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개요 7

Ⅰ. 서론 8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8

2. 용어 정의 13

가. 균형적 시간조망 13

나. 안녕감 13

다. 우울 13

라. 삶의 의미 14

Ⅱ. 이론적 배경 15

1. 대학생의 안녕감과 우울 15

가. 대학생의 안녕감 15

나. 대학생의 우울 17

2. 시간조망과 안녕감 및 우울 간의 관계 18

가. 시간조망의 개념적 정의 18

나. 시간조망과 안녕감 20

다. 시간조망과 우울 22

3. 시간조망과 삶의 의미 간의 관계 24

가. 삶의 의미의 개념적 정의 24

나. 시간조망과 삶의 의미 간의 관계 26

4. 삶의 의미와 안녕감 및 우울 간의 관계 28

가. 삶의 의미와 안녕감 간의 관계 28

나. 삶의 의미와 우울 간의 관계 30

5. 연구문제 34

Ⅲ. 연구방법 36

1. 연구 참여자 36

2. 측정 도구 37

가. 균형적 시간조망 37

나. 안녕감 38

다. 우울 39

라. 삶의 의미 40

3. 연구 절차 41

4. 통계분석 41

Ⅳ. 연구결과 42

1.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치 42

2. 성별 및 학년에 따른 차이 검증 43

가. 성별에 따른 균형적 시간조망, 안녕감, 우울, 삶의 의미 43

나. 학년에 따른 균형적 시간조망, 안녕감, 우울, 삶의 의미 45

3. 연구모형 검증 47

가. 상관분석 결과 47

나. 균형적 시간조망과 안녕감의 매개모형 검증 48

다. 균형적 시간조망과 우울의 매개모형 검증 50

Ⅴ. 논의 및 제언 52

1.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 52

2. 연구의 의의 56

3.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57

참고문헌 60

부록 71

〈부록 1〉 설문 안내문 및 동의서 72

〈부록 2〉 균형적 시간조망 척도 73

〈부록 3〉 안녕감 척도 75

〈부록 4〉 우울 척도 77

〈부록 5〉 삶의 의미 척도 78

〈부록 6〉 인구학적 질문지 79

ABSTRACT 80

표목차

표 1. 연구 참여자의 인구학적 특성 36

표 2. 균형적 시간조망 척도의 신뢰도 37

표 3. 안녕감 척도의 신뢰도 38

표 4. 우울 척도의 신뢰도 39

표 5. 삶의 의미 척도의 신뢰도 40

표 6.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치 42

표 7. 성별에 따른 주요 변인의 차이 44

표 8. 학년에 따른 주요 변인의 차이 46

표 9. 주요 변인 간 상관분석 결과 47

표 10. 균형적 시간조망이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49

표 11. 균형적 시간조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51

그림목차

그림 1. 연구모형1 35

그림 2. 연구모형2 35

그림 3. 연구모형1의 검증 결과 49

그림 4. 연구모형2의 검증 결과 51

초록보기

본 연구는 균형적 시간조망이 대학생의 안녕감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론과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균형적 시간조망, 안녕감, 우울, 삶의 의미 간의 인과적 관계로 구성된 연구 모형을 설정하였다. 모형의 검증을 위해 대학생 415명으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회귀분석과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여 그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먼저 대학생의 균형적 시간조망, 안녕감, 우울, 삶의 의미가 성별 및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균형적 시간조망, 안녕감, 우울, 삶의 의미는 성별 및 학년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삶의 의미의 하위변인 중 하나인 의미의 존재는 학년에 따른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다음으로, 대학생의 삶의 의미가 균형적 시간조망이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지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생의 삶의 의미는 균형적 시간조망이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정적으로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대학생의 삶의 의미가 균형적 시간조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지 검증하였다. 그 결과, 대학생의 삶의 의미는 균형적 시간조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부적으로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자면, 균형적 시간조망은 대학생의 안녕감과 우울의 주요한 설명변인이며 이들 간의 관계를 삶의 의미가 매개한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이는 균형적 시간조망을 기반으로 한 안녕감 증진 또는 우울 예방 프로그램을 계획하는 데 있어 삶의 의미 또한 증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