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Ⅰ. 서론 11

1. 연구의 필요성 11

2. 연구의 목적 14

3. 연구의 제한점 14

4. 용어의 정의 15

가. 대학 입시제도 15

나. 체육관련 학과 15

다. 체대입시 15

라. 체육대학 입시학원 15

마. 진로결정 16

Ⅱ. 이론적 배경 17

1. 우리나라 대학 입시제도 17

2. 체육계열 관련학과 19

3. 체육대학 입시학원 21

4. 진로결정 22

Ⅲ. 연구방법 24

1. 연구 참여자 24

2. 연구계획 25

3. 자료수집 및 분석 26

4. 자료의 진실성 및 윤리성 27

Ⅳ. 연구결과 28

1. 체육관련학과 진로결정 준비과정 28

가. 운동경력 및 취미생활 28

나. 지도자를 꿈꾸는 체육인 29

다. 진로결정 후 부모님과 주변인의 반응 31

2. 체육관련학과 대학입학 준비과정에서의 어려움 32

가. 학업 성적 및 실기능력의 정체(부상) 33

나. 담임선생님 상담의 필요성 34

3. 체육관련학과 준비과정의 만족감 및 개선방안 35

가. 학교에서의 입시체육 문제점과 학원의 차이 36

나. 대학입시 과정에서의 개선방안에 대한 학생들의 생각 38

Ⅴ. 논의 40

Ⅵ. 결론 및 제언 42

1. 결론 42

2. 제언 43

참고문헌 44

부록 46

ABSTRACT 49

표목차

〈표 Ⅱ-1〉 2024학년도 대학입학전형 18

〈표 Ⅱ-2〉 전문대학과정 체육계열 학과 및 학생·교원수 현황 19

〈표 Ⅱ-3〉 4년제 대학과정 체육계열 학과 및 학생·교원수 현황 21

〈표 Ⅲ-1〉 연구참여자의 개인적 특성 25

〈표 Ⅲ-2〉 연구계획 표 25

그림목차

[그림 Ⅱ-1] 체육계열 고등·대학교·대학원 학과·학생·교원수 20

[그림 Ⅲ-1] 연구 설계 26

초록보기

 본 연구는 체육학과 수험생들의 진로결정에 대한 과정과 입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방해요인이 있는지 그에 대한 개선점은 무엇이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수험생들에게 도움을 주고 지도자가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기본적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목적표집법을 적용하여 현재 강원도 소재 체대입시 학원에 재학중인 수험생 9명을 선정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귀납적 분석을 통해 자료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이 범주화 되었다.

첫째. 체육관련학과 진로결정 준비과정에서 연구참여자들은 어린시절부터 운동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었으며, 선수생활 및 자신의 미래에 관한 꿈을 가지고 체육관련 학과 입시를 준비하고 있었다.

둘째. 대학입학 준비과정에서의 어려움은 학업성적과 실기능력이 정체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으며, 학교에서 담임선생님과의 상담시간이 부족한 부분으로 나타났다.

셋째, 체육관련학과 준비과정에서 만족감과 앞으로 개선방안은 학교시설에 대한 아쉬움을 사설 입시학원에서 충족하고 있으며 안정적으로 몸을 관리하며 체대입시를 준비할 수 있는 환경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이라는 중요한 인생의 전환점에서 수험생의 진학상담과 다양한 직업 정보 등이 우선적으로 제공되는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하며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체육학과 수험생들의 원활한 대학 진학 준비를 위한 과정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