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 개요 12

Ⅰ. 서론 14

1. 연구 배경 및 목적 14

2. 연구 방법 및 범위 14

Ⅱ. 이론적 고찰 16

1. 아르누보 16

1) 배경 및 개념 16

2) 조형적 특징 17

3) 타이포그래피(Typography) 23

4) 표현 사례 연구 25

2. 액자 29

1) 배경 및 개념 29

2) 시대별 특징 30

3) 표현 사례 연구 40

Ⅲ. 작품 제작 및 설명 46

1. 제작 의도 및 배경 46

2. 제작 및 표현 방법 47

1) 제작 방법 47

2) 표현 방법 50

3) 소지 54

4) 시유 및 소성 56

Ⅳ. 작품 설명 58

Ⅴ. 결론 81

참고문헌 83

Abstract 86

표목차

〈표 1〉 작품 제작 과정 15

〈표 2〉 아르누보 양식의 조형적 특징 22

〈표 3〉 아르누보 서체 23

〈표 4〉 아르누보 당시 포스터에 사용된 서체 24

〈표 5〉 아르누보 스타일 서체 24

〈표 6〉 아르누보 광고 포스터 25

〈표 7〉 루크우드 도자기 회사 도자기 27

〈표 8〉 루크우드 도자기 회사의 2023 아르누보 컬렉션 28

〈표 9〉 Frames and Profiles 36

〈표 10〉 시대별 액자 양식 특징 38

〈표 11〉 사례작가의 작품 특징 45

〈표 12〉 유토를 통한 원형 작업과정 48

〈표 13〉 3D프린터를 이용한 원형 작업과정 48

〈표 14〉 석고 틀 제작 48

〈표 15〉 액자 작업과정 49

〈표 16〉 양각 글자 장식 작업과정 50

〈표 17〉 부조 글자 장식 작업과정 50

〈표 18〉 음각 글자 장식 작업과정 51

〈표 19〉 A Brief Guide to Ornament 52

〈표 20〉 아르누보 장식 특징과 작품에 적용 사례 53

〈표 21〉 안료 퍼센트에 따른 슬립 발색 변화 실험 (투명매트유, 무시유, 투명유) 54

〈표 22〉 색 슬립 사용 55

〈표 23〉 투명유 조합비 56

〈표 24〉 투명매트유 조합비 56

〈표 25〉 유백유 조합비 56

〈표 26〉 안료 퍼센트에 따른 유약 발색 변화 실험 (1, 3, 5%) 57

〈표 27〉 'RUN ON' 작품 아이디어 과정 71

도판목차

[도판 1] Continental Havana Company interior, Henry van de Velde, 1899, Courtesy Richard Hollis 19

[도판 2] Front Cover of Wren's City Churches, Arthur Heygate Mackmurdo, 1883, Victoria and Albert Museum, London 19

[도판 3] Chair, Arthur Heygate Mackmurdo, 1882, Victoria and Albert Museum, London 19

[도판 4] Victoria Horta : Tassel House, 1892~1893, Victor Horta, Wikimedia Commons 20

[도판 5] Victoria Horta : Tassel House, 1892~1893, Victor Horta, Wikimedia Commons 20

[도판 6] Whiplash, Hermann Obrist, 1895, Münchner Stadtmuseum, Munich 20

[도판 7] Tropon poster, Henry van de Velde, 1899, The Museum of Modern Art, New York 21

[도판 8] Cover Illustration for Scottish Musical Review, Charles Rennie Mackintosh, 1895, MoMA, Manhattan 21

[도판 9] Argyle chair, Charles Rennie Mackintosh, 1898~1899, Museum of Applied Arts and Sciences, Sydney 21

[도판 10] The Kiss, Gustav Klimt, 1908, the Fine Arts Museums of San Francisco 22

[도판 11] Adele Bloch-Bauer I, Gustav Klimt, 1907, Neue Galerie, New York 22

[도판 12] Art Nouveau landscape pendant necklace, 1900, Georges Fouquet, CHRISTIE'S IMAGES LTD 26

[도판 13] The Georges Fouquet store at the Musée Carnavalet, designed by Alphons Mucha, photos by Sandrine Merle 26

[도판 14] 서양 미술사 연표 30

[도판 15] Framed wooden panel with painted... 30

[도판 16] Madonna and Child, with Saints Peter and John the Evangelist, and Man of Sorrows, Nardo di Cione, 1360 31

[도판 17] Tabernacle Frame 31

[도판 18] Tabernacle Frame, 1530~1550 31

[도판 19] Various Cassetta Frame Profiles and Ornamentation. Paul Mitchell and Lynn Roberts, "A History of European Picture Frames", Annotations by John O'Keefe Jr. 32

[도판 20] Cassetta Frame, Unknown, 1500~1 550, Victoria and Albert Museum, London 33

[도판 21] Cassetta Frame, Unknown, 1500~1600,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New York 33

[도판 22] Tondo Frame, Del Tasso Family, 1510~1540, Victoria and Albert Museum, London 33

[도판 23] Doni Tondo, Michelangelo Buonarroti, 1506~1507, Uffizi Gallery, Florence 33

[도판 24] A carved and partially gilded Sansovino frame, 1560~1580, The National Gallery, London 33

[도판 25] Sansovino style frame, 1570,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New York 33

[도판 26] Louis XIII Frame, BArnold Wiggins & Sons Ltd. 34

[도판 27] Louis XIV gilt wood trophy frame with antique looking-glass, 1700 34

[도판 28] Charles XI of Sweden, 1700~1710 34

[도판 29] Louis XV frame (detail), 1770 35

[도판 30] Louis XVI frame (detail), 1770 35

[도판 31] Louis XVI frames, 1760~1800, Paul Mitchell & Lynn Roberts 35

[도판 32] The song of the times, Zang der tijden, 1893, Kröller-Müller Museum, Netherlands 36

[도판 33] Couple with their heads filled with clouds, Salvador Dalì, 1936, Museum Boijmans van Beuningen, Rotterdam 36

[도판 34] Escaping criticism, Pere Borrell del Caso, 1874, Collection of the Banco de España, Madrid 36

[도판 35] Lijst voor tekening Diepzeetuin door A. van Zeegen jr., anonymous, 1917, Museumstraat 1, Amsterdam 37

[도판 36] Portret van een onbekende jonge vrouw, anonymous, 1920 ~1950, Museumstraat 1, Amsterdam 37

[도판 37] Smalle wit gecoate metalen lijst, anonymous, 1983, Museumstraat 1, Amsterda 37

[도판 38] Scenes from Dogmore Island, Roy De Forest, 1991, Brian Gross Fine Art 41

[도판 39] Luck of the Red Dog, Roy De Forest, 1997, MutualArt 41

[도판 40] Dogman and Indian, Roy De Forest, 2006, Brian Gross Fine Art 41

[도판 41] Fever dream in', Alicia Adamerovich, 2020 42

[도판 42] Butterfly, Alicia Adamerovich, 2020 42

[도판 43] Genesis, Alicia Adamerovich, 2021 42

[도판 44] Beloved by the caterpillar, Stephanie Temma Hier, 2020, Arsenal Contemporary Art New York 42

[도판 45] When seagulls follow a trawler, Stephanie Temma Hier, 2020, Franz Kaka, Toronto 42

[도판 46] What Sort Of A Voice?, Stephanie Temma Hier, 2021, Bradley Ertaskiran 42

[도판 47] The Dreamer 1, Nandan Ghiya, 2012, 10 Chancery Lane Gallery, Hong Kong 43

[도판 48] The Dreamer 4, Nandan Ghiya, 2012, 10 Chancery Lane Gallery, Hong Kong 43

[도판 49] The Bouquet, Nandan Ghiya, 2012, 10 Chancery Lane Gallery, Hong Kong 43

[도판 50] DSC02065, Nandan Ghiya, 2012, Exhibit 320, New Delhi 43

[도판 51] Jacques, Darryl Cox, Jr, Fusion Frames NW 44

[도판 52] Titan, Darryl Cox, Jr, Fusion Frames NW 44

[도판 53] Winter, Darryl Cox, Jr, Fusion Frames NW 44

[도판 54] Flynn, Darryl Cox, Jr, Fusion Frames NW 44

[도판 55] 제작 과정 순서 47

[도판 56] 카세타 액자 구성 49

초록보기

 아르누보(Art Nouveau)는 장식이 기능과 실용성에 어긋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사용하며 뒤받쳐 주는 역할에서 벗어나 예술품에서 일상생활용품까지 미적인 시각 안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자연을 일상에서도 즐기고자 하였으며 예술가들은 다양한 장식을 통해 자연을 반영하는 작품들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자는 장식 예술을 가장 잘 반영하고 있는 작품 중 하나를 액자라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자주 접해왔음에도 불구하고 액자를 기억하는 경우는 드물고 작품의 네 면을 감싸주는 역할에 그치는 틀의 개념으로만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인식에서 벗어나고자 액자의 다양한 양식과 특징을 탐구하였고 시대별 액자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그 안에서 표현의 소재로 사용될 수 있는 요소를 발견하였고 이를 중심으로 의미를 포함하고 전달하는 도자 액자를 제작하고자 하였다.

하나의 작품으로써 표현의 수단이 될 수 있는 액자를 제작하기 위해 3단계의 순서를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아르누보 양식의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학술지, 학위 논문, 단행본을 통해 조사하고 시각 자료를 위해 박물관과 미술관을 추가로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배경, 조형적 특징 및 타이포그래피를 살펴보았으며 당시 활동하던 작가와 현재 아르누보를 모티브로 작업한 사례를 작품과 함께 분석하였다.

둘째, 과거부터 현재까지 이어져 온 액자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시대별로 나누어 설명하였으며 제작 배경과 흐름을 시각 자료와 함께 살펴보았다. 또한, 현대에 와서 액자의 가치를 인지하고 본인만의 방식으로 액자를 재해석하여 표현한 작가들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셋째, 액자가 독단적으로 작품성을 가질 수 있도록 아르누보의 특징을 적용한 장식을 결합하는 등 다양한 연구를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액자의 구조를 살펴보고 아르누보의 장식 중 유기적인 장식들과 타이포그래피를 결합하는 과정을 진행하였다. 다양한 표현 기법의 사용과 함께 작품의 색을 위한 소지, 유약의 실험을 함께 진행하였다. 원형을 탈형하고 조합한 후 조각하는 과정을 거치며 실제 액자 제작 방법과 흡사하게 진행하였으며 실험의 결과를 토대로 여러 장식 표현 방법을 적용한 액자를 제작하였다.

본 연구는 관심이 비교적 등한시되었던 액자에 대해 알아보고 그것이 가질 수 있는 조형성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이야기가 담겨있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것에 의미를 부여하고 재해석하여 액자를 새로운 내용 전달의 매개체로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액자의 조형 작품으로서 가지는 가치와 함께 다양한 도자의 입체적, 평면적 장식 표현 방법에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