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7
Ⅰ. 머리말 9
Ⅱ. 경복궁 교태전 부벽화의 제작배경 13
1. 고종연간 경복궁 중건과 교태전의 기능 13
2. 고종연간 해상화파 화조영모도의 전래와 수용 21
3. 고종연간 궁중장식화의 경향 30
Ⅲ. 경복궁 교태전 〈사계화조도〉의 내용과 특징 37
1. 조선 왕실의 鸚鵡 인식과 상징적 의미 37
2. 〈사계화조도〉의 구성과 내용 41
3. 〈사계화조도〉의 도상과 양식적 특징 52
Ⅳ. 경복궁 교태전 〈원후장생도〉의 내용과 특징 67
1. 조선 왕실의 猿猴 인식과 상징적 의미 67
2. 〈원후장생도〉의 구성과 내용 71
3. 〈원후장생도〉의 도상과 양식적 특징 77
1) 원숭이 77
2) 소나무, 대나무, 복사나무, 장미 83
3) 암석, 폭포, 서운 88
Ⅴ. 맺음말 94
참고문헌 97
도판 115
Abstract 151
도 1. 『조선총독부박물관 진열 물품 청구서』, 1918년 115
도 1-1. 교태전 부벽화 관련 부분 115
도 2. 〈사계화조도〉, 지본채색, 134.0×263.0cm, 국립중앙박물관 116
도 3. 〈원후장생도〉, 지본채색, 136.5×261.0cm, 국립중앙박물관 116
도 4. 경복궁 교태전 정면 사진, 『조선고적도보』 권10 수록 117
도 5. 〈오봉장생도〉, 19-20세기 초, 견본채색, 138.0×157.8cm, 국립고궁박물관 117
도 6. 장승업, 〈원후반도도〉, 《영모절지도》 10폭 병풍, 견본담채, 148.×35.0cm, 서울대박물관 118
도 6-1. 장승업, 〈원후반도도〉, 《영모절지도》 10폭 병풍, 견본담채, 148.×35.0cm, 서울대박물관 119
도 7. 전 장승업, 《화조영모도》 8폭 병풍, 지본수묵담채, 129.0×32.5cm, K옥션 2021년 출품작 118
도 7-1. 전 장승업, 〈원후반도도〉, 《화조영모도》 8폭 병풍, 지본수묵담채, 129.0×32.5cm, K옥션 2021년 출품작 119
도 8. 전 장승업, 《화조영모도》 10폭 병풍, 지본수묵담채, 130.5×35.5cm, 마이아트옥션 2012년 출품작 118
도 8-1. 전 장승업, 〈원후봉후도〉, 《화조영모도》 10폭 병풍, 지본수묵담채, 130.5×35.5cm, 마이아트옥션 2012년 출품작 119
도 9. 전 장승업, 《영모도》 10폭 병풍, 지본수묵채색, 106×30.0cm, 2000년 서울옥션 출품작 120
도 9-1. 전 장승업, 〈원후봉후도〉, 《영모도》 10폭 병풍, 지본수묵채색, 106×30.0cm, 2000년 서울옥션 출품작 120
도 10. 『점석재총화』에 수록된임백년의 원후도 120
도 11. 전 임백년, 〈고지요후도〉, 1891년, 지본채색, 49.0×95.0cm, 上海道明拍卖有限公司 2012년 출품작 120
도 12. 독일국립도서관 소장 시전지 『各種各箋』 수록 임백년의 원후도 121
도 13. 임백년, 〈도후도〉, 147.0×40cm, 북경 고궁박물원 121
도 14. 임예, 〈취죽백원도〉, 지본채색, 142.8×38.0cm, 중국 남경박물관 121
도 15. 임웅, 〈백원도〉, 《요섭시의도책》, 견본채색, 27.3×32.5cm, 북경 고궁박물원 122
도 16. 임백년, 〈풍후도〉, 지본채색, 106.4×51.0cm, 중국 요녕성박물관 122
도 17. 안중식, 〈원후봉후도〉, 1899년, 견본채색, 140.5×32.0cm, 국립민속박물관 122
도 18. 전 안중식, 〈원후봉후도〉, 《화조영모도》 10폭 병풍, 1894년, 지본수묵채색, 124.0×31.0cm, 개인 122
도 19. 작자미상, 〈원후포도도〉, 19-20세기, 지본담채, 64.0×126.5cm, 영국박물관 123
도 20. 〈백자 철화포도원숭이문 항아리〉, 17-18세기, 국보 93호, 높이 30.8cm, 입지름 15cm, 몸통 28.4cm, 국립중앙박물관 123
도 21. 장승업, 《영모도》 2폭, 지본채색, 각 31.5×129.5cm, 개인 123
도 21-1. 장승업, 〈오색앵무〉, 《영모도》 2폭, 지본채색, 각 31.5×129.5cm, 개인 123
도 22. 장승업, 《화조영모어해도》 10폭 병풍, 지본수묵채색, 127.3×31.5cm, 국립중앙박물관 124
도 22-1. 장승업, 〈불수앵무〉, 《화조영모어해도》 10폭 병풍 124
도 23. 장승업, 〈화조영모도〉, 1891년, 견본채색, 182.5×50.7cm, 국립중앙박물관 124
도 24. 장승업, 〈불수앵무〉, 견본채색, 74.9×31.0cm, 간송미술관 124
도 25. 전 휘종, 〈오색앵무도〉, 견본채색, 53.3×125.1cm, 미국 보스턴미술관 125
도 26. 임백년, 〈벽도앵무〉, 1879년, 견본채색, 81.7×34.3cm, 중국 영보재미술관 125
도 27. 임백년, 〈도화앵무〉, 《잡화책》, 1880년, 지본채색, 33.6×50.8cm, 중국미술관 125
도 28. 『점석재총화』 수록 장웅의 앵무새 그림 125
도 29. 이한철, 《화조도》 12폭 병풍, 1892년, 각 133.5×33.7cm, 개인 126
도 29-1. 이한철, 《화조도》 12폭 병풍의 제8폭 126
도 30. 이한철, 《화조도》 10폭 병풍, 견본호분, 각 146×30cm, 프랑스 국립기메동양박물관 126
도 30-1. 이한철, 《화조도》 10폭 병풍의 제10폭 126
도 31. 임백년, 〈옥란앵무〉, 《화조도》 6폭 병풍, 1890년, 견본금필, 153×41.2cm, 중국미술관 126
도 32. 〈왕회도〉 8폭 병풍, 견본채색, 182×446.45cm, 미국 스미소니언 산하 국립자연사박물관 127
도 32-1. 제7폭의 앵무새 부분 127
도 33. 〈십장생도〉 8폭 병풍, 견본채색, 133.3×51.8cm, 국립중앙박물관 127
도 34. 〈일월반도도〉 8폭 병풍, 견본채색, 273.0×332.8cm, 국립고궁박물관 128
도 35. 〈해학반도도〉 10폭 병풍, 견본채색, 166.0×416cm, 이화여대박물관 128
도 36. 〈서수장생도〉 10폭 병풍, 견본채색, 113.0×350.8cm, 리움미술관 128
도 37. 작자미상, 〈호렵도〉 8폭 병풍, 견본채색, 385.0×154.7cm, 국립고궁박물관 129
도 38. 전 이교익, 〈원후도〉, 《화첩》, 지본수묵담채, 국립중앙박물관 129
도 39. 『관상조류총감』 수록 뉴기니아 앵무 도식 129
도 40. 《화조도》 4폭 병풍, 19세기-20세기초, 지본채색, 각 126×45cm, 국립고궁박물관(창덕6478) 130
도 41. 심전, 〈고당쌍수도〉, 1750년, 견본수묵채색, 116.4×50cm, 미국 메트로폴리탄박물관 130
도 42. 변상벽, 〈묘작도〉, 견본담채, 93.9×43.0㎝, 국립중앙박물관 130
도 43. 장승업, 〈해당청금〉, 견본채색, 31.0×74.9cm, 간송미술관 131
도 44. 화암, 〈죽지화미〉, 《사생첩》, 20.2×25.4cm, 대만 국립고궁박물원 131
도 45. 심사정, 〈화훼초충도〉, 지본수묵담채, 163×43cm, 국립중앙박물관 131
도 46. 자수 《사계분경도》 4폭 병풍, 고려 말기 추정, 견본자수, 204×139cm, 서울공예박물관 132
도 47. 여기, 《사계화조도》, 견본채색, 각 174×99.7cm, 일본 도쿄국립박물관 132
도 48. 《화조도》 8폭 병풍, 견본채색, 145.0×382.4cm, 통도사 성보박물관 132
도 49. 〈봉수당진찬도〉, 《화성원행도병》, 견본채색, 163.7×53.2cm, 리움미술관 133
도 50. 《순조기축진찬도병》, 1829년, 견본채색, 각 149.5×52cm, 리움미술관 133
도 51. 《화조도》 4폭 병풍, 19세기-20세기초, 지본채색, 132.0×49.3cm, 국립고궁박물관(창덕 6477) 134
도 52. 《화조도》 4폭 병풍, 19세기-20세기초, 지본채색, 125.7×46.5cm, 국립고궁박물관(창덕 6483) 134
도 53. 〈매화개오복〉, 중화민국, 목판 인쇄, 21×32cm, 중국 산동성박물관 135
도 54. 〈화조도〉 8폭 병풍, 견본채색, 각 71.0×38.3cm, 리움미술관 135
도 55. 전 이한철, 〈어해도〉 10폭 병풍, 1879년 추정, 지본채색, 199.6×385.2cm, 서울역사박물관 135
도 56. 《화조도》 2폭 중 한 폭, 지본채색, 112.8×51.8cm, 일본 개인 136
도 57. 《화조도》 4폭 병풍, 19세기-20세기초, 지본채색, 121.5×47cm, 국립고궁박물관(창덕 6475) 136
도 58. 변문진, 〈삼우백금도〉, 1413년, 견본수묵채색, 151.3×78.1cm, 북경 고궁박물원 136
도 59. 안중식, 《화조도》 12폭 병풍, 19세기 후반, 견본채색, 각 129×32.4cm, 국립중앙박물관 137
도 60. 『관상조류총감』 수록 금계 실물 사진 137
도 61. 전 이암, 〈군금도〉, 16세기 후반, 일본 도쿄 오쿠라슈코칸 137
도 62. 전 이영윤, 〈금계도〉, 《화조영모도》 8폭 병풍, 견본채색, 161×53.9cm, 국립중앙박물관 138
도 63. 전 이징, 〈금계도〉, 《산수영모화첩》, 견본수묵담채, 31×21cm, 간송미술관 138
도 64. 『고씨화보』 수록 황전의 꿩 그림 138
도 65. 김득신, 〈금계도〉, 지본수묵채색, 29.6×22.4cm, 국립중앙박물관 139
도 66. 김득신, 〈추계유금〉, 견본수묵담채, 62.7×36.4cm, 국립진주박물관 139
도 67. 김홍도, 〈치희조춘〉, 지본담채, 67.2×36.4cm, 서울대학교박물관 139
도 68. 김홍도, 〈쌍치도〉, 지본담채, 67.2×36.4cm, 서울대학교박물관 139
도 69. 12등 적의본 중 한 점, 20세기초, 지본채색, 102×149cm 등, 국립고궁박물관 140
도 70. 작자미상, 〈봉황도〉, 1909년 이후, 견본금박채색, 318.6×394.9cm, 국립고궁박물관 140
도 71. 『영조법식』 수록 봉황 도식 140
도 72. 『개자원화전』 수록 참새 그림 140
도 73. 마카크 원숭이에 속하는 일본 원숭이, 타이완 원숭이 141
도 74. 전 휘종, 〈사생권〉, 39.5×52.4cm, 대만 국립고궁박물원 141
도 75. 전 휘종, 〈원후도〉, 견본수묵채색, 33.7×28.1cm, 미국 프리어갤러리 141
도 76. 전 역원길, 〈취원도〉, 견본묵필, 41.3×146cm, 일본 오사카시립미술관 142
도 77. 〈십장생도〉 8폭 병풍, 견본채색, 380.4×210.0cm, 국립고궁박물관 142
도 78. 『이탁오선생비평서유기』의 제1회 삽도 142
도 79. 『신각출상관판대자서유기』의 제1회 삽도 142
도 80. 『당삼장서유석액전』의 제1회 삽도 중 일부 143
도 81. 『신설서유기도상』의 제1회 삽도 143
도 82. 『중국소설회모본』의 서유기 제1회 삽도 143
도 83. 작자미상, 『서유기도책』의 제1회 삽도, 견본채색, 40.0×32.0cm, 중국국가박물관 143
도 84. 전 역원길, 〈원후적과도〉, 견본채색, 25.0×25.6cm, 북경 고궁박물원 144
도 85. 낭세녕, 〈화교지과연〉, 1761년, 견본채색, 109.8×84.7cm, 대만 국립고궁박물원 144
도 86. 〈십장생도〉 10폭 병풍, 1880년경, 견본채색, 201.0×52.1cm, 미국 오리건대학교박물관 144
도 87. 목계, 〈송원도〉, 《관음원학도》, 견본수묵, 173.3×99.4cm, 일본 교토 대덕사 144
도 88. 윤두서, 〈산수도〉, 《가물첩》, 1714년 장첩, 지본수묵, 30.0×17.0cm, 국립중앙박물관 145
도 89. 윤두서, 〈모자원도〉, 《홍운당첩》, 17세기말-18세기초, 견본담채, 24.7×18.3cm, 경남대학교박물관 데라우치문고 145
도 90. 전 역원길, 〈추경원록도〉, 견본채색, 36.7×321.8cm, 미국 프리어갤러리 145
도 91. 전 구영, 〈원학도〉, 견본채색, 27.7×271.1cm, 미국 프리어갤러리 146
도 92. 〈비마온〉, 33.8×18.1cm, 중국 충칭중국삼협박물관 146
도 93. 전 장승업, 《궁중화조영모도》 10폭 병풍, 견본채색, 151.0×40cm, 『조선시대 회화의 진적』(진화랑, 1997) 수록 146
도 93-1. 전 장승업, 〈원후봉후도〉, 《궁중화조영모도》 10폭 병풍 147
도 94. 작자미상, 〈원도〉, 견본수묵채색, 66.7×29.1cm, 국립중앙박물관 147
도 95. 〈요지연도〉 8폭 병풍, 견본채색, 160.0×430.0cm, 스키너옥션 2008년 출품작 147
도 96. 〈요지연도〉 8폭 병풍, 견본채색, 158.4×427.8cm, 마이아트옥션 2022년 출품작 148
도 97. 〈요지연도〉 8폭 병풍, 견본채색, 164.0×440.0cm, 아모레퍼시픽미술관 148
도 98. 〈요지연도〉 8폭 병풍(正廟朝王世子冊禮契屛), 1800년, 견본채색, 각 145.0×54.0cm, 국립중앙박물관 148
도 99. 전 백은배, 〈노송도〉, 견본수묵담채, 21.9×20.8cm, 2006년 서울옥션 104회 출품작 148
도 100. 작자미상, 〈장생도〉 8폭 병풍, 견본채색, 111.0×411cm, 개인 149
도 101. 작자미상, 〈해반도도〉, 견본채색, 213.5×151.0cm, 국립중앙박물관 149
도 102. 전 전곡, 〈선경도〉, 견본채색, 89.4×40.9cm, 국립중앙박물관 149
도 103. 작자미상, 〈모란도〉 10폭 병풍, 1820년대 추정, 견본채색, 145.0×58.0cm, 국립중앙박물관 149
도 104. 〈환어행렬도〉, 《화성능행도》 8폭 병풍, 1795년, 견본채색, 156.5×65.3cm, 리움미술관 150
도 105. 《화접도》 2폭 병풍, 지본채색, 208.4×121.8cm 서울역사박물관 150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