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초록 11

Ⅰ. 서론 13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3

2. 이론적 배경 20

1) 감각처리민감성 20

2) 정서적 섭식 20

3) 지각된 스트레스 23

4) 회피적 정서조절 26

3. 연구문제 및 가설 30

Ⅱ. 방법 32

1. 연구 대상 32

2. 측정 도구 32

1) 한국판 매우 민감한 사람 척도 (The Korean Version of the Highly Sensitive Person Scale: K-HSPS-18) 32

2) 한국판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The Perceived Stress Scale: K-PSS) 33

3) 정서 조절 양식 체크리스트: 회피분산적 양식 34

4) 부정적 정서로 유발된 섭식 동기 척도와 섭식 행동 척도 34

3. 연구 절차 35

4. 자료 분석 방법 및 절차 36

Ⅲ. 결과 37

1.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37

2. 감각처리민감성과 정서적 섭식의 관계에서 지각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38

3. 감각처리민감성과 지각된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회피적 정서 조절의 조절효과 41

4. 감각처리민감성과 정서적 섭식의 관계에서 지각된 스트레스와 회피적 정서조절의 조절된 매개효과 44

Ⅳ. 논의 46

참고문헌 52

부록 70

부록 1. 한국판 매우 민감한 사람 척도 (The Korean Version of the Highly Sensitive Person Scale: K-HSPS-18) 71

부록 2. 한국판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 (The Perceived Stress Scale: K-PSS) 73

부록 3. 정서 조절 양식 체크리스트: 회피분산적 양식 74

부록 4. 부정적 정서로 유발된 섭식 동기 척도와 섭식 행동 척도 75

ABSTRACT 79

표목차

표 1.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검증 결과 37

표 2. 감각처리민감성과 정서적 섭식의 관계에서 지각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40

표 3. 감각처리민감성과 지각된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회피적 정서조절의 조절효과 42

표 4. 회피적 정서조절의 조절효과에 대한 조건부 간접효과 43

표 5. 감각처리민감성, 지각된 스트레스, 정서적 섭식의 관계에서 회피적 정서조절의 조절된 매개효과 45

표 6. 조절된 매개효과의 조건부 간접효과 45

그림목차

그림 1. 연구모형 31

그림 2. 감각처리민감성과 정서적 섭식의 관계에서 지각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모형 40

그림 3. 감각처리민감성과 회피적 정서조절의 상호작용효과 43

초록보기

 정서적 섭식은 스트레스와 부정 정서에 대한 반응으로 섭식하는 경향성이다. 국내외로 섭식장애에 대한 경각심이 고취되고 있는 가운데, 정서적 섭식은 섭식장애를 예측하는 주요 위험요인으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감각처리민감성이 정서적 섭식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지각된 스트레스와 회피적 정서조절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국적의 20대 여성 38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자기 보고식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각 변인의 측정에는 한국판 매우 민감한 사람 척도(K-HSPS-18), 한국판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K-PSS), 정서 조절 양식 체크리스트, 부정적 정서로 유발된 섭식 동기 척도와 섭식 행동 척도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감각처리민감성과 회피적 정서조절, 지각된 스트레스, 정서적 섭식 사이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감각처리민감성과 정서적 섭식 간의 관계에서 지각된 스트레스의 부분매개 효과가 유의했다. 셋째, 감각처리민감성과 지각된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회피적 정서조절의 조절효과가 유의했다. 마지막으로 감각처리민감성과 정서적 섭식의 관계에서 회피적 정서조절과 지각된 스트레스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했다. 하지만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 모두 회피적 정서조절의 수준이 낮을 때에만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감각처리민감성이 높은 사람은 스트레스를 크게 지각하여 정서적 섭식의 빈도 증가로 이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경로는 회피적 정서조절을 적게 사용할 때만 성립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지니는 의의와 한계, 그리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논의에서 다루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