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8

Ⅰ. 서론 1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1

2. 연구 문제 및 가설 20

가. 연구 문제 20

나. 연구 가설 20

3. 용어 정의 22

가. 농촌 노인 22

나. 신체활동 22

다. 성공적 노화 23

라. 기본심리욕구 23

Ⅱ. 이론적 배경 24

1. 농촌 노인 24

2. 성공적 노화 26

3. 노인의 신체활동 29

4. 기본심리욕구 32

5. 신체활동, 기본심리욕구와 성공적 노화 간의 관계 35

가. 신체활동과 성공적 노화와의 관계 35

나. 기본심리욕구와 성공적 노화와의 관계 38

다. 신체활동과 기본심리욕구의 관계 40

Ⅲ. 연구 방법 43

1. 연구대상 43

2. 연구 도구 44

가. 신체활동 44

나. 성공적 노화 46

다. 기본심리욕구 47

3. 연구 절차 48

4. 자료분석 49

Ⅳ. 연구 결과 50

1. 연구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50

2.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52

3. 신체활동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 54

4. 신체활동 하위요인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 57

Ⅴ. 논의 및 제언 60

1. 논의 60

2. 의의 및 시사점 66

3. 제한점 및 제언 68

참고문헌 70

부록 83

부록 1. 신체활동 척도 84

부록 2. 기본심리욕구 척도 88

부록 3. 성공적 노화 척도 90

부록 4. 인구통계학적 설문 92

Abstract 93

표목차

표 1. 신체활동 척도의 문항 구성 45

표 2. 성공적 노화 척도의 문항 구성과 신뢰도 46

표 3. 기본심리욕구 척도의 문항 구성과 신뢰도 47

표 4. 연구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51

표 5.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53

표 6. 신체활동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 56

표 7. 여가의 신체활동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 59

그림목차

그림 1. 신체활동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완전매개 모형 56

그림 2. 여가의 신체활동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부분매개 모형 59

초록보기

 본 연구는 농촌 노인의 신체활동, 기본심리욕구와 성공적 노화의 관계를 살펴보고, 신체활동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가 매개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양평군, 충청북도 단양군, 인천광역시 강화군 지역의 농촌 노인 133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신체활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Washburn, Smith, Jette과 Janney(1993)가 개발한 노인 신체활동 측정 도구(Physical Activity Scale for the Elderly; PASE)를 최명애, 김증임과 채영란(2010)이 번안한 한국판 노인 신체활동 측정 도구(Korean version of Physical Activity Scale for the Elderly; K-PASE)를 사용하였다. 기본심리욕구의 측정에는 Ryan과 Deci(2002)의 기본심리욕구척도(Basic Psychological Need Scale; BPNS)를 기반으로 하여 Jung(2010)이 연구 대상자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수정·보완한 기본심리욕구 척도를 사용하였다. 성공적 노화 정도의 측정을 위하여는 김동배(2008)의 한국형 성공적 노화 척도를 사용하였다.

직접 면접방식으로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고, 설문 척도의 내적일관성을 측정하고자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신체활동, 기본심리욕구와 성공적 노화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신체활동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 절차를 따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후 Sobel test를 실시하여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활동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가 완전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신체활동이 높은 농촌 노인이 더 높은 차원의 성공적 노화를 성취할 수 있는 것은 신체활동 과정 중에 증진되는 기본심리욕구의 영향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신체활동 그 자체보다는 신체활동 속에서 경험되는 긍정적 심리 요소가 성공적 노화에 직접 관련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여가의 신체활동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가 부분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농촌 노인의 여가 활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신체활동과 기본심리욕구의 충족은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여가 활동에서의 신체활동과 신체활동 과정에서 충족되는 기본심리욕구가 성공적 노화에 함께 관련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각 변인들의 상관분석 결과, 신체활동과 성공적 노화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신체활동은 기본심리욕구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본심리욕구는 성공적 노화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이는 농촌 노인의 신체활동이 증가할수록 기본심리욕구의 충족과 성공적 노화의 수준이 높아지게 되고, 신체활동을 통해 향상된 기본심리욕구는 성공적 노화를 성취할 가능성을 증진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농촌 노인이 긍정적 신체활동 과정에서 경험하는 자율적 행동, 심리적 지지, 자기 통제, 자기실현의 기본심리욕구 충족은 성공적 노화의 수준 향상에 도움을 주고 있음을 시사한다. 즉, 신체활동 속에서 증진된 긍정적 심리 요소가 농촌 노인이 자기완성 지향적인 태도로 노년기의 삶에 더 자율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자기와 타인을 수용하며, 자녀와의 관계에서 만족을 경험하는 행복한 노후의 삶을 살아갈 수 있게 지원하는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노년기의 적응에 어려움을 경험하는 농촌 노인 내담자를 상담할 때 기본심리욕구의 영향력에 초점을 두고 농촌 노인들의 신체활동의 양과 질이 충분히 충족되도록 지지함으로써 성공적 노화 수준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