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Abstract 6

국문 개요 8

제1장 서론 9

제1절 연구 동기와 목적 9

제2절 선행 연구 10

제2장 송대 해상 실크로드 교역의 발전 과정 15

제1절 송대 정치경제문화적 요인 15

제2절 송대 해상 교통적 요인 18

1. 조선기술 18

2. 항해 기술 19

제3장 송의 해상 실크로드 교역 상품 23

제1절 송과 동남아시아의 교역품 23

제2절 송의 해상 실크로드 교역 성격 : 조공 무역 33

제4장 송의 해상 실크로드 교역 기구 36

제1절 송의 대외무역 기구 36

제2절 송의 상업 기구 42

제3절 송의 해상 교역 운영 48

제5장 송대 해상 실크로드 교역의 영향 52

제1절 중국과 동남아시아 문화 교류의 촉진 52

제2절 동남아 지역 무역경제의 변화 56

제6장 결론 57

참고 문헌 59

초록보기

 송대는 중국 해상 실크로드의 황금기였고 또한 동남아시아 지역의 무역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 시기다. 본고는 이 시기 중국과 동남아시아 간 해로 교역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송대부터 해상 실크로드 연선 국가에 수출된 상품은 주로 농산물, 수공 예품, 화폐였다. 그중 곡물과 차잎은 중국의 수출품이었다. 송대는 중국 차 문화의 전성기였으며 차는 중국 사람들의 일상 음료일 뿐만 아니라 선물 및 외교 교류에도 널리 사용되었다. 차 외에 도자기와 비단도 주요 수출품이었다. 이러한 상품은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독특한 우위와 경쟁력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상품의 유통과 교환은 독특한 무역 방식을 통해 이루어졌고 중국과 동남아시아 간 교류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송대 이전의 해상 무역은 여러 조건의 제한으로 인해 비교적 발전이 완만했다. 송대에 이르러서야 상품 경제, 정치, 조선업과 항해 기술 등 제반 영역이 현저히 발전함에 따라서 해외 무역은 대대적으로 발전하였고, 양송 시대에 공전의 번영을 이루는 새로운 단계에 진입했다. 이 단계의 특색 중 하나는 민간 부문 해외 무역의 발전인데 정부 주관 해외 무역을 앞지를 정도였다.

송대 해상 실크로드 기구는 여러 교역 방식을 가지고 있었고 이들 방식은 서로 보완되면서 경고한 네트워크를 형성했다. 상인들은 해외에 두터운 신뢰 관계를 구축했고, 이를 기반으로 동남아시아 교역이 활발히 추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