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1. 서론 22
1.1. 연구 배경 및 목적 22
1.2. 연구 범위 및 방법 24
2. 현대 아트퍼니처와 금속 30
2.1. 현대 아트퍼니처의 일품(一品)성 30
2.1.1. 예술과 공예, 디자인의 탈 경계 30
2.1.2. 디자인 아트(Design Art) 33
2.1.3. 아트퍼니처(Art Furniture)의 출현 36
2.2. 가구 디자인에서 금속의 활용 53
2.2.1. 산업에서의 금속 53
2.2.2. 가구에서 금속 재료의 적용과 발전 57
2.3. 금속이 사용된 아트퍼니처의 특징 65
2.3.1. 프로세스의 차별화 68
2.3.2. 표면 마감 기준의 변화 70
2.3.3. 제작 방식에 따른 일품성 71
2.3.4. 제작자의 표현 73
2.3.5. 신기술의 적용 74
3. 가구에서 금속 판재의 활용 76
3.1. 금속 판재의 종류와 활용 76
3.1.1. 금속 판재의 종류 76
3.1.2. 산업에서 금속 판재의 활용 84
3.1.3. 예술에서 금속 판재의 활용 87
3.1.4. 공예에서 금속 판재의 활용 89
3.2. 가구에서 금속 판재를 활용한 조형 91
3.2.1. 벤딩(Bending)의 활용 92
3.2.2. 절곡의 활용 93
3.2.3. 회전성형, 프레스성형 94
3.2.4. 용접, 부분용접 95
3.2.5. 콜드조인트의 활용 98
4. 금속 판재 가공의 다변적 조합 101
4.1. 절곡 102
4.1.1. 절곡의 이해 102
4.1.2. 연신율 105
4.1.3. 다각도 절곡 106
4.1.4. 절곡을 통한 가구 제작의 장단점 107
4.2. 접합 110
4.2.1. 용접(Welding) 110
4.3.2. 콜드조인트 112
4.2.3. 가구에서의 접합 방법에 따른 장단점 115
4.3. 절곡과 접합의 다변적 조합을 통한 효과 118
4.3.1. 연구 작품에서의 조합 방법 118
4.3.2. 다변적 조합에 따른 장점 120
4.3.3. 적용 및 제작 연구 124
5. 작품연구 142
5.1. 벽의 재구성 157
5.1.1. 조형 연구 157
5.1.2. 작품 연구 161
5.2. 바닥, 천장의 재구성 171
5.2.1. 조형 연구 171
5.2.2. 작품 연구 173
5.3. 기둥의 재구성 191
5.3.1. 조형 연구 191
5.3.2. 작품 연구 193
6. 결론 202
참고문헌 204
Abstract 214
〈그림 1〉 Ron Arad, Concrete Stereo, 1983 31
〈그림 2〉 Jean Prouvé, "Kangourou Armchair, 1951 34
〈그림 3〉 Charlotte Perriand, Bibliothèque de la Maison de Tunisie, 1952 34
〈그림 4〉 MoMA(뉴욕 현대 미술관)에서 Ron Arad의 No Discipline 전시전경, 2009 35
〈그림 5〉 Isamu Noguchi, Akari, 1951 36
〈그림 6〉 Gaetano Pesce, Pratt Chair(No.3), 1984 37
〈그림 7〉 배세화, Steam_20. 2010 37
〈그림 8〉 Tokujin Yoshioka, Waterfall, 2010 38
〈그림 9〉 George Nakashima, An Important "Conoid" Dining Table, 1973 38
〈그림 10〉 1868년 12월 25일자 'Building News'지에 삽입된 아트퍼니처 관련 이미지 40
〈그림 11〉 니콜라우스 펩스너(Nikolaus Pevsner)의 『Study in Art, Architecture and Design』의 삽입 페이지, 1982 41
〈그림 12〉 Edward William Godwin, Rare early sideboard, 1867 42
〈그림 13〉 Alessandro Mendini, Proust armchair, 1978 45
〈그림 14〉 Ettore Sottsass, Ashoka table lamp, 1981 45
〈그림 15〉 Gaetano Pesce, Big Mama, 1969 46
〈그림 16〉 Wendell Castle, Chair with Sport Coat, 1978 48
〈그림 17〉 서울공예박물관 전시 주제 중 일부 이미지(최병훈 제공) 49
〈그림 18〉 최병훈, Afterimage of Beginning 020-535, 2020 49
〈그림 19〉 Ron Arad의 전시전경, 2009 51
〈그림 20〉 Joseph Paxton, The Crystal Palace, 1851 54
〈그림 21〉 Alexandre Gustave Eiffel, Effel Tower, 1889 55
〈그림 22〉 Aaron-Mamby, 1822 55
〈그림 23〉 Hector Guimard, Metro Station 56
〈그림 24〉 Karl Friedrich Schinkel, Garden Bench, 1825년경 59
〈그림 25〉 Thomas Jeckyll, Chair, 1876 59
〈그림 26〉 작가미상, Chair, 1840년경 60
〈그림 27〉 작가미상, Garden Chair, 1850-1900 60
〈그림 28〉 Marcel Breuer, B3(Wassily) Chair, 1925 61
〈그림 29〉 Mart Stam, 캔틸레버 초기형 구조 61
〈그림 30〉 작가 미상, Chair, 1930년대 62
〈그림 31〉 Jean Prouvé, Chaise No. 4, 1934 62
〈그림 32〉 Marcel Breuer, Chaise Longue No. 313, 1932 63
〈그림 33〉 Hans Coray, Landi, 1938 63
〈그림 34〉 Charles & Ray Eames, DSR Shell Chair with Eiffel Base, 1950 64
〈그림 35〉 Eero Saarinen, Tulip Arm Chair, 1956 64
〈그림 36〉 Hilla Shamia, Wood Casting Collection, 2011 68
〈그림 37〉 Max Lamb, 30 Triangles Stool, from Pewter Series, 2014 68
〈그림 38〉 이광호, Skin, Enameled Copper Series, 2011 70
〈그림 39〉 Nacho Carbonell, Lignt Mesh Collection 70
〈그림 40〉 Christopher Schanck, Alufoil Shell Chair, 2015 72
〈그림 41〉 이시산, Neo Primitive Chair 01, 2022 72
〈그림 42〉 Marjin van der Poll, Do Hit Chair, 2000 73
〈그림 43〉 Vincent Dubourg, Buffet Inner Vortex Alu, 2017 73
〈그림 44〉 Joris Laarman, Microstructures Adaptation Chair, 2014 74
〈그림 45〉 John Briscella, continuum3, 2018 74
〈그림 46〉 꺽쇠 84
〈그림 47〉 판금을 이용한 케이스 84
〈그림 48〉 19세기 이탈리아의 판금 천장 85
〈그림 49〉 현재 사용하는 금속 판금 패턴 85
〈그림 50〉 자동차 성형 86
〈그림 51〉 Frank Gehry, Bilbao Guggenheim Museum, 1997 86
〈그림 52〉 Anish Kapoor, Cloud Gate, 2004 87
〈그림 53〉 Cloud Gate 제작과정 87
〈그림 54〉 Wim Delvoye, Twisted Dump Truck, 2013 88
〈그림 55〉 Wim Delvoye 작품의 구조 88
〈그림 56〉 정용진, 288개의 작은 면을 가진 굽이 높은 기물, 2016 89
〈그림 57〉 이재익, Transition_Gemma, 2021 89
〈그림 58〉 전용일, 백동 손잡이의 주전자 3, 2015 90
〈그림 59〉 조성호, 시간의 채집 20-4, 2020 90
〈그림 60〉 Ron Arad. Bookworm, 1993 92
〈그림 61〉 Max Lamb, Rusty Sheet Chair, 2008 93
〈그림 62〉 Tom Dixon, Etch Lamp, 2010 93
〈그림 63〉 Thomas Heatherwick, 'Spun' chair, 2015 94
〈그림 64〉 Ron Arad, Fauteuil Uncut, 1997 94
〈그림 65〉 Oskar Zięta, Chippensteel Chair Copper, 2010 96
〈그림 66〉 곽철안, Cursive structure_cube merged chair_wide, 2018 96
〈그림 67〉 Maarten Baas, Carapace Armchair, 2016 97
〈그림 68〉 Marc Newson, Lockheed Lounge Chaise, 1988 98
〈그림 69〉 Donald Judd, Chair 2, 1984 99
〈그림 70〉 Ron Arad, Tempered Chair, 1986 99
〈그림 71〉 최종하, De-dimension GA, 2021 100
〈그림 72〉 최종하, De-dimension GA, 2D로 변환되어 벽에 부착된 모습 100
〈그림 73〉 각접기, 용접, 절곡의 차이 102
〈그림 74〉 Christopher Stuart, Bronze U Bench - 6', 2015 103
〈그림 75〉 프리벤딩 104
〈그림 76〉 코이닝(Coining) 104
〈그림 77〉 절곡을 위한 연신율(특정 업체의 일반적 예상치) 105
〈그림 78〉 작품에 적용된 다각도 절곡 106
〈그림 79〉 So Takahashi, Origami Chair, 2008 107
〈그림 80〉 Ran Amitai, Nature of Material, 2010 107
〈그림 81〉 절곡할 때 생겨나는 모습(오른쪽) 108
〈그림 82〉 Mos Architects, Model Furniture, 2016 109
〈그림 83〉 용접 110
〈그림 84〉 블라인드 리벳 113
〈그림 85〉 볼트형 리벳 113
〈그림 86〉 아일렛 리벳 113
〈그림 87〉 블라인드 리벳의 원리 113
〈그림 88〉 리벳을 위한 구멍 114
〈그림 89〉 나사못 결합 모습 114
〈그림 90〉 기공 115
〈그림 91〉 균열 115
〈그림 92〉 움푹 패인 현상 115
〈그림 93〉 향후 손잡이가 완벽히 고정되지 않는 결함 117
〈그림 94〉 보도블록 패턴 118
〈그림 95〉 연구자가 작품제작을 위해 시도했던 CNC 절삭으로 만들어진 표면 118
〈그림 96〉 V 커팅과 절곡 접합 단면의 시각적 차이 119
〈그림 97〉 〈그림 96〉의 방법을 사용하여 절곡 면으로 깊이를 표현한 형태 119
〈그림 98〉 연구자의 작품 일부 사진: M2 Studio 황정욱, (C) BLACKLOT 제공 121
〈그림 99〉 연구자의 작품 일부 121
〈그림 100〉 작품의 레이저 가공을 위한 2D 배열도, (제공: 김포레이저센터) 122
〈그림 101〉 연구 작품을 위한 스케치 125
〈그림 102〉 라이노 프로그램을 통한 연구 작품 구현 127
〈그림 103〉 제작을 위한 도면 127
〈그림 104〉 연구 작품의 라이노 파일을 오토캐드로 변환 후 전개도(+절곡 날개 도면) 제작 (제공: 플로렌스 테크) 128
〈그림 105〉 전개도 이후 연신율 계산한 절곡 도면 129
〈그림 106〉 용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연구자가 시행한 작품 도면 세부사항(제공: 플로렌스 테크) 130
〈그림 107〉 절곡 후 단면과 만나는 반대쪽 절곡 모양 130
〈그림 108〉 연구 작품의 레이저 가공을 위한 배열도, (제공: 김포레이저센터) 131
〈그림 109〉 절곡이 완료된 모습 132
〈그림 110〉 육면체로 절곡 후 만나는 모서리를 용접한 모습 132
〈그림 111〉 용접면과 콜드조인트를 위한 구멍 133
〈그림 112〉 도면 수정 후 단면과 모서리를 용접한 모습 133
〈그림 113〉 절곡 후 용접과 콜드조인트 결합 과정 134
〈그림 114〉 결합이 완료된 모습 134
〈그림 115〉 표면 마감(사포) 134
〈그림 116〉 시계 제작 시 윗면과 꺾이는 단면을 효과적으로 강조하기 위한 마감 방법 135
〈그림 117〉 〈그림 116〉의 기법을 적용한 연구 작품 표면 마감(절곡 면 강조) 135
〈그림 118〉 연구자의 작품을 위해 최종 사용된 클리어 도료 136
〈그림 119〉 클리어 코팅 과정 137
〈그림 120〉 같은 도료이지만 시너 희석 비율이 달라 생기는 표면 질감 차이 (좌: 도료가 두껍게 도포되어 구리의 질감이 떨어짐... 137
〈그림 121〉 표면에 부분적으로 산화된 모습 138
〈그림 122〉 유리막 코팅 작업 과정 138
〈그림 123〉 구리 위에 법랑을 얹은 모습 140
〈그림 124〉 법랑이 적용된 타입 140
〈그림 125〉 알루미늄 양극산화가 적용된 부분 141
〈그림 126〉 분체도장 과정 141
〈그림 127〉 Max Warren, In Progress, 2018 144
〈그림 128〉 Bethan Gray, Nizwa 2 x 2 Cabinet 144
〈그림 129〉 간판들로 둘러싸인 거리의 풍경 145
〈그림 130〉 반포대교 145
〈그림 131〉 연구자가 항상 다니는 건물의 표면 패턴 145
〈그림 132〉 연구자의 기존 작품 연작 146
〈그림 133〉 Antoni Gaudi, Casa Batlló 실내전경, 1904-1912 150
〈그림 134〉 Antoni Gaudi, Batlló Bench, 1906 150
〈그림 135〉 Josef Chochol, Cubist villa, 1912 150
〈그림 136〉 Pavel Janák, A Cubist Chair 1911-12 150
〈그림 137〉 Gerrit Rietveld, Schroder House, 1925 151
〈그림 138〉 Gerrit Rietveld, Red and Blue Chair, 1918 - 1923 151
〈그림 139〉 Zaha Hadid, DDP, 2014 151
〈그림 140〉 Zaha hadid, Mesa Table, 2005 151
〈그림 141〉 Studio Job, 'Taj Mahal' table, 2012 153
〈그림 142〉 Jonah Takagi, Range Life, 2011 153
〈그림 143〉 Trix + Robert Haussmann, Lehrstück I, Möbel als Architekturzitat, 1977 154
〈그림 144〉 피라미드 157
〈그림 145〉 숭례문 157
〈그림 146〉 Jean Michel Othoniel, Stairs to Paradise, 2020 158
〈그림 147〉 Christian J. Lange, Don Holohan, Holger Kehne, Ceramic Constellation Pavilion, 2017 158
〈그림 148〉 Gaetano Pesce, Monumental 'Golgotha' Table, 1973 159
〈그림 149〉 벽돌 형태로 조합이 가능한 연구자의 작품 스케치: (벤치, 스툴, 테이블 등 다양한 형태와 기능의 조합이 가능함) 161
〈그림 150〉 봉정사 우물천장 171
〈그림 151〉 산타마리아 마조레 대성전(Santa Maria Maggiore) 천장 171
〈그림 152〉 사각 타일 패턴 172
〈그림 153〉 거실 바닥 패턴 172
〈그림 154〉 천장의 격자 형태를 차용한 연구 스케치 173
〈그림 155〉 연구 작품 제작과정(용접) 174
〈그림 156〉 위아래로 연결한 형태 174
〈그림 157〉 Ettore Sottsass, Adesso Péro Bookcase, 1992 175
〈그림 158〉 바닥 패턴을 활용한 연구 작품 스케치 175
〈그림 159〉 야외 보도블록 패턴 186
〈그림 160〉 야외 보도블록 패턴 2 186
〈그림 161〉 보도블록 형태의 결합에 다른 조형의 변화 가능성(이미지 재편집) 187
〈그림 162〉 파르테논 신전 191
〈그림 163〉 경회루 191
〈그림 164〉 Studio 65, Capitello, 1971 192
〈그림 165〉 종묘 192
〈그림 166〉 연구 작품 스케치 193
〈그림 167〉 개심사 심검당 199
〈그림 168〉 청룡사 대웅전 199
〈그림 169〉 Frank Gehry, Dancing House, 1996 200
〈그림 170〉 GT 타워 200
〈작품 1〉 Compositional Copper: Bench, Low Table, 구리, 투명 클리어 마감,... 162
〈작품 2〉 Compositional Steel: Bench, Low Table, 스테인리스강(304), 유리막 마감,... 163
〈작품 3〉 Compositional Copper: Stool, Side Table, 구리, 투명 클리어 마감,... 164
〈작품 4〉 Compositional Copper: Stool, Side Table, 구리, 투명 클리어 마감,... 165
〈작품 5〉 Compositional Copper: Bench, Low Table, 구리, 투명 클리어 마감, 산세강판(PO), 분체도장,... 166
〈작품 6〉 Compositional Copper: Bookshelf, 구리, 투명 클리어 마감, 대리석: 트래버틴(Travertine),... 167
〈작품 7〉 Compositional Steel: Stool, Side Table, 스테인리스강(304), 유리막 마감,... 168
〈작품 8〉 Compositional Steel: Stool, Side Table, 스테인리스강(304), 유리막 마감,... 169
〈작품 9〉 Compositional Aluminum: Stool, Side Table, 양극산화 된 알루미늄, 산세강판(PO), 분체도장,... 170
〈작품 10〉 Compositional Steel: Stool, Side Table, 산세강판(PO), 분체도장,... 177
〈작품 11〉 Compositional Copper: Stool, Side Table, 구리, 투명 클리어 마감,... 178
〈작품 12〉 Compositional Steel: Stool, Side Table, 산세강판(PO), 분체도장,... 179
〈작품 13〉 Compositional Copper: Stool, Side Table, 구리, 투명 클리어 마감,... 180
〈작품 14〉 Compositional Copper: Stool, Side Table, 구리, 투명 클리어 마감,... 181
〈작품 15〉 Compositional Copper: Bench, Low Table, 구리, 투명 클리어 마감, 산세강판(PO), 분체도장,... 182
〈작품 16〉 Compositional Copper: Stool, Side Table, 황화칼륨에 산화된 구리, 법랑, 산세강판(PO), 분체도장,... 183
〈작품 17〉 Compositional Copper: Stool, Side Table, 황화칼륨에 산화된 구리, 법랑, 산세강판(PO), 분체도장,... 184
〈작품 18〉 Compositional Copper: Stool, Side Table, 구리, 법랑, 산세강판(PO), 분체도장,... 185
〈작품 19〉 Compositional Copper: Stool, Side Table, 구리, 투명 클리어 마감, 산세강판(PO), 분체도장,... 188
〈작품 20〉 Compositional Copper: Stool, Side Table, 구리, 투명 클리어 마감, 산세강판(PO), 분체도장,... 189
〈작품 21〉 Compositional Copper: Bench, Low Table, 구리, 투명 클리어 마감, 산세강판(PO), 분체도장,... 190
〈작품 22〉 Compositional Copper: Bench, 구리, 투명 클리어 마감,... 194
〈작품 23〉 Compositional Copper: Bench, Low Table, 구리, 투명 클리어 마감,... 195
〈작품 24〉 Compositional Steel: Console, 산세강판(PO), 분체도장,... 196
〈작품 25〉 Compositional Steel: Stool, Side Table, 산세강판(PO), 분체도장... 197
〈작품 26〉 Compositional Steel: Stool, Side Table, 스테인리스강(304), 유리막 마감,... 198
〈작품 27〉 Compositional Copper: Stool, Side Table, 구리, 투명 클리어 마감,... 201
본 연구는 금속 판재를 사용하여 포스트모던 시대의 새로운 기호인 아트퍼니처를 연구자가 분석한 다변적인 가공법으로 제작, 표현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에 사용된 금속 판재는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재료 중 하나이며, 산업에서 대부분의 사물에 적용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많은 독립 가구 제작자에게는 효율성, 경제성 면에서 자유롭게 접근하기 쉽지 않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합리적인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연구자는 공예적인 방식과 산업 생산 방식의 교차 적용을 탐구하여 심미성과 제작의 합리성을 내포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가구를 연구하였다. 이에 따라 제작된 〈구성 연작: Compositional Object Series〉은 구리, 스테인리스강, 강철판 등 여러 가지 금속 판재를 이용해서 다양한 가공 방법이 복합적으로 적용된 아트퍼니처이다.
연구는 크게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로, 아트퍼니처라는 새로운 기호의 발생과 더불어 금속의 역사적 맥락과 금속 가구의 발전 단계, 그리고 현재 금속이 적용된 아트퍼니처의 특징을 기술하였다. 다음으로는 금속 판재의 일반적인 고찰과 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금속 판재의 종류, 각 분야에서의 활용, 그리고 가구에서 어떻게 금속 판재 가공이 쓰이고 있는지 사례별로 정리하였다. 그리고 4장에서는 본 연구에 사용된 금속 판재의 절곡과 접합의 방법, 그리고 이 두 가지를 다변적으로 조합할 때의 조형성과 장점을, 최종적으로 연구 작품에서 적용된 형태와 방법론이 담겨있다.
마지막 5장: 작품 연구에서는 금속 판재의 다변적인 가공 조합을 연구자만의 조형 방식으로 해석한 작품과 이에 대한 설명으로 구성하였다. 연구자는 주위에서 흔히 발견할 수 있는 건축의 표면 이미지를 작품의 구조와 형태에 적용하였는데, 그 이유와 개념, 조형의 과정이 담겨있다. 세부적으로는 건축을 이루고 있는 요소인 바닥과 천장, 벽, 기둥의 조형을 작품의 형태로 설계하였으며 패턴을 통하여, 또는 구조적인 요소로서 가구를 표현하였다. 이에 대한 근거를 위하여 건축과 가구에 대한 표현의 유사성과 조형의 연관관계, 추가로 연구자에게 영감을 준 아트퍼니처의 예시를 함께 거론하였다.
본 연구는 절곡, 콜드조인트 등 산업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는 금속 판재의 여러 복합적인 가공법으로 아트퍼니처라는 가구의 예술성을 충분히 표현하고자 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이 결과물이 향후 해당 분야를 넘어 심미성을 강조한 많은 조형에서 다양하게 추가적인 분석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하며, 더불어 현시대의 새로운 기호인 아트퍼니처의 후속적인 연구 또한 활발히 진행되기를 바란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