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논문요약

목차

Ⅰ. 서론 9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9

2. 연구 문제 17

3. 용어의 정의 18

가. 소진 18

나. 자기불일치 18

다. 상태불안 19

라. 사회적지지 20

Ⅱ. 이론적 배경 21

1. 소진 21

가. 소진의 개념 및 구성요인 21

나. 소진 관련 선행연구 23

2. 자기불일치 26

가. 자기불일치의 개념 및 구성요인 26

나. 자기불일치와 소진의 관계 30

3. 상태불안 32

가. 상태불안의 개념 및 구성요인 32

나. 상태불안과 소진의 관계 33

4. 사회적지지 34

가. 사회적지지의 개념 및 구성요인 34

나. 사회적지지와 소진의 관계 35

5. 연구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37

가. 자기불일치, 상태불안, 소진의 관계 37

나. 자기불일치, 사회적지지, 소진의 관계 39

다. 자기불일치, 사회적지지, 상태불안, 소진의 관계 40

Ⅲ. 연구 방법 43

1. 연구 대상 43

2. 측정 도구 44

가. 소진 44

나. 자기불일치 45

다. 상태불안 48

라. 사회적지지 49

3. 자료 분석 50

Ⅳ. 연구 결과 51

1.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51

2. 측정모형 검증 53

3. 자기불일치, 상태불안, 사회적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54

4. 자기불일치와 소진의 관계에서 상태불안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55

Ⅴ. 결론 및 제언 58

1. 논의 및 결론 58

2. 제언 64

참고문헌 69

ABSTRACT 93

부록 96

표목차

〈표 Ⅲ-1〉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정보 43

〈표 Ⅲ-2〉 교사 소진 척도(TBI)의 문항 구성 및 신뢰도 44

〈표 Ⅲ-3〉 실제적 자기, 의무적 자기, 실제-의무 자기불일치의 요인부하량 46

〈표 Ⅲ-4〉 자기불일치 척도의 문항 구성 및 신뢰도 48

〈표 Ⅲ-5〉 상태불안 척도의 문항 구성 및 신뢰도 48

〈표 Ⅲ-6〉 사회적지지 척도의 문항 구성 및 신뢰도 49

〈표 Ⅳ-1〉 연구변인의 기술통계 및 상관 52

〈표 Ⅳ-2〉 측정변인들의 요인부하량 및 잠재변인 간 상관 53

〈표 Ⅳ-3〉 구조모형에서의 변인 간 경로 분석 54

〈표 Ⅳ-4〉 개별경로의 매개효과 및 이중 매개효과 57

〈표 Ⅳ-5〉 자기불일치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의 효과 분해 57

그림목차

〈그림 Ⅰ-1〉 연구모형 17

〈그림 Ⅳ-1〉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55

초록보기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불일치와 상태불안 및 사회적지지의 직·간접적인 영향에 대해 구조모형 분석을 통하여 살펴보고 교사 소진의 예방과 감소를 위한 개입 및 방안 모색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근무하는 초등학교 교사 336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사용한 척도는 Donghun Lee(2018)의 자기불일치 척도에 강영심, 이미아, 정은영(2006)의 '암묵적 접근을 통한 바람직한 초등학교 교사상의 구성요인 탐색'에 제시된 초등교사 행동 특성을 활용하여 본 연구자가 문항을 구성한 자기불일치 척도, 한덕웅, 이장호, 전겸구(1995)의 상태-특성 불안 검사지 Y형의 상태불안 척도, Caplan, Cobb, French, Harrison, & Pinneau(1980)의 척도를 박성호(2001), 유정이(2002)가 번안한 사회적지지 척도, 정연홍, 유형근(2016)의 교사 소진 척도(Teacher Burnout Inventory, TBI)이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Statistics 29.0으로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으며, Amos 26.0을 활용하여 변인 간 구조적 관계와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의 자기불일치는 소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의 상태불안은 소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교사의 사회적지지는 소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초등학교 교사의 자기불일치는 상태불안을 매개하여 소진에 유의미한 간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초등학교 교사의 자기불일치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사회적지지의 간접효과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초등학교 교사의 자기불일치는 사회적지지, 상태불안을 이중 매개하여 소진에 유의미한 간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진에 자기불일치, 상태불안, 사회적지지가 직·간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는 초등학교 교사의 소진 경험의 감소를 위한 개입 가능성을 보여주며, 자기불일치와 상태불안의 수준을 조절하고 사회적지지 향상을 위한 상담 전략과 지원 방안의 필요성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