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논문요약 10
제1장 개요 11
1. 연구 배경 11
2. 연구 방법 13
제2장 예비적 고찰 15
1. 한국 리얼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포맷 15
1.1. 리얼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의 정의와 특징 15
1.2. 리얼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포맷의 의미 19
1.3. 리얼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포맷의 구성 20
2. 베르그손의 "기계적인 뻣뻣함" 이론 22
2.1. 베르그손의 웃음 미학 22
2.2. "기계적인 뻣뻣함" 개념 29
제3장 리얼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포맷에 내재된 "기계적인 뻣뻣함" 36
1. 외연적 요소 - "기계적인 뻣뻣함"유도 의도를 가진 게임 36
1.1. 형태와 움직임의 희극성 37
1.2. 사건과 상황의 희극성 40
2. 내포적 요소 - 출연자 캐릭터의 "기계적인 뻣뻣함" 46
2.1. 경직성(Rigidity) 48
2.2. 자동성(Automatism) 50
2.3. 방심(Absent-mindedness) 51
2.4. 비사회성(Unsociability) 52
제4장 "기계적인 뻣뻣함" 개념을 통한 〈런닝맨〉 포맷 분석 55
1. 〈런닝맨〉 게임 포맷 요소인 게임에 대한 분석 55
1.1. 경직성(Rigidity) 56
1.2. 자동성(Automatism) 61
1.3. 방심(Absent-mindedness) 63
1.4. 비사회성(Unsociability) 65
2. 〈런닝맨〉 포맷 요소인 출연자의 캐릭터에 대한 분석 67
2.1. 경직성(Rigidity) 68
2.2. 자동성(Automatism) 70
2.3. 방심(Absent-mindedness) 71
2.4. 비사회성(Unsociability) 72
제5장 결론 75
참고문헌 78
ABSTRACT 84
〈표 1〉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포맷의 유형 분류 15
〈표 2〉 TV 프로그램 포맷 개발 개념도 21
〈표 3〉 베르그손 "기계적인 뻣뻣함" 이론 희극성 유형 및 특징 36
〈표 4〉 영상자막 사례(1): 캐릭터 구축 및 강화 50
〈표 5〉 〈런닝맨〉1회-10회 벌칙 포맷의 변화 60
〈표 6〉 자동성을 유발한 게임 예시 62
〈표 7〉 〈런닝맨〉 만의 세계관 65
〈표 8〉 〈런닝맨〉 고정 출연자의 캐릭터 69
〈표 9〉 〈런닝맨〉 고정 출연자 캐릭터의 비사회성 73
〈그림 1〉 기계적인 뻣뻣함의 구성 요소를 기반으로 한 연구 모델 55
〈그림 2〉 〈런닝맨〉 공간 제한을 가진 게임 예시 56
〈그림 3〉 〈런닝맨〉 경직성 유발 의도를 가진 장치 예시 58
〈그림 4〉 제작진이 1위를 취득한 출연자에게 부여한 권한 61
〈그림 5〉 '불나방' 캐릭터를 수행하는 유재석과 그의 행동을 예측한 양세찬 70
이 논문의 목적은 웃음 이론의 관점에서 한국 리얼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포맷을 해석하는 방법을 탐구하는 데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장르는 코미디적인 성격을 지니므로 이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베르그손의 『웃음』에서 제시한 "기계적인 뻣뻣함" 개념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 개념은 생명적인 것에 덧붙여진 기계적인 것이 웃음을 유발한다고 주장하며, 희극적인 웃음을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 베르그손의 웃음 철학과 한국 리얼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포맷 내 웃음 유발 원리 사이의 유사점이 발견되었다. 프로그램의 게임 구조에서 출연자들의 우아함을 무너뜨리고 그들의 신체적 경직성을 유발하려는 의도를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출연자들의 캐릭터에 경직성, 자동성, 방심, 비사회성과 같은 네 가지 "기계적인 뻣뻣함" 핵심 요소들이 나타난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를 수행하여 이전에 언급한 네 가지 핵심 요소를 기반으로 연구 모델을 구성하고 방송 포맷의 구조와 형식을 살펴본다. 이렇게 구성된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최장수 리얼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인 〈런닝맨〉 시리즈를 분석한다. 그 결과로, 한국 리얼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이 베르그손의 웃음이론에 부합한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한국 리얼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의 포맷 연구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한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