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9

제1절 연구목적 9

제2절 선행연구 12

제3절 연구방법 및 내용 19

제2장 멜라니 클라인과 아동정신분석 23

제1절 멜라니 클라인의 생애와 업적 29

제2절 아동정신분석의 역사와 놀이치료 33

1. 아동정신분석의 역사 33

2. 놀이치료 43

제3절 아동 정신분석에서의 애도과정 49

제3장 멜라니 클라인의 정신분석 주요개념들 60

제1절 환상 60

1. 프로이트의 환상 60

2. 클라인의 환상 64

제2절 내적 대상 70

제3절 투사적 동일시 74

제4절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77

제5절 죽음본능 79

제6절 시기심 83

제7절 상징 92

1. 무의식과 상징 92

2. 상징의 억압과 해석 93

3. 프로이트의 상징 93

4. 상징의 개별적 접근 94

5. 클라인의 놀이와 상징 94

6. 편집-분열적 자리와 상징 95

7. 우울적 자리와 상징 97

제4장 멜라니클라인의 애도이해 98

제1절 편집-분열적 자리 98

제2절 우울적 자리 104

제3절 멜라니 클라인의 애도 평가 기준 109

1. 발달적 문제의 평가 110

2. 관계양상의 평가 111

3. 감정의 평가 114

4. 동일시의 평가 116

5. 방어의 평가 118

제4절 멜라니 클라인의 애도 사례 120

1. 사례1 애도가 꼭 필요한 전형적 편집-분열적 자리의 레이첼의 꿈 120

2. 사례2 우세해지는 우울적 자리로의 D의 꿈 123

제5장 멜라니 클라인의 애도이해에서 본 사례연구 127

제1절 내담자 정보 127

1. 호소문제 127

2. 내담자의 사회적 정보 127

3. 내담자 자료 128

4. 연구방법 130

제2절 상담과정 134

1. 초기과정 (1~5회기) : 무의식적 환상과 대상관계 경험 134

2. 중기과정 (6-13회기) : 상징작업 통한 내적 대상관계 재구축 142

3. 종결과정 (14-20회기): 애도와 보상의 차원으로서의 창조와 승화 154

제3절 멜라니 클라인의 애도이해에서 본 상담평가 160

1. 발달적 문제의 평가 161

2. 관계양상의 평가 168

3. 감정의 평가 171

4. 동일시의 평가 173

5. 방어의 평가 175

제6장 결론 177

참고문헌 183

ABSTRACT 191

초록보기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stopped psychoanalytic mourning process of adults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Melanie Klein's psychoanalytic object relationship, which argues the interaction of an individual's first-time object relationship experience with human mental development and the external world. The loss of something that an adult loves is the loss of an inner object formed inside, so he feels that much unknown pain, and also conflicts to recover.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is possible to pray for healthy mourning of adults who have a profound effect on human mental development without limiting mourning to bereavement. In particular, the loss of an individual's dignity to lose something is that he must face not only death but also suffering from the inner world.

Klein emphasized the role of early target relationships and unconscious fantasies, finding that bad objects are projected outward, and that the re-internal transition is deeply embedded within the original fantasy object relationship. Therefore, the inner emotions and unconscious fantasies of adult clients are transferred to counselors and counselors. Klein's mourning process is associated with that lost and with the first inner objects, and means regressing to that point and overcoming the tidal defenses. If there is an absence and deficiency of a good inner object at this time, the anxiety of the mourner is further amplified, and healthy mourning is disturbed. Therefore, the counselor understands the loss of the client who is speaking at the current point of view in his deeper unconscious world.

Mourning begins from the point that unconscious infant and infant emotions are reproduced based on Klein's theory, and becomes possible with a good inner object relationship experience that transforms his inner object in life now-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