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 초록 15

제1장 서론 18

제1절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8

1. 연구 목적 18

2. 연구 필요성 21

제2절 연구 범위 및 연구 방법 23

1. 연구 범위 23

2. 연구 방법 25

제3절 선행연구 고찰 27

1. 선행연구 분석 27

2. 연구현황 33

제2장 중국 전통 요소 및 애니메이션 36

제1절 중국 전통 요소 36

1. 중국 전통 요소의 정의 36

2. 중국 전통 회화의 표현 특징 51

3. 중국 전통 요소와 애니메이션의 관계 55

제2절 중국 전통 요소를 반영한 애니메이션 62

1. 시대적 배경 62

2. 발전 과정 65

3. 표현적 특징 70

제3절 중국 전통 요소를 반영한 애니메이션의 특징 74

1. 중국 애니메이션 74

2. 해외 애니메이션 83

3. 중국 및 해외 애니메이션 비교 89

제3장 중국 전통 요소의 시각적 활용 94

제1절 중국 전통 색채의 활용 94

1. 전통색에 대한 인식 94

2. 색채 조합 99

3. 전통 색채의 활용과 발전 방향 102

제2절 캐릭터 설정에 반영된 중국의 전통 요소 106

1. 인물의 내재적 성격 106

2. 외형 표현 기법 112

3. 중국 전통 요소의 조형 디자인 가치 117

제3절 중국 전통 요소와 장면 디자인의 유기적 결합 122

1. 전통 건축 요소의 활용 122

2. 전통 건축 요소의 활용에 나타난 문제점 123

3. 전통 건축 요소의 역할과 기준 127

제4장 애니메이션의 중국 전통 요소의 시각적 활용 사례 130

제1절 〈대요천궁〉 130

1. 예술적 스타일 130

2. 조형 디자인 133

3. 장면 디자인 142

제2절 〈조롱박 형제〉 148

1. 예술적 특징 148

2. 조형 디자인 152

3. 장면 디자인 158

제3절 〈쿵푸팬더〉 162

1. 장면 디자인 162

2. 캐릭터 설정 169

3. 소품 디자인 175

제5장 중국 애니메이션의 발전 전략 179

제1절 글로벌 시대의 다양한 스타일의 공존 179

1. 중국 전통 요소의 적절한 활용 179

2. 외부 요소 접목 185

3. 정책 방향과 문화적 자신감 190

제2절 가치관 향상 194

1. 문화적 정서 고취 194

2. 시장 점유율 증대 195

3. 관객 타겟팅 및 포지셔닝 200

제3절 전반적 전략 205

1. 전통의 장점 계승과 독창성 유지 205

2. 전통과 현대의 만남 208

3. 균형 잡힌 문화 홍보 211

제6장 결론 214

제1절 연구의 요약과 의의 214

1. 연구의 요약 214

2. 연구의 의의 215

제2절 연구의 한계점과 시사점 217

1. 연구의 한계점 217

2. 연구의 시사점 220

참고 문헌 226

ABSTRACT 244

표목차

〈표 1〉 1999년~2009년 중국에서 상영한 애니메이션의 흥행 수익 통계 198

〈표 2〉 2005년 상하이에서 시행한 애니메이션 관객의 작품 스타일에 대한 긍정적 평가 비율 202

〈표 3〉 2005년 상하이에서 시행한 관객이 선호하는 애니메이션 스타일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202

〈표 4〉 iQIYI 애니메이션 채널 방영 시간 순위 TOP 20 204

그림목차

〈그림 1〉 미국 애니메이션 〈뮬란1〉 40

〈그림 2〉 미국 애니메이션 〈뮬란2〉 40

〈그림 3〉 미국 애니메이션 〈쿵푸팬더〉 41

〈그림 4〉 중국의 국보 팬더 41

〈그림 5〉 일본 애니메이션 〈삼국연의 (三國演義)〉 42

〈그림 6〉 일본 삼국지 시리즈 애니메이션 42

〈그림 7〉 일본 애니메이션 〈드래곤볼〉 43

〈그림 8〉 일본 애니메이션 〈드래곤볼〉 속 저팔계와 손오공의 이미지 43

〈그림 9〉 일본 애니메이션 〈드래곤볼〉 속 저팔계의 이미지 44

〈그림 10〉 중국 드라마 〈서유기〉 속 손오공과 저팔계의 이미지 44

〈그림 11〉 일본 애니메이션 〈최유기〉 속 손오공 일행의 이미지 44

〈그림 12〉 중국 드라마 〈서유기〉 속 손오공 일행의 이미지 45

〈그림 13〉 중국 모바일 게임 〈음양사〉 45

〈그림 14〉 일본 애니메이션 〈중화일미〉 46

〈그림 15〉 일본 애니메이션 〈중화일미〉 47

〈그림 16〉 중국 애니메이션 〈대요천궁〉 48

〈그림 17〉 중국 애니메이션 〈나타요해〉 48

〈그림 18〉 중국 애니메이션 〈올챙이의 엄마 찾기〉 48

〈그림 19〉 중국 애니메이션 〈세 스님〉 48

〈그림 20〉 중국 애니메이션 〈신서유기: 몽키킹의 부활〉 49

〈그림 21〉 중국 애니메이션 〈신서유기: 몽키킹의 부활〉 49

〈그림 22〉 중국 애니메이션 〈레전드 오브 래빗〉 50

〈그림 23〉 중국 둔황벽화 〈녹왕본생도〉 52

〈그림 24〉 중국 애니메이션 〈구색록〉 52

〈그림 25〉 중국 애니메이션 〈대요천궁〉 속 손오공과 나타의 이미지 53

〈그림 26〉 중국 둔황벽화 〈비천(飛天)〉 속 선녀의 이미지 53

〈그림 27〉 중국 둔황벽화 〈비천〉 속 보살, 역사, 김강의 이미지 54

〈그림 28〉 중국 둔황 벽화 〈영락궁(永樂宮)〉 속 캐릭터 이미지 56

〈그림 29〉 중국 애니메이션 〈대요천궁〉 속 옥황상제의 이미지 56

〈그림 30〉 중국 애니메이션 〈여와보천〉 58

〈그림 31〉 애니메이션 〈켈스의 비밀〉 61

〈그림 32〉 중국 애니메이션 〈천서기담〉 65

〈그림 33〉 중국 애니메이션 〈대요화실〉 67

〈그림 34〉 중국 애니메이션 〈낙타의 춤〉 68

〈그림 35〉 중국 애니메이션 〈철산공주〉 69

〈그림 36〉 중국 애니메이션 〈대요천궁〉 70

〈그림 37〉 중국 애니메이션 〈괴발〉 72

〈그림 38〉 중국 애니메이션 〈신서유기: 몽키킹의 부활〉 73

〈그림 39〉 중국 애니메이션 〈세 스님〉 75

〈그림 40〉 중국 애니메이션 〈오만한 장군〉 75

〈그림 41〉 중국 전지 애니메이션 〈어동〉 76

〈그림 42〉 중국 전지 애니메이션 〈우원(牛冤)〉 77

〈그림 43〉 중국 수묵 애니메이션 〈더 디어스 벨〉 77

〈그림 44〉 중국 수묵 애니메이션 〈산수정〉 77

〈그림 45〉 중국 애니메이션 〈픽시 잇츠 워터멜론〉 79

〈그림 46〉 중국 수묵 애니메이션 〈올챙이의 엄마 찾기〉 80

〈그림 47〉 중국 수묵 애니메이션 〈피리 부는 목동〉 80

〈그림 48〉 중국 목각인형 애니메이션 〈공작새 공주〉 81

〈그림 49〉 중국 전지 애니메이션 〈황금소라〉 81

〈그림 50〉 중국 애니메이션 〈황금꿈〉 82

〈그림 51〉 중국 전지 애니메이션 〈똑똑한 오리〉 82

〈그림 52〉 미국 애니메이션 〈뮬란〉 84

〈그림 53〉 미국 애니메이션 〈쿵푸팬더〉 84

〈그림 54〉 일본 애니메이션 〈철완 아톰〉 85

〈그림 55〉 미국 애니메이션 〈라푼젤〉 85

〈그림 56〉 미국 애니메이션 〈뮬란〉 속 뮬란과 용의 이미지 87

〈그림 57〉 〈대요천궁〉 속 손오공의 색채 디자인 96

〈그림 58〉 〈대요천궁〉 속 태백금성의 색채 디자인 96

〈그림 59〉 〈백설공주〉 속 이미지와 색상 디자인 102

〈그림 60〉 〈조롱박 형제〉 속 캐릭터와 색상 디자인 1 103

〈그림 61〉 〈조롱박 형제〉 속 캐릭터와 색상 디자인 2 103

〈그림 62〉 〈슬램덩크〉 속 강백호의 캐릭터와 색상 디자인 104

〈그림 63〉 애니메이션 〈대요천궁〉 속 손오공의 이미지 디자인 106

〈그림 64〉 중국 경극 속 미호왕의 검보 106

〈그림 65〉 애니메이션 〈검은 고양이 경장〉 캐릭터 디자인 107

〈그림 66〉 애니메이션 〈가필드〉 캐릭터 디자인 108

〈그림 67〉 애니메이션 〈슈렉 3〉 캐릭터 디자인 109

〈그림 68〉 애니메이션 〈쿵푸팬더〉 아바오 캐릭터 디자인 110

〈그림 69〉 애니메이션 〈니모를 찾아서〉 캐릭터 디자인 111

〈그림 70〉 애니메이션 〈대요천궁〉 손오공 캐릭터 디자인 113

〈그림 71〉 애니메이션 〈대요천궁〉 옥황상제 캐릭터 디자인 114

〈그림 72〉 애니메이션 〈대요천궁〉 나타 이미지 디자인 115

〈그림 73〉 애니메이션 〈철선공주〉 캐릭터 이미지 디자인 116

〈그림 74〉 애니메이션 〈천서기담〉 여우서생 캐릭터 디자인 117

〈그림 75〉 중국 경극 화단 캐릭터 이미지 117

〈그림 76〉 애니메이션 〈초원의 영웅 자매〉 캐릭터 의상 디자인 119

〈그림 77〉 애니메이션 〈타잔〉 캐릭터 이미지 121

〈그림 78〉 애니메이션 〈뮬란〉 속 정원의 장면 디자인 128

〈그림 79〉 애니메이션 〈뮬란〉 속 건축의 장면 디자인 128

〈그림 80〉 애니메이션 〈대요천궁〉 손오공 캐릭터 이미지 136

〈그림 81〉 애니메이션 〈대요천궁〉 속 손오공 캐릭터 이미지 137

〈그림 82〉 애니메이션 〈대요천궁〉 속 필마원 관복 이미지 1 138

〈그림 83〉 애니메이션 〈대요천궁〉 필마원 관복 이미지 2 138

〈그림 84〉 애니메이션 〈대요천궁〉 제천대성 이미지 139

〈그림 85〉 애니메이션 〈대요천궁〉 손오공과 이랑신 이미지 141

〈그림 86〉 산시성 영락궁 144

〈그림 87〉 시안성 대명궁 145

〈그림 88〉 애니메이션 〈대요천궁〉 속 능소전 장면 145

〈그림 89〉 시안성 대명궁 145

〈그림 90〉 중국 휘파(徽派) 건축 146

〈그림 91〉 애니메이션 〈대요천궁〉 속 도솔궁 장면 146

〈그림 92〉 베이징 고궁 147

〈그림 93〉 애니메이션 〈대요천궁〉 속 요지 장면 147

〈그림 94〉 애니메이션 〈조롱박 형제〉 칠형제 캐릭터 이미지 155

〈그림 95〉 〈조롱박 형제〉 어린이, 할아버지, 요정 등 캐릭터 이미지 156

〈그림 96〉 〈조롱박 형제〉 속 두꺼비, 거미, 박쥐 등 캐릭터 이미지 157

〈그림 97〉 〈조롱박 형제〉 새, 할아버지 등 캐릭터 이미지 157

〈그림 98〉 애니메이션 〈조롱박 형제〉 속 산의 장면 158

〈그림 99〉 애니메이션 〈조롱박 형제〉 물보라 이미지 160

〈그림 100〉 애니메이션 〈조롱박 형제〉 할아버지 집 장면 디자인 161

〈그림 101〉 애니메이션 〈조롱박 형제〉 소품 여의의 조형 162

〈그림 102〉 애니메이션 〈쿵푸팬더〉 드림웍스 로고 조형 163

〈그림 103〉 애니메이션 〈쿵푸팬더〉의 로고 조형 163

〈그림 104〉 애니메이션 〈쿵푸팬더〉 엔딩 장면의 로고 조형 164

〈그림 105〉 애니메이션 〈쿵푸팬더〉 평화의 계곡 장면 1 165

〈그림 106〉 애니메이션 〈쿵푸팬더〉 평화의 계곡 장면 2 165

〈그림 107〉 애니메이션 〈쿵푸팬더〉 국수 가게 장면 166

〈그림 108〉 애니메이션 〈쿵푸팬더〉 옥황궁 장면 167

〈그림 109〉 애니메이션 〈콩패팬더〉 옥황궁과 사자 장면 167

〈그림 110〉 애니메이션 〈쿵푸팬더〉 옥황궁과 용 조각 장면 168

〈그림 111〉 애니메이션 〈쿵푸팬더〉 옥황궁과 용문양 지도 장면 168

〈그림 112〉 애니메이션 〈쿵푸팬더〉 옥황궁과 용 문양 기둥 장면 169

〈그림 113〉 애니메이션 〈쿵푸팬더〉 속 몽키 이미지 171

〈그림 114〉 애니메이션 〈쿵푸팬더〉 속 오협의 이미지 172

〈그림 115〉 애니메이션 〈쿵푸팬더〉 속 붉은색의 장면 174

〈그림 116〉 애니메이션 〈쿵푸팬더〉 속 청동기 176

〈그림 117〉 애니메이션 〈쿵푸팬더〉 도자기 177

〈그림 118〉 애니메이션 〈쿵푸팬더〉 무술 대회 장면 178

〈그림 119〉 〈아홉 빛깔 사슴〉에서 신록이 작은 동물을 구하는 모습 181

〈그림 120〉 〈아홉 빛깔 사슴〉에서 신록이 작은 동물을 구하는 모습 182

〈그림 121〉 〈아홉 빛깔 사슴〉의 탐욕스러운 국왕의 모습 183

〈그림 122〉 〈아홉 빛깔 사슴〉에 등장하는 졸렬하고 사악한 약장수의 모습 183

〈그림 123〉 애니메이션 〈철산공주〉의 우마왕 184

초록보기

 뉴미디어 시대에 중국 전통 요소를 반영한 애니메이션은 위기를 맞이하게 되었으며, 주로 다음과 같은 측면이 드러났다. 첫째, 심미적 위치의 혼란은 명확한 발전 경로를 찾지 못했다. 둘째로 상업화가 대세이고 상업적 이익을 추구하는 분위기에서 경박함을 극복할 수 있느냐의 문제이며 셋째로는 뛰어난 작가와 독창적인 인재가 극도로 부족하고 창의성이 부족한 점이다. 이러한 일련의 문제로 인해 중국 전통 요소 애니메이션은 전파 위기와 불완전한 시장 산업과 같은 문제점들에 직면했다. 애니메이션을 통해 중국 전통문화를 널리 알릴 것인가, 중국 전통 요소를 애니메이션에 효과적으로 접목하고 녹여내는 방법은 무엇인가, 다양한 관객의 여러 가지 수요를 전부 만족시킬 수 있는 길은 어디에 있는가 등 애니메이터는 창작에 앞서 이러한 문제를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한다. 뉴미디어 시대에 접어들어 중국 전통 요소를 반영한 애니메이션도 큰 변화의 흐름을 마주하였다. 스토리 구성, 관객, 미디어 매체 등 다양한 측면에서 큰 변화가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제작 및 배급 측면에서도 여러 가지 문제점이 나타났다. 하지만 중국 문화에 대한 관객들의 관심과 사랑, 중국 정부의 전폭적 지원을 바탕으로 중국 애니메이션은 급부상하였고 중국 전통문화를 담는 매체이자, 중국의 정신을 하나로 모으는 최선의 방법으로 자리매김했다.

중국 전통 요소는 전통문화의 일부로서, 민족정신이 깃들어 있으며 중국 전통문화의 우수한 사상과 가치관을 담고 있다. 예를 들어 중국의 산수화, 희극, 전지, 목판 세화, 민족 전통의상, 건축양식 등은 모두 중국 전통 조형 예술에 속하며 이러한 예술 형식을 통해 민족 문화를 선양하고 국민의 정신을 더욱 풍요롭게 해준다.

본 논문에서는 중국 애니메이션과 해외 애니메이션을 대조 및 비교하였다. 문헌 분석법, 사례 분석법, 학제 간 융합 연구법 등을 활용하여 중국 전통 요소를 반영한 애니메이션의 발전사와 여러 문제에 대해 체계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아울러 중국 전통 요소를 반영한 애니메이션이 현재 마주한 문제에 대해 심도 있게 고찰하였다. 또한, 흥행수익과 평단의 호평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은 해외 우수 작품 사례와 비교하여 중국 전통 요소를 반영한 애니메이션의 제작과 방영 전반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를 분석하였다.

본 논문은 6개의 장으로 구성하였다. 제1장은 서론으로 연구의 주제를 전반적으로 정리하였고 관련 저작, 논문, 애니메이션 작품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주제의 선정과 이유, 목적, 의의 등을 논하였고, 연구 방법과 범위 그리고 의의도 간략하게 설명하였다.

제2장에서는 '중국 전통 요소'에 대해 정의를 내리고 중국 전통 요소가 애니메이션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그리고 양자 간에 어떤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지에 대해 논하였다. 이를 통해 중국 전통 요소를 반영한 애니메이션의 발전사와 표현상의 특징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중국 애니메이션과 해외 애니메이션을 동일선상에서 비교하여 중국 전통 요소를 반영한 애니메이션의 제작 및 방영의 난제에 대해 분석하였다.

제3장은 주제의 외연을 한층 더 확장하였다. 애니메이션에서 중국 전통 요소를 어떻게 확장할 것인지에 착안하여 중국 전통 색채 및 건축 등을 애니메이션 캐릭터 조형 및 배경 디자인 등에 접목하는 방법을 사례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제4장은 중국의 대표적인 애니메이션 작품인 〈대요천궁〉, 〈조롱박 형제〉, 〈쿵푸팬더〉를 분석하여 중국 전통 요소를 애니메이션의 어느 부분에 활용할 수 있는지 탐구하였다. 주로 애니메이션의 예술 표현 형식, 캐릭터 설정, 장면 디자인 등에 대해 논하였다.

제5장은 중국 전통 요소를 반영한 애니메이션이 담고 있는 가치관과 중국 애니메이션의 향후 발전 전략을 제시하였다. 이데올로기와 정부 정책을 시발점으로 하였고 연구 방법을 외부적 요소에서 작품의 내부적 요소로 전환하기도 하였다. 애니메이션에서 드러나는 중국의 민족정신과 다양한 문화를 넘나드는 크로스 컬처에 대해 심도 있게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중국 문화와 애니메이션의 추구해야 할 방향에 대해 논하였다.

마지막 제6장은 결론으로 제1장부터 제5장까지 연구한 내용을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시사점을 논하고 저자의 견해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