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제1장 서론 17
제1절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17
1. 연구배경 17
2. 연구목적 18
제2절 연구의의 및 선행연구 19
1. 연구의의 19
2. 선행연구 21
제3절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26
1. 연구내용 26
2. 연구방법 27
제2장 이론적 배경 29
제1절 민속전지의 이론적 고찰 29
1. 민속전지의 개념과 전개 29
2. 민속 전지의 용도와 가치 32
제2절 민속 전지와 민속 생활 35
1. 전지와 여성의 생활 36
2. 전지와 민속 예술가 37
제3절 민속 전지의 표현형식 43
1. 도미지감(刀味紙感) 44
2. 음양대비 45
3. 과장된 이미지 46
4. 단순한 색채 47
5. 대칭과 반복 47
제4절 민속전지의 창착 특색 49
1. 민속 활동 49
2. 민속서사 52
3. 사회생활 54
제5절 민속 전지의 주제와 은유 56
1. 주제의 유형 57
2. 민속 전지의 은유 57
제3장 민속 전지에서의 은유 요소 연구 59
제1절 은유에 대한 고찰 59
1. 은유의 정의 59
2. 은유의 생성 60
3. 은유의 방법 61
4. 은유의 역할 66
제2절 민속 전지에서 은유의 문화적 의미 67
1. 생명 번성의 문화 68
2. 길상서복(吉祥瑞福)의 문화 69
3. 음양철학의 문화 71
제3절 민속 전지에서의 은유 요소의 분석 72
1. 기본적인 요소 73
2. 문양 요소 88
3. 구성 요소 95
4. 문자요소 99
5. 색채 요소 100
제4절 민속 전지에서 은유의 응용 사례 103
1. 생명수 103
2. 팔선과해(八仙過海) 105
3. 소홍인(小紅人) 108
제4장 창작 작품에서 은유의 응용 111
제1절 창작 작품에 대한 기본적인 고찰 111
1. 창작의도 111
2. 디자인 과정 112
제2절 창작과정 및 디자인 설명 112
1. 평화 시리즈 113
2. 장수 시리즈 134
3. 부귀 시리즈 148
4. 사랑 시리즈 159
제3절 작품 개인전 169
제5장 결론 170
참고문헌 173
ABSTRACT 180
〈표 2-1〉 전지의 용도 32
〈표 3-1〉 화초의 은유 77
〈표 3-2〉 과실의 은유 81
〈표 3-3〉 동물의 은유 84
〈표 3-4〉 팔선과해 조형에 대한 분석표 106
〈표 4-1〉 호랑이의 은유 분석표 119
〈표 4-2〉 평화 시리즈 작품 정리 132
〈표 4-3〉 평화 시리즈 파생상품 133
〈표 4-4〉 토끼 은유 분석표 139
〈표 4-5〉 멕시코 비엔날레 수상 상황 145
〈표 4-6〉 장수 시리즈 작품 전시 146
〈표 4-7〉 장수 시리즈 파생 상품 147
〈표 4-8〉 사반토의 은유 분석표 150
〈표 4-9〉 부귀 시리즈 작품 전시 157
〈표 4-10〉 부귀 시리즈 파생 상품 158
〈표 4-11〉 사랑 시리즈의 은유 분석표 162
〈표 4-12〉 사랑 시리즈 작품 전지 167
〈표 4-13〉 사랑 시리즈 파생 상품 168
〈표 4-14〉 개인 작품전 169
[그림 2-1] 중국초기전지작품〈대마(對馬)〉와 〈대후(對猴)〉의 복원 이미지 31
[그림 2-2] 〈견조화(肩罩花)〉, 림도(林桃) 34
[그림 2-3] 〈배두렁이화(肚兜花)〉, 림도(林桃) 34
[그림 2-4] 가위와 종이 37
[그림 2-5] 전지하는 림도 39
[그림 2-6] 〈풍작〉 임도 39
[그림 2-7] 고숙란(庫淑蘭) 40
[그림 2-8] 다리 혹은 도로 보수 30*35cm (고숙란) 40
[그림 2-9] 고숙란 전지 작품 40
[그림 2-10] 장수도,팽분년 42
[그림 2-11] 서커스 43
[그림 2-12] 농가 43
[그림 2-13] 전지 연습법 45
[그림 2-14] 나비 對折法 48
[그림 2-15] 쌍희(喜) 對折法 48
[그림 2-16] 인어(人魚) 인형(팽분녀) 49
[그림 2-17] 용주(龍舟) 시합, 림도 51
[그림 2-18] 젓가락화(筷子花) 주걱화(飯勺花) 그릇화(碗花), 림도 51
[그림 2-19] 족발화 51
[그림 2-20] 대병화(大餅花) 51
[그림 2-21] 법조신(范祚信), 〈쥐의 결론〉, 1985, (330*25)cm, 중국 국립미술관 소장픔 53
[그림 2-22] 〈쥐의 결론〉, 황소(黄素) 54
[그림 2-23] 위저(喂猪)32*44cm, 고숙란 55
[그림 2-24] 흰 닭과 검은 달걀(白雞下了个黑雞蛋)30*50cm, 고숙란 55
[그림 2-25] 위저(喂猪), 림도 55
[그림 2-26] 농가취(農家趣), 림도 55
[그림 2-27] 토끼 목귀(牧歸), 림도 55
[그림 2-28] 하나의 도시, 창화(窗花), 장숙란(張秀蘭) 56
[그림 3-1] 희와(喜娃) 63
[그림 3-2] 〈원숭이의 결혼〉, 팽분녀 64
[그림 3-3] 매답토(鹰踏兔), 서로 다른 전지 예술가의 작품 65
[그림 3-4] 기린송자(麒麟送子), 창화(窗花), 산시(陕西) 69
[그림 3-5] 구완(扣碗) 72
[그림 3-6] 모란 54*78cm, 고숙란 77
[그림 3-7] 조롱박 81
[그림 3-8] 석류개화 86
[그림 3-9] 록학동춘 87
[그림 3-10] 까치 등매(登梅) 88
[그림 3-11] 의사련련(喜事連連) 88
[그림 3-12] 희상미소(喜上眉梢) 88
[그림 3-13] 톱니 문양 90
[그림 3-14] 초승달 문양 90
[그림 3-15] 물방울 문양 91
[그림 3-16] 버드잎 문양 91
[그림 3-17] 대양 문양 (원형 문양) 91
[그림 3-18] 구름 문양 91
[그림 3-19] 화 문양 92
[그림 3-20] 삼각 문양 92
[그림 3-21] 암탉, 고밀(高密), 범조신(范祚信) 93
[그림 3-22] 호랑이, 안색(安塞), 백봉란(白鳳蘭) 93
[그림 3-23] 연꽃 문양 94
[그림 3-24] 매화 문양 94
[그림 3-25] 석류 문양 94
[그림 3-26] 연꽃과 인형의 조합 94
[그림 3-27] 연꽃과 모란의 조합 94
[그림 3-28] 만자문(万字紋) 95
[그림 3-29] 관전(貫錢) 문양 95
[그림 3-30] 방승문(方勝紋) 95
[그림 3-31] 반장문(盤長紋) 95
[그림 3-32] 오복헌수(五福献壽) 97
[그림 3-33] 조재진보(招財進宝) 97
[그림 3-34] 단화절첩전법 97
[그림 3-35] 연꽃과 모란으로 구성된 단화(團花) 97
[그림 3-36] 금과(金瓜)와 조롱박으로 구성된 창화(窗花) 97
[그림 3-37] 련분생자(莲盆生子), 감숙(甘肃), 제수매(祁秀梅) 98
[그림 3-38] 전지합(天地合) 만물생(万物生), 여승중(吕胜中) 98
[그림 3-39] 희상미소(喜上眉梢) 100
[그림 3-40] 여의화개(如意花開) 100
[그림 3-41] 련연유여(連年有余) 100
[그림 3-42] 어희연(魚戲莲) 100
[그림 3-43] 청지녹엽(青枝綠叶) 백모란(복원본), 고숙란, 1992년, 50*70cm. 102
[그림 3-44] 고낭애아석류정(姑娘爱我石榴情),복원본, 고숙란, 1990, 38*53cm 102
[그림 3-45] 생명수, 팽분녀 104
[그림 3-46] 저년(猪年) 생명수, 팽분녀 104
[그림 3-47] 팔선과해: 암팔선(서로 다른 민속에서 온 전지, 저자불상) 107
[그림 3-48] 여승중과 그의 소홍인 108
[그림 3-49] 여승중의 소홍인 작품 1 109
[그림 3-50] 여승중의 소호인 작품 2 109
[그림 4-1] 호랑이 베개 115
[그림 4-2] 쑥 호랑이 116
[그림 4-3] 구호(驅虎) 우의(寓意) 도시 117
[그림 4-4] 호생(護生) 우의(寓意) 도시 117
[그림 4-5] 호랑이 전지 작품(작가 불상) 118
[그림 4-6] 호랑이 이미지에 자주 나타나는 톱니 문양, 초승달 문양, 회전 문양. 119
[그림 4-7] 호랑이 참고 그림 120
[그림 4-8] 구도중 121
[그림 4-9] 보완중 121
[그림 4-10] 호호생위 1, 70*100cm 121
[그림 4-11] 호호생위 2, 150*100cm 123
[그림 4-12] 2020 호호생위, 100*150cm 124
[그림 4-13] 우리는 함께 있다, 150*250cm 125
[그림 4-14] 평화, 100*150cm 127
[그림 4-15] 민속 예술품인 수제 천 호랑이 128
[그림 4-16] 드로잉(창작중) 129
[그림 4-17] 새해복 믾이 받으세요, 호호생위, 70*100cm 129
[그림 4-18] 복호생풍(福虎生風), 70*100cm 130
[그림 4-19] 가득한 활력, 100*150cm 131
[그림 4-20] 사실 토끼 136
[그림 4-21] 전지 토끼 136
[그림 4-22] 상아분월릉화경(동·당), 고궁박물관수장 137
[그림 4-23] 십이지신 토끼, 갈정우(葛庭友) 137
[그림 4-24] 생생불식, 申沛農天津 138
[그림 4-25] 흰 토끼의 이미지 139
[그림 4-26] 장수 1, 100*150cm 140
[그림 4-27] 장수 2, 60*60cm 141
[그림 4-28] 생식, 150*250cm 142
[그림 4-29] only one, 70*100cm 144
[그림 4-30] 요전수 문양 150
[그림 4-31] 부귀 시리즈 1, 직경 60cm 151
[그림 4-32] 부귀 시리즈 2, 60*60cm 152
[그림 4-33] 부귀 시리즈 3, 60*60cm 152
[그림 4-34] 부귀 시리즈 4, 100*100cm 152
[그림 4-35] 부귀영화 시리즈 1, 100*150cm 153
[그림 4-36] 부귀영화 시리즈 2, 150*250cm 154
[그림 4-37] 쌍희림문(双喜臨門) 창작중 155
[그림 4-38] 쌍희림문(双喜臨門), 100*150cm 156
[그림 4-39] 연꽃인인 160
[그림 4-40] 어희련(魚戲蓮) 160
[그림 4-41] 생명수 문양 160
[그림 4-42] 서커스, 팽분녀 161
[그림 4-43] 서커스에서 추출한 인물 162
[그림 4-44] 석류 문양(드로잉) 163
[그림 4-45] 새 문양(드로잉) 163
[그림 4-46] 사랑 시리즈 1, 70*100cm 163
[그림 4-47] 사랑 시리즈 2, 100*150cm 164
[그림 4-48] 사랑 시리지 70*100cm 165
[그림 4-49] 다자다손(多子多孫) 시리즈, 70*100cm 166
전지(剪紙)예술은 노동자들이 자신의 정신적 삶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예술적 행위에서 시작되었으며, 주로 사람들의 일상생활에서 유행하였다. 전지예술은 가위나 조각칼로 종이에 문양을 오려 새김으로써 삶을 장식하거나 다른 민속 활동에 부가적으로 사용되는 독특한 중국 민속 예술 중 하나로 민족 전통 문화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전지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어 중화민족 문화의 계승과 발전을 함께하였으며,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민속 전지는 문화적이고 역사적인 정보를 담고 있으며 풍부한 시각적 이미지와 조형 형식들로 전승되고 있다. 전지를 통해 표현된 예술 언어는 단순히 직설적인 것이 아니라, 민속 예술가의 놀라운 기법 즉 과장되지만 간결한 예술 기법으로써, 우의(寓意)가 있는 패턴의 조합이 사용되었다. 또한 이러한 예술언어는 사물을 통해 감정을 표현하는 방식으로 이미지를 만들고 다채로운 패턴의 문양 언어를 창조한다. 전지 예술을 통해 사람들은 보고 듣고 싶어 하는 아름다운 결과물과 내면의 이상을 제시할 수 있고 행복한 삶에 대한 열망도 전달할 수 있다. 전지에 나타난 사람들의 삶은 흥미로 가득 차있으며, 단순하지만 자연스러운 예술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전지를 통해 사람들은 길하고 아름다운 것을 추구하며 경사롭고 문화적 함의가 풍부한 '은유(隱喩)' 예술적 기법이 민속 전지에 표현되었다.
은유는 수사적 수법일 뿐만 아니라 사고와 인지적 수법이다. 사람들은 서로 다른 사물 간의 유사성을 비교함으로써 사물의 특징을 인식한다. 특히 전지 창작에서 민속미술가들은 삶의 전승과 역사문화적 경험을 관찰하여 유사성을 통한 은유를 만들고, 이전에는 연결되지 않았던 것들의 유사성을 발견함으로써 이미지 표현에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였다. 전지는 천년의 역사적 발전을 거쳐 다양한 형태의 이미지 및 패턴 자원을 축적하였고 현대 디자인에 풍부한 은유적 요소를 제공하였다. 전지는 또한 독특한 예술 및 감상 가치와 매우 높은 미학적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사람들의 사회적 인식, 삶의 이상, 실제 경험, 도덕 개념 및 미적 취향과 같은 다양한 사회적 가치를 반영한다.
본 연구는 민속 전지의 은유적 요소를 연구하고자 한다. 문헌검토법, 조사분석법을 사용하여 전지예술의 민속 특성과 은유의 의미 및 중요성을 밝힌 후, 예술 디자인 실무자로서 전지의 은유 요소를 추출하여 시각디자인에 혁신적으로 적용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전지의 예술적 가치와 디자인 가치를 현대 사회에서 계속 계승 발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지의 은유 요소에 대한 이론적 연구 시스템을 시각적으로 풍부하게 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본 연구는 주로 세 가지 측면에서 논증하였는데, 먼저 민속 전지의 관련 개념을 소개하여 전지의 역사적 전개를 정리하였고, 민속 전지가 중화민족의 역사, 문화, 민속 풍습을 탐구하는데 매우 귀중한 연구 가치가 있음을 설명하였다. 둘째, 조사 및 분석을 통해 민속 전지에서 은유의 생성, 문화적 의미, 창작적 특성 등을 설명하고 은유에 대해 분석 및 분류하여 은유 요소를 정제하였고 디자인 및 혁신을 준비하였다. 마지막으로 '평화, 장수, 부귀, 사랑'의 4가지 관점을 바탕으로 〈생생불식(生生不息)〉이라는 주제의 디자인 및 창작 작업을 수행하였다. 시각적 디자인의 재창작을 통해 은유적인 표현을 풍부하게 하였고 새로운 시각적 효과를 부여했다. 기조의 연구와 실천을 바탕으로 전지의 은유 요소에 대해 깊이 있게 생각하고 요약하였으며 예술적 가치, 문화적 가치, 실용적 가치의 측면에서 작품을 통한 은유 계승과 발전적 의미에 대해 설명하였다.
오늘날 급속한 경제 발전으로 민속 전지는 급속한 시장의 발전과 함께 변화를 겪게 되었다. 현대 시각 디자인과 전지의 은유 요소를 융합하여 혁신을 이룰 뿐만 아니라 전통을 충분히 유지하고 전통 본연의 맛이 충분히 반영되어야 한다. 또한 전지의 은유를 통한 현대 시각 디자인의 계승, 개발 및 혁신적 응용만이 전지 예술의 담체를 더욱 풍부하게 만들 수 있을 것이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