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논문개요 12
제1장 서론 14
제1절 연구의 목적 14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4
제2장 중국 전통문양 상징성의 이론적 배경 16
제1절 중국 전통문양 상징성의 정의와 역사 16
제2절 중국 전통문양 상징성의 의미와 중국 전통문양의 분류 17
제1항 중국 전통문양 상징성의 의미 17
제2항 중국 전통문양의 분류 25
제3장 당대·송대·명대 중국 장신구 문양의 상징성 48
제1절 당대 중국 장신구 문양에 담긴 상징성 48
제1항 모란 문양 48
제2항 보상화(寶相花) 문양 50
제3항 권초(卷草) 문양 51
제4항 봉황 문양 52
제2절 송대 중국 장신구 문양에 담긴 상징성 56
제1항 용 문양 57
제2항 연꽃 문양 58
제3항 연주 문양 60
제4항 과채 작물 문양 61
제3절 명대 중국 장신구 문양에 담긴 상징성 64
제1항 구름 문양 65
제2항 조롱박 문양 65
제3항 곤충 문양 66
제4항 인물 누각 문양 67
제5항 황실 전용 문양 - 용 문양 및 봉황 문양 68
제4장 중국 전통문양과 그 상징성을 활용한 현대 장신구 디자인 69
제1절 산업용 주얼리(Commercialjewelry)에서의 중국 전통문양의 활용 69
제2절 현대 Finejewelry에서의 중국 전통문양의 활용 73
제5장 결론 82
참고문헌 84
Abstract 86
〈그림 1〉 용 문양 19
〈그림 2〉 용 문양 19
〈그림 3〉 봉황 문양 토템 19
〈그림 4〉 봉황 문양 19
〈그림 5〉 봉황 문양 21
〈그림 6〉 사엽화포(四葉花苞) 문양 21
〈그림 7〉 복희와 여와 22
〈그림 8〉 권초(卷草) 문양 22
〈그림 9〉 오복 문양 24
〈그림 10〉 마고헌수도(麻姑獻壽圖) 24
〈그림 11〉 사계평안(四季平安) 25
〈그림 12〉 부귀만당(富貴滿堂) 25
〈그림 13〉 형가의 진시황 암살 시도(한대. 산둥 자샹 무씨 사당) 43
〈그림 14〉 죽림칠현 벽돌 그림(난징박물관 소장) 44
〈그림 15〉 허난 궁현 석굴(북위) 45
〈그림 16〉 오채마고헌수자반(五彩麻姑獻壽瓷盤) 45
〈그림 17〉 팔선경수(八仙慶壽) 자기 병(베이징고궁박물관 소장) 45
〈그림 18〉 아이가 나뭇가지에 오르는 문양(송대. 산시 출토) 46
〈그림 19〉 아이가 누운 채 연잎을 받치고 있는 베개(모사본. 송대) 46
〈그림 20〉 사녀전각(仕女磚刻)(허난 옌스 출토. 송대) 46
〈그림 21〉 연음거기(宴飲車騎) 문양 화상석(탑본. 한 대) 46
〈그림 22〉 붉은 바탕색 백자도(百子圖) 비단 이불(청대. 베이징고궁박물관 소장) 47
〈그림 23〉 당대 「잠화사녀도(簪花仕女圖)」 49
〈그림 24〉 당대 모란 연꽃 문양 천정 49
〈그림 25〉 당대 순금 봉천모란(鳳穿牡丹) 문양 장신구 49
〈그림 26〉 당대 모란 문양 금비녀 (현재 중국 시안박물관 소장) 49
〈그림 27〉 당대 보상화(寶相花) 탁본(현재 일본 정창원 소장) 50
〈그림 28〉 당대 보상화(寶相花) 봉채채수(鳳釵釵首) 50
〈그림 29〉 당대 보상화(寶相花) 금발식조(金髮飾組)(현재 산시고고박물관 소장. 촬영자: WLWORLD) 51
〈그림 30〉 권초(卷草) 문양 테두리 장식 52
〈그림 31〉 당대 권초(卷草) 문양 52
〈그림 32〉 당대 권초(卷草) 문양 52
〈그림 33〉 당대 금만초 황금장식물(시안박물관 소장) 52
〈그림 34〉 당대 봉황 문양 53
〈그림 35〉 당대 황금 봉황 머리 장식품(현재 중국 홍콩고궁박물관 소장) 53
〈그림 36〉 당대 입식 봉황 황금 머리 장식품(현재 중국 칭하이티베트의약문화박물관 소장) 53
〈그림 37〉 당대 보석 상감 황금 봉황(현재 중국 선전박물관 소장) 54
〈그림 38〉 당대 은제 국부 순금 투공(透空) 봉황 문양 비녀 54
〈그림 39〉 당대 은도금 화조 문양 빗(현재 대영박물관 소장) 55
〈그림 40〉 당대 은도금 화조 문양 빗(현재 대영박물관 소장) 55
〈그림 41〉 당대 이추(李錘) 공주 발관(髮冠)(현재 산시고고박물관 소장) 55
〈그림 42〉 원앙이 꽃가지를 물고 있는 문양을 가진 당대 관 장식(현재 홍콩 고궁문화박물관 소장) 56
〈그림 43〉 당대 나비 비녀(현재 중국 허페이박물관 소장) 56
〈그림 44〉 당대 망아지 황금 장식물(현재 산시역사박물관 소장) 56
〈그림 45〉 당대 동물 문양 옥팔찌(현재 산시역사박물관 소장) 56
〈그림 46〉 송대 쌍용 문양 동경 탁본 58
〈그림 47〉 [제목없음] 58
〈그림 48〉 송대 금쌍용간주추(金雙龍趕珠墜) 58
〈그림 49〉 [제목없음] 59
〈그림 50〉 송대 연꽃 문양 금빗(현재 중국 이현문화재보관소 소장) 59
〈그림 51〉 송대 누공하화연문금추(鏤空荷花蓮紋金墜)(현재 중국 남송관요박물관 소장) 60
〈그림 52〉 송대 전지연화옥패식(纏枝蓮花玉牌飾)(현재 광한시문화재관리소 소장) 60
〈그림 53〉 송대 화조 문양 옥패 61
〈그림 54〉 방승(方勝) 연주 문양 귀고리 61
〈그림 55〉 송대 연주 팔찌(현재 중국 후저우박물관 소장) 61
〈그림 56〉 금상수정자가(金鑲水晶紫茄) 귀고리(우위안박물관 소장품) 62
〈그림 57〉 송대 여지 금비녀 62
〈그림 58〉 송대 금과두잠(金瓜頭簪) 62
〈그림 59〉 송대 조류 및 여지 금귀고리(현재 이현문화재보관소 소장) 62
〈그림 60〉 송대 누공화두(鏤空花頭) 권초(卷草) 화훼 문양 대형 황금 비녀(현재 상하이관도박물관 소장) 63
〈그림 61〉 송대 화훼 금고렴(金梳簾) 63
〈그림 62〉 송대 영지 문양 수정비녀(현재 중국 난징시박물관 소장) 63
〈그림 63〉 청색 유리 꽃비녀(현재 쯔보도자기유리관 소장) 63
〈그림 64〉 송대 봉황상운(鳳凰祥雲) 문양 비녀(현재 홍콩 개인 소장 기관 '멍뎨셴[夢蝶軒]' 소장) 64
〈그림 65〉 송대 금투공원앙귀자장추(金透空鴛鴦貴子帳墜) 64
〈그림 66〉 명대 구름 문양 채색 비단 65
〈그림 67〉 명대 황금 속발관(束髮冠)(현재 난징시박물관 소장) 65
〈그림 68〉 명대 구름 문양 금팔찌(현재 국가박물관 소장) 65
〈그림 69〉 명대 조롱박 문양 반지 66
〈그림 70〉 명대 백옥 상감 조롱박 황금 귀고리(현재 난징시박물관 소장) 66
〈그림 71〉 명대 금옥 상감 조롱박 귀고리(현재 상하이박물관 소장) 66
〈그림 72〉 명대 거미 금비녀 67
〈그림 73〉 송대 매미 백옥 펜던트 67
〈그림 74〉 명대 보석 상감 나비 금비녀 67
〈그림 75〉 명대 보석 상감 접련화(蝶戀花) 금비녀(현재 장시성박물관 소장) 67
〈그림 76〉 명대 누각 인물 문양 금비녀(현재 국가박물관 소장) 68
〈그림 77〉 명대 효경황후 봉관 68
〈그림 78〉 망자성룡(望子成龍) 펜던트 70
〈그림 79〉 복기안강평안장명(福氣安康平安長命) 자물쇠 70
〈그림 80〉 길상여의(吉祥如意) 팔찌 70
〈그림 81〉 용봉정상(龍鳳呈祥) 71
〈그림 82〉 평안 부귀 자물쇠 조롱박 연꽃 펜던트 71
〈그림 83〉 보상화(寶相花) 앞면 72
〈그림 84〉 보상화(寶相花) 뒷면 72
〈그림 85〉 희상미초(喜上眉梢) 72
〈그림 86〉 복록 75
〈그림 87〉 창문 75
〈그림 88〉 용등상운미락주펜던트 75
〈그림 89〉 운송무학(雲鬆霧鶴) 75
〈그림 90〉 백접도(百蝶圖) 76
〈그림 91〉 용봉화명(龍鳳和鳴)·쌍봉두용(雙鳳頭龍) 문양 옥황(玉璜) 목걸이 78
〈그림 92〉 청명상하도(清明上河圖)·십리홍장(十里紅妆) 78
〈그림 93〉 고법(古法) 황금 궁쇄(宮鎖) 78
〈그림 94〉 보상화례(寶相花禮) 79
〈그림 95〉 칠성보련(七聖寶蓮) 79
〈그림 96〉 복록천장(福祿天長) 80
〈그림 97〉 대당영요(大唐榮耀) 80
〈그림 98〉 임심견록(林深見鹿) 81
〈그림 99〉 봉천모란(鳳穿牡丹) 81
〈그림 100〉 연화삼월(煙花三月) 81
본 논문은 중국 전통장신구에서 볼 수 있는 중국 전통문양의 상징성에 관한 연구논문이다. 문양의 상징성을 알아보기 위해 먼저 중국 전통문양의 상징성에 대한 정의를 분명히 했고, 중국 전통문양의 기원과 역사를 간단하게 서술했다. 문양은 시대가 변함에 정치 경제, 문화 예술, 심미적 가치, 정신적 측면 등 많은 부분에서 그 의미를 달리할 수 밖에 없다.
문양은 가시적으로 존재하는 형상 표현이자 정신문화의 상징적 표현이다. 서로 다른 전통 문양에 내포하는 의미가 다르다. 제2장에서는 중국 전통 문양의 의미의 세 가지 유형에 따라 중국 전통 문양, 힘, 생명, 상서로운 세 가지 상징적 의미와 그 대표적인 문양에 대해 논술한다. 중국 전통 문양의 재료는 광범위하고 영감은 주로 현실 속의 동물, 식물 이미지, 기하학적 도형, 인물 이미지를 추상화하여 추출하고 창작한다. 제2절은 중국 문양 기하학류, 식물류, 동물류, 인물류 등 네 가지 분류에 대해 문헌 조사법을 활용하여 서적과 문헌 등에 대해 대량의 조사를 하고 논증 설명을 한다. 각 분류의 대표 문양 명칭과 대표 사진 및 상징적 의미를 도표 형식을 통해 정리하고 설명한다. 중국의 여러 시대 중에서 제3장은 당대, 송대, 명대 등 세 시기를 선택하여 문화, 예술, 경제, 제작 공예 등 측면에서 각 시대의 대표적인 전통 문양의 특징을 설명하고 전통문양의 상징성이 전통 장신구에서의 표현 형식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현대에 이르러 주얼리 디자인은 더욱 발전했다. 서양 미학의 영향을 받았지만 전통 문양 안에 호신, 기복 등 상서로운 의미를 가진다. 이것은 전통 문양이 전해지는 근본이고 전통 문양이 현대 주얼리 디자인에서 존재하는 원인이기 때문에 전통 동양의 미학은 여전히 일정한 위치를 차지한다. 제4장은 전통 문양의 상징성이 현대 주얼리 디자인에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논술하고 사용 장면에 따라 상업용 주얼리 디자인에 있어 돌, 결혼, 일상생활의 세 가지 유형으로 실례 분석을 하여 상서로운 상징성을 가진 전통 문양이 주얼리 디자인에 활용되는 것이 소비자들의 사랑을 받는 이유를 설명한다. 그리고 대표적인 세 명의 개인 디자이너를 선택하여 그들의 작품 실례 분석을 통해 전통 문양의 상징성이 개인 디자인 작품에 활용되고 꾸준히 유지되는 이유를 설명한다.
마지막 결론은 주얼리 디자인에 있어 시간이 흐르면서 전통 문양의 상징성도 계속 발전하고 변화하지만 사람들이 아름다움, 행운, 행복 등 상서로움에 대한 소망은 변하지 않고 강렬하기 때문에 사람들이 주얼리 상품을 구매할 때 상서로움의 상징성을 가진 주얼리는 많은 소비자들의 인정을 받는다. 전통 문양의 상징성이 주얼리 디자인의 발전 미래에 대해 추측하고 전망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