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8
Ⅰ. 서론 11
1. 연구의 필요성 11
2. 연구의 목적 13
3. 용어의 정의 13
1) 욕구만족도 13
2) 의사소통능력 14
3) 그릿 14
4) 직무만족 14
Ⅱ. 문헌고찰 16
1. 임상간호사의 직무만족 16
2. 임상간호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9
1) 욕구만족도 19
2) 의사소통능력 21
3) 그릿 23
Ⅲ. 연구방법 27
1. 연구 설계 27
2. 연구대상 27
3. 연구 도구 27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8
2) 욕구만족도 28
3) 의사소통능력 28
4) 그릿 29
5) 직무만족 29
4. 자료수집 기간 및 방법 30
5. 자료 분석 방법 30
6. 연구의 윤리적 고려 31
1) 연구대상자의 윤리적 고려 31
2) 수집된 자료의 관리 31
7. 연구의 제한점 31
Ⅳ. 연구결과 32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2. 대상자의 욕구만족도, 의사소통능력, 그릿, 직무만족 정도 34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 정도의 차이 36
4. 대상자의 욕구만족도, 의사소통능력, 그릿과 직무만족의 관계 38
5. 대상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0
Ⅴ. 논의 41
Ⅵ. 결론 및 제언 48
참고문헌 51
ABSTRACT 62
부록 66
부록 1.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 심의결과 통지서 66
부록 2. 연구대상자 설명문 67
부록 3. 연구대상자 동의서 68
부록 4. 연구대상자 설문지 70
부록 5. 도구 승인 75
표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3
표 2. 대상자의 욕구만족도, 의사소통능력, 그릿, 직무만족 정도 35
표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의 차이 37
표 4. 대상자의 욕구만족도, 의사소통능력, 그릿과 직무만족의 관계 39
표 5. 대상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0
그림 1. 본 연구의 개념적 틀 26
임상간호사는 임상현장의 최일선에서 대상자에게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의료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핵심 전문인력으로 고도의 전문성을 갖춘 간호에 대한 요구는 더욱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의 활동 간호사의 비중은 OECD 국가 평균과 비교할 때 현저히 낮고, 간호사의 이직율 또한 병원 인력 중 다른 직종보다 높다. 간호사의 직무만족은 간호전문직에 대한 태도 및 의직의도를 가장 잘 설명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며 의료의 질과 업무성과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욕구만족도, 의사소통능력, 그릿, 직무만족의 관계를 확인하고 이들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임상간호사의 직무만족 향상을 도모하고, 간호사의 조기 이직 예방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B광역시 소재 K대학교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의 승인을 받은 후 B광역시에 소재한 3개 대학병원의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편의표집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먼저 연구자가 3개의 대학병원 간호부서장에게 본 연구의 목적과 방법, 진행절차를 설명하고 협조를 구한 후 2022년 8월 1일부터 동년 9월 15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도구로 직무만족은 이병숙 등(2018)이 개발한 임상간호사의 직무만족 측정도구(Job Satisfaction Scale for Clinical Nurses)로 측정하였으며, 욕구만족도는 Maslow의 욕구위계이론에 근거하여 김화진, 신선화(2020)가 개발한 간호사 욕구만족도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의사소통능력은 Rubin 등(1991)이 포괄적대인 의사소통능력 척도(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에서 제시한 8가지 의사소통능력 구성개념에 허경호(2003)가 한국의 문화에 맞게 수정·보완한 의사소통능력 도구로 측정하였으며, 그릿은 Duckworth 등(2007)이 개발한 도구를 기초로 한국문화와 임상간호환경을 반영하여 박효선 등(2020)이 개발한 임상간호사의 그릿 측정도구(Clinical Nurses Grit Scale)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 평균평점과 표준편차, 최솟값과 최댓값, 독립 t-검정(Independent t-test), 일원분산분석(ANOVA) 및 사후 비교분석(Scheffé test), 피어슨상관계수(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단계적 다중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직무만족은 평균 110.06±16.44점(도구범위:33-165), 평균평점 3.34±0.50점(척도범위:1-5)이며, 하위영역별 평균평점은 직업의 안정성과 보람이 3.74±0.72점, 전문직 간호사로서의 책임완수 3.71±0.46점, 전문적 역량발휘 3.47±0.55점, 존중 및 인정의 인간관계 3.39±0.53점, 직업을 통한 인격적 성숙 3.20±0.74점, 조직적 차원의 지원과 인정 3.03±0.56점이었다. 욕구만족도는 평균 87.39±14.65점(도구범위:30-150), 평균평점 2.91±0.49점(척도범위:1-5)이었고, 하위영역별로 소속감욕구 3.62±0.55점, 안전욕구 3.20±0.60점, 자아실현욕구 3.00±0.68점, 존중욕구 2.85±0.65점, 생리적욕구 2.19±0.71점이었다. 의사소통능력은 평균 54.35±5.46점(도구범위:15-75), 평균평점 3.62±0.36점(척도범위:1-5)이었다. 그릿은 평균 39.16±4.70점(도구범위:14-56), 평균평점 2.80±0.34점(척도범위:1-4)이었고, 하위 영역별 평균평점은 간호전문가가 되기 위한 열정 영역이 3.00±0.33점, 환자 지향적 내적동기 2.92±0.42점, 장기적인 목표달성을 위한 끈기 2.50±0.49점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 정도는 최종학력(F=3.668, p=.028), 급여 만족도(F=11.165,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직무만족은 욕구만족도(r=.764, p<.001), 의사소통능력(r=.488, p<.001), 그릿(r=.570,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릿은 욕구만족도(r=.496, p<.001), 의사소통능력(r=.523,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의사소통능력은 욕구만족도(r=.347, p<.001)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4. 대상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욕구만족도(β=.606, p<.001), 의사소통능력(β=.193, p=.001), 그릿(β=.161, p=.011), 최종학력(β=.114, p=.021)으로 확인되었으며, 회귀 모델의 직무만족에 대한 총 설명력은 66.0%이었다.
임상간호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욕구만족도, 의사소통능력, 그릿, 최종학력이 확인되었으므로 임상간호사의 직무만족 향상을 위해 간호사의 기본욕구 충족을 보장할 수 있는 실질적인 대책 마련이 우선되어야 하며, 의사소통능력과 그릿을 함양할 수 있는 중재 개발 및 간호사의 지속적인 교육과 자기개발에 대한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궁극적으로 임상간호사의 이직 의도를 감소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