 근구조 22

4. 균형 능력 23

Ⅱ. 문헌고찰 24

A. 전방 뻗기 운동에 관한 선행연구 24

B. 일어서기 훈련에 관한 선행연구 31

Ⅲ. 연구방법 40

A. 연구 설계 40

B. 연구의 대상 및 절차 41

1. 연구의 대상 41

2. 연구의 절차 42

C. 실험 방법 44

1. 전방 뻗기 운동을 결합한 일어서기 훈련 44

2. 일어서기 훈련 47

3. 일반적 물리치료 48

D. 측정 도구와 자료 수집 과정 49

1. 하지 근구조 49

2. 정적 균형 능력 51

3. 동적 균형 능력 53

E. 변수의 선정 54

F. 분석방법 55

Ⅳ. 연구결과 56

A.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56

B. 연구 대상자의 변인에 따른 동질성 검정 57

C. 하지 근구조의 전·후 변화 59

D. 정적 균형 능력의 전·후 변화 62

E. 동적 균형 능력의 전·후 변화 65

Ⅴ. 논의 68

A. 연구 방법에 대한 논의 68

B. 전방 뻗기 운동을 결합한 일어서기 훈련이 하지 근구조에 미치는 영향 71

C. 전방 뻗기 운동을 결합한 일어서기 훈련이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 74

Ⅵ. 결론 79

참고문헌 80

ABSTRACT 94

부록 97

부록 1. 연구 참여 동의서 97

부록 2. 전방 뻗기 운동을 결합한 일어서기 훈련 프로그램 99

부록 3. 일어서기 훈련 프로그램 101

부록 4. 평가 및 측정 도구 103

표목차

표 1. 전방 뻗기 운동에 관한 선행연구 27

표 2. 일어서기 훈련에 관한 선행연구 35

표 3. 전방 뻗기 운동에 대한 훈련 강도 46

표 4. 연구의 독립·종속변수 54

표 5.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56

표 6. 하지 근구조 및 정적·동적 균형 능력에 대한 동질성 검정 58

표 7. 하지 근구조 전·후 변화 60

표 8. 정적 균형 능력 전·후 변화 63

표 9. 동적 균형 능력 전·후 변화 66

그림목차

그림 1. 연구의 설계. 40

그림 2. 연구의 절차. 43

그림 3. 좌/우 체중분포 대칭성 52

그림 4. 넙다리곧은근의 두께 전·후 변화. 61

그림 5. 앞정강근의 두께 전·후 변화. 61

그림 6. 안정성 지수 전·후 변화. 64

그림 7. 좌/우 체중분포 대칭성 전·후 변화. 64

그림 8. 5회 반복 앉고 일어서기 검사 전·후 변화. 67

그림 9. 일어서서 걷기 검사 전·후 변화. 67

부록그림목차

부록 그림 1. 전방 뻗기 운동을 결합한 일어서기 훈련 100

부록 그림 2. 일어서기 훈련 102

부록 그림 3. 테트락스(The tetra-ataximotric posturography system Tetrax, Sunlight Medical Ltd., ramat Gan, Israel) 104

부록 그림 4. 제브리스 보행 분석기(Zebris FDM Treadmill System, Zebris Medical GmbH, Germany) 104

부록 그림 5. 초음파 장비(MySono U5, Samsung Medison, Seoul, Korea) 105

부록 그림 6. 재활 초음파 영상(휴식기 촬영 영상) (A) 넙다리곧은근의 근육 두께, (B) 앞정강근의 근육 두께 105

초록보기

본 연구는 아급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전방 뻗기 운동을 결합한 일어서기 훈련이 하지 근구조 및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대상자는 조건에 맞는 아급성 뇌졸중 환자 28명을 전방 뻗기 운동을 결합한 일어서기 훈련군 14명과 일어서기 훈련군 14명으로 무작위 배정하였다. 전방 뻗기 운동을 결합한 일어서기 훈련군은 전방 뻗기 운동을 결합한 일어서기 훈련을 하루 30분씩, 주 3일, 6주간 시행하였고 일반적인 물리치료를 하루 60분씩, 주 5일, 6주간 시행하였다. 일어서기 훈련군은 전방 뻗기 운동을 제외한 동일한 방법의 일어서기 훈련을 하루 30분씩, 주 3일, 6주간 시행하였고 일반적인 물리치료를 하루 60분씩, 주 5일, 6주간 시행하였다. 중재에 따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하지 근구조는 넙다리 곧은근의 근육 두께, 앞정강근의 근육 두께, 정적 균형은 안정성 지수(stability index), 좌/우 체중분포 대칭성, 동적 균형은 5회 반복 앉고 일어서기 검사(five times sit-to-stand test), 일어서서 걷기 검사(timed up and go tes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중재에 따른 전·후 변화를 측정한 결과 전방 뻗기 운동을 결합한 일어서기 훈련군과 일어서기 훈련군 모두 하지 근구조 및 균형이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p<0.05), 그룹 간 비교에서는 전방 뻗기 운동을 결합한 일어서기 훈련군이 일어서기 훈련군보다 동적 균형 중 일어서서 걷기 검사를 제외한 나머지 하지 근구조 및 균형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방 뻗기 운동을 결합한 일어서기 훈련이 아급성 뇌졸중 환자의 하지 근구조 및 균형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아급성 뇌졸중 환자의 하지 근구조 및 균형의 향상을 위해 임상에서 일반적인 물리치료와 함께 전방 뻗기 운동을 결합한 일어서기 훈련을 사용한다면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