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0

제1장 서론 13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3

제2절 연구 문제 18

제3절 용어의 정의 19

1. 치매와 치매노인 19

2. 부양부담감 19

3. 사회적 단절감 19

제2장 이론적 배경 21

제1절 치매의 개념과 의학적 특성 이해 21

1. 치매의 개념 및 중요성 21

2. 치매의 유형별 특성 이해 25

3. 치매의 증상과 원인 33

제2절 부양자들의 부양부담감 36

1. 부양가족의 부양부담감 36

2. 배우자의 부양부담감 41

제3절 부양자의 사회적 단절감 46

제4절 미술치료와 치매 가족부양 48

제3장 선행연구 50

제1절 미술치료를 통한 부양부담감 관련 선행연구 50

제2절 미술치료를 통한 사회적 단절감 관련 선행연구 51

제4장 연구방법 53

제1절 연구모형 53

제2절 연구대상 54

1. 연구대상자 선정 54

2. 치매 가족 부양자의 일반적인 특성 54

3. 부양자가 돌보는 치매 부모의 일반적 특성 60

제3절 연구 기간 및 장소 64

제4절 연구 도구 65

1. 부양부담감 검사 65

2. 노인부양 스트레스 검사 66

3. 우울감 검사(한국판 CES-D) 67

4. 단절감(ASD: A Sense of Disconnection) 검사 68

5. 투사적 그림검사(Projective test) 70

6. 인물화 검사법 74

제5절 연구 단계별 목표 및 진행과정 76

1. 미술치료 단계별 목표 76

2. 미술치료 진행 과정 77

3. 분석 방법 81

제5장 연구결과 및 해석 82

제1절 부양자의 부양부담감의 변화 82

1. 부양부담감 사전/사후검사 결과 82

2. 부양 스트레스검사 사전/사후검사 결과 83

3. 우울감 검사 사전/사후 검사 결과 84

제2절 미술치료 프로그램 진행 85

1. 동적가족화 85

2. 부양자의 사회적 단절감의 변화 131

제6장 연구 결과 167

제1절 부양자의 부양부담감과 스트레스 및 우울감 167

1. 부양자의 부양부담감 변화 효과 167

2. 부양자의 부양스트레스의 변화 효과 169

3. 부양자의 우울감의 변화 효과 170

4. 부양자의 단절감의 변화 효과 172

제7장 결론 174

제1절 요약 및 결론 174

제2절 논의 및 제언 175

1. 논의 175

2. 제언 178

참고문헌 181

Abstract 199

부록 203

표목차

〈표 2-1〉 DSM-IV 진단기준 치매 22

〈표 2-2〉 치매의 원인질환 34

〈표 2-3〉 치매의 정도와 증상 35

〈표 4-1〉 부양자의 일반적 특성 59

〈표 4-2〉 치매 부모의 일반적 특성 63

〈표 4-3〉 연구진행과정 65

〈표 4-4〉 하위영역별 문항번호 69

〈표 4-5〉 미술치료 프로그램 단계별 목표 77

〈표 4-6〉 단계별 진행과정 78

〈표 4-7〉 미술치료 프로그램 79

〈표 5-1〉 부양부담감 사전/사후검사 82

〈표 5-2〉 부양스트레스검사 사전/사후검사 83

〈표 5-3〉 우울감 검사 사전/사후 검사 84

〈표 5-4〉 사과-동적가족화(KFD) 사전/사후 변화 88

〈표 5-5〉 메론-동적가족화(KFD) 사전/사후 변화 90

〈표 5-6〉 체리-동적가족화(KFD) 사전/사후 변화 93

〈표 5-7〉 수박-동적가족화(KFD) 사전/사후 변화 97

〈표 5-8〉 단절감 사전/사후 검사 132

그림목차

[그림 4-1] 연구모형 53

[그림 6-1] 부양부담감검사 168

[그림 6-2] 부양스트레스 검사 169

[그림 6-3] 우울감 검사 170

[그림 6-4] 단절감 검사 172

초록보기

본 연구는 치매 환자를 돌보는 부양자들에게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부양자의 부양부담감, 사회적 단절감의 감소에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가 부양자의 부양부담감 감소에 어떤 효과가 있는가?

둘째, 미술치료가 부양자의 사회적 단절감에 어떤 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자선정은 경기도 B시에 사는 부양자들을 대상으로 가족 중 치매 진단을 확정받은 후 수면시간 외에 1일 평균 6시간~12시간 동안 같은 거주지에 살고 있거나, 최근에 치매 가족과 같은 거주지에 거주 경험이 있는 부양자를 연구대상자로 선정했다. 모집된 인원 7명 중에서 본 연구의 목적이나 취지를 잘 이해하고 적극적인 참여자들만 30대 1명, 40대 2명, 50대 1명으로 최종 4명을 선정했고, 부양자의 성비는 남성이 1명, 여성이 3명이다.

연구 절차는 신청자 모집 기간은 2021년 12월 01일~2022년 2월 05일까지 모집하였고, 사전 검사는 미술치료 본 프로그램 실시 일주일 전 2022년 2월 19일에 실시했고, 일주일에 1회씩, 매주 토요일마다 평균 1시간 30분 이상씩 진행했고, 사후검사는 4월 16일 종료 된 후 일주일 뒤에 2022년 04월 23일과 30일에 걸쳐서 하루 5시간씩 총 10회기를 OO주간보호센터 내 상담실에서 진행을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분석을 위한 도구는 부양부담감 척도는 Zarit(1980)가 개발한 Burden Inventory 척도를 권중돈(1995)이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부담감 척도는 총 28문항으로 Likert 5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부양스트레스의 측정 도구는 권중돈(1994)이 사용한 척도 중 중복된 문항과 우리나라의 현실에 적용 불가능한 항목을 제외하고 선정한 103개 항목 중에서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우울감 측정은 Radloff(1977)의 CES-D를 이용한 한국판 CES-D 20문항 사용하였다. 단절감(ASD)검사는 사회적 회피 및 불안 척도(SADS) 검사를 재구성하여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사회적 회피 및 불안 척도는 Watson과 Friend(1969)가 고안한 Measurement of Social-Evalu-ative Anxiety를 최정훈과 이정윤(1994)이 다시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미술프로그램을 위한 검사 도구는 동적 가족화를 비롯한 10종류의 그림검사 도구를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각각의 진단지를 통한 사전/사후검사와 미술프로그램에서의 각각 그린 그림들을 종합하여 볼 때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음을 볼 수가 있다.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기존의 선행 연구에서 보여주듯이 치매 환자를 돌보는 부양자들의 경제적 부담감으로부터 오는 부양 스트레스와 심리‧정서적인 스트레스와 지속하는 우울감으로 스스로 고립되거나 단절된 채로 살아가는 부양자들의 고통을 감소시켜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미술치료를 통해서 치매 가족을 부양하면서 삶의 생동감을 잃어버린 채로 살아가는 부양자들에게 삶의 의지를 북돋아 주고, 사회적 관계 형성에 있어서 주저하거나 소극적인 태도로 일관하지 않도록 가치관을 새롭게 정립하게 해주며 자기표현 능력과 더불어 자기인식과 대인관계 개선에 큰 영향을 주는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는 계기가 되었다. 따라서 본연구가 앞으로 더 증가할 치매 가정의 부양자들에게 교육적 가치가 있고, 상담학적, 사회복지학적 가치가 있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