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2
제1장 서론 15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15
1. 연구 배경 15
2. 연구 목적 21
제2절 선행연구 검토 25
1. 한국의 연구 25
2. 해외의 연구 28
제3절 연구의 대상과 방법 30
1. 연구 대상 30
2. 연구 방법 37
제2장 문화 기호 구축에 관한 이론 40
제1절 영화와 기호학 40
1. 기호학의 발전 과정 40
2. 문화기호학 42
3. 영화 제작의 문화적 기호 45
제2절 로트먼의 문화 기호학에 대한 이론적 구성 61
1. 학문의 매개체가 되는 텍스트 61
2. 역사를 바라보는 시각 64
3. 가치지향적 교제 67
제3절 수잔 랑거의 기호미학 구성 70
1. 생명형식론 70
2. 아트판타지론 72
3. 심미적 직관론 74
제3장 한중 영화 텍스트 속 문화기호 구축 77
제1절 주체의식 77
1. 간접 표현 78
2. 독립 존재 80
3. 환각 감지 83
제2절 형상 표상 85
1. 전통 성문화 기호의 진화 86
2. 이질성 문화 기호의 순화 89
3. 신성한 문화 기호의 진화 91
제3절 의사 표시 메커니즘 94
1. 시청 감지 경험 95
2. 형상 구조 체계 97
3. 공간인지해석 100
제4장 한중 영화에서 속 문화 기호 구축 104
제1절 시각 105
1. 시각적 이미지의 형성 105
2. 시각적 구조의 조성 106
3. 시각적 악센트의 창조 108
제2절 청각 109
1. 환경 조성 110
2. 인물 조각 112
3. 감정 전달 114
제3절 장면 조정 115
1. 주체 대상 115
2. 카메라 118
3. 심리 운동 122
제5장 한중 영화영상미학에서의 문화기호 구축 126
제1절 심미적 방식 126
1. 생존과 배려를 보여줌 127
2. 표현의 구속과 자유 130
3. 전통과 현실을 대조하다 133
제2절 심미적 심리 135
1. 현실과 환상 138
2. 개성과 유형 140
3. 상상과 의식 143
제3절 심미적 이상 145
1. 시의와 진실 146
2. 장대함과 온윤함 148
3. 진지함과 강렬함 151
제6장 한중 영화 문화기호 구축 시사점 155
제1절 문화기호구축의 공간가치 155
1. 의미 구조 156
2. 전파 속성 157
제2절 문화 기호 구축에 관한 시간 규약 159
1. 시대적 맥락 161
2. 역사적 가치 163
제3절 문화 기호 구축의 서사 전략 166
1. 초현실 167
2. 은유식 171
제7장 결론 175
제1절 요약 175
제2절 제언 185
참고문헌 195
ABSTRACT 201
〈표 1〉 사교관계1 68
〈표 2〉 사교관계2 68
〈그림 1〉 영화 〈취화선〉 문화적 배경 46
〈그림 2〉 영화 〈취화선〉 전통 한국 그림 46
〈그림 3〉 영화 〈취화선〉 한복 47
〈그림 4〉 영화 〈취화선〉 조선시대 건축 양식 47
〈그림 5〉 영화 〈취화선〉 유교 사상 48
〈그림 6〉 영화 〈취화선〉 한국 술 문화 48
〈그림 7〉 영화 〈취화선〉 서예 49
〈그림 8〉 영화 〈취화선〉 사자성어 49
〈그림 9〉 영화 〈취화선〉 전통 음악과 춤 50
〈그림 10〉 영화 〈취화선〉 한국 전통 차 문화 50
〈그림 11〉 영화 〈취화선〉 조선시대의 사회 계급 51
〈그림 12〉 영화 〈취화선〉 전통 수공예 51
〈그림 13〉 영화 〈취화선〉 전통 한국 요리 52
〈그림 14〉 영화 〈취화선〉 가족과 우정 52
〈그림 15〉 영화 〈취화선〉 산수경관 53
〈그림 16〉 영화 〈영웅〉 전국시대 53
〈그림 17〉 영화 〈영웅〉 무협문화 54
〈그림 18〉 영화 〈영웅〉 중국 서예 54
〈그림 19〉 영화 〈영웅〉 유가 사상 55
〈그림 20〉 영화 〈영웅〉 중국 전통 의상 55
〈그림 21〉 영화 〈영웅〉풍수 56
〈그림 22〉 영화 〈영웅〉중국무술 56
〈그림 23〉 영화 〈영웅〉음악 57
〈그림 24〉 영화 〈영웅〉중국전통미학 57
〈그림 25〉 영화 〈영웅〉충성과 희생 58
〈그림 26〉 영화 〈영웅〉시와 사 58
〈그림 27〉 영화 〈영웅〉중국 체스와 바둑 59
〈그림 28〉 영화〈영웅〉의 영웅 115
〈그림 29〉 영화〈영웅〉의 첫째왕 116
〈그림 30〉 영화 〈취화선〉 장승업의 정이 막 피어났다 117
〈그림 31〉 영화 〈영웅〉 감속 재생 119
〈그림 32〉 영화 〈취화선〉 재회 때의 내면의 활동 119
〈그림 33〉 영화 〈영웅〉 운동 궤적 120
〈그림 34〉 영화 〈취화선〉 내면 렌즈 121
〈그림 35〉 영화 〈영웅〉 빠른 이동 121
〈그림 36〉 영화 〈취화선〉 프레임 구도 122
〈그림 37〉 영화 〈영웅〉 촛불이 나부끼다 123
〈그림 38〉 영화 〈취화선〉 빈 렌즈와 창작 영감 124
한·중 영화문화 심볼의 구축은 하나의 시각적인 표현일 뿐만 아니라 문화의 전승과 교류의 방식이기도하다.다문화 정체성 형성 메커니즘의 영향으로 한중 영화는 문화 아이콘을 구축할 때 관객의 문화적 동질감과 수용도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또한, 문화 코드 구축을 통해 한·중 영화의 해외 진출을 통한 다문화 교류와 전파를 실현하여 동아시아 문화권의 발전을 더욱 촉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문화 기호학에서 제시한 학술 형태에서 출발하여 중한 양국 영화 작품의 문화 형태 적합성에 대해 연구하고 문헌 매체, 영상 구성과 미학적 가치에 대해 초보적인 탐색을 진행하였다.장이머우 (張藝謀)의〈영웅〉과 임권택 (林权則) 감독의〈취화선〉의 문화적 구성을 심층 분석함으로써 문화 전파 측면에서 중국과 한국 영화의 특징과 전략을 제시한다.두 영화의 문화기호 구성을 비교 분석하고, 중한 영화문화기호 구성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탐구하였으며, 양국 영화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였다.본문은 관객이 영화에 대해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영향, 그리고 문화 간 교류에 있어서 문화 부호의 사용을 연구하고, 문화 간 교류와 영화 제작에 이론적 지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본문은 세계화의 배경 아래 영화의 문화 상징이 어떻게 국가 이미지를 구성하고 전파하는지를 탐구하였으며, 이로써 전 세계 문화 교류와 국제 영화산업 발전에 이론적 지원을 제공하고자 한다.
문화정체성의 형성메커니즘과 문화의 세계진출의 중요성은 사람들에게 문화상징의 선택과 표달에서 국제적인 리해와 인식에 더욱 중시를 돌려야 한다는것을 일깨워준다.사회집단 미학과 가족애, 애국심 사상은 전통문화, 역사, 민족정신과 감정을 문화상징의 구성에 융합시켜 짙은 가족애와 애국심의 문화상징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된다.
동아시아 문화 영역의 개념은 우리에게 문화 상징의 구축 중 지역 문화의 연결과 교류에 더욱 관심을 가져야 함을 일깨워 준다.거리와 국경을 초월한 문화적 요소를 상징 구축에 통합함으로써 동아시아 문화의 공통성과 특성을 잘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 영화 〈취화선〉 과 중국 영화 〈영웅〉 의 문화적 상징을 분석함으로써, 서로 다른 문화의 영화 속 표현방식과 상징구축 방식에 일정한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그러나 두 영화 모두 자기 문화의 독특한 매력과 미적 가치를 잘 보여준다.
두 영화 모두 정신, 물질, 제도, 사상 등 다방면에서 풍부한 문화적 상징을 활용해 영상미학을 구축했다.심미적인 측면에서이 두 영화는 현실과 환상, 개성과 장르, 시와 의식 등의 방식으로 각각의 문화 특성을 드러낸다. 동시에 두 영화는 존재와 관심, 억압과 자유, 전통과 현실의 대비, 선명함과 강렬함 등에 대한 사고와 깨달음을 전달하며 관객에게 풍부한 심미적 체험과 감정적 공감을 제공한다.
중한 영화문화 상징의 구축은 시각적인 표현일 뿐만 아니라 문화 전승과 교류의 방식이기도하다.다문화 인식 형성 메커니즘의 영향으로 중한 영화는 문화 상징을 구성할 때 관객의 문화 인식과 수용도에 주의해야 한다.또한 문화상징의 구축을 통하여 중한영화는 세계로 진출하여 다문화의 교류와 전파를 실현하고 나아가 동아시아 문화영역의 발전을 촉진할수 있다.
이 과정에서 공동체미학, 가족애, 문화기억, 정신코드 등의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중한영화가 주제와 감정을 더 잘 표현하고 관객들이 영화속의 문화상징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심화하는데 도움이 된다.문화상징의 코드화와 해독과정에서 내재적인 정신을 외재적인 시각표현을 통하여 문화상징의 해체와 재구성을 합리적으로 실현함으로써 한층 더 관중들의 수요를 만족시키고 문화상징의 전달과 재구성을 실현한다.
마지막으로, 효과적인 문화표지의 구축을 통하여 부동한 문화간의 언어장애를 극복하고 인류운명공동체표지와 인류사회발전의 공간표지의 일치성을 촉진할수 있다.이 과정에서 공감하는 문화 상징은 문화 교류와 전파의 깊이를 높이는 2차 파급효과를 가져온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