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Ⅰ. 서론 11

Ⅱ. 연구과제 17

Ⅲ. 이론적 배경 20

1. 우울 20

1) 우울의 개념 20

2) 초기 성인의 우울 21

2.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22

1)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개념 22

2)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우울 간의 관계 23

3. 경험회피 24

1) 경험회피의 개념 24

2)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경험회피와 우울 간의 관계 25

4.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25

1)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개념 25

2)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우울,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간의 관계 27

3)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경험회피, 적응적 인지적 정서 조절 전략 간의 관계 28

Ⅳ. 연구방법 30

1. 연구대상 30

2. 측정 도구 33

1)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척도 단축형(Intolerance of Uncertainty Scale, Short Form; IUS-12) 33

2) 경험회피 척도(Korean Acceptance-Action Questionnaire; K-AAQ-II) 33

3)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척도(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CERQ) 34

4) 통합적 한국판 역학연구 센터 우울 척도(The Center for Epidemilolgical Studies-Depression Scale: CES-D) 35

3. 자료 분석 36

Ⅴ. 연구결과 38

1. 주요 변인 간의 상관분석 38

2.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우울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검증 40

3. 조절효과 검증 42

1)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우울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조절효과 42

2)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경험회피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조절효과 52

4. 매개된 조절효과 검증 61

1)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경험회피, 우울의 관계에서 긍정적 초점변경의 매개된 조절효과 62

2)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경험회피, 우울의 관계에서 수용의 매개된 조절효과 65

3)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경험회피, 우울의 관계에서 긍정적 재평가의 매개된 조절효과 68

5. 주요 연구 결과에 대한 요약 72

Ⅵ. 논의 73

참고문헌 78

부록 88

〈부록 1〉 일반적 특성 질문지 88

〈부록 2〉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척도 단축형(Intolerance of Uncertainty Scale, Short Form; IUS-12) 90

〈부록 3〉 통합적 한국판 역학연구 센터 우울 척도(The Center for Epidemilolgical Studies-Depression Scale: CES-D) 91

〈부록 4〉 경험회피 척도(Korean Acceptance-Action Questionnaire; K-AAQ-II) 93

〈부록 5〉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척도(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CERQ) 94

Abstract 97

표목차

〈표 1〉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N=470) 31

〈표 2〉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 문항구성 및 신뢰도 35

〈표 3〉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39

〈표 4〉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우울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40

〈표 5〉 부트스트래핑을 통한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재검증 41

〈표 6〉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우울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분석 44

〈표 7〉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조건 값에 따른 우울의 단순 회귀선 검증 46

〈표 8〉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우울의 관계에서 수용의 조건부 효과 50

〈표 9〉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우울의 관계에서 긍정적 재평가의 조건부 효과 51

〈표 10〉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경험회피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분석 54

〈표 11〉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조건 값에 따른 경험회피의 단순 회귀선 검증 56

〈표 12〉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경험회피의 관계에서 수용의 조건부 효과 59

〈표 13〉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경험회피의 관계에서 긍정적 재평가의 조건부 효과 60

〈표 14〉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우울의 관계에서 경험회피를 통한 긍정적 초점변경의 매개된 조절효과 분석 63

〈표 15〉 부트스트래핑을 통한 긍정적 초점변경의 매개된 조절효과의 유의성 검증 64

〈표 16〉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우울의 관계에서 경험회피를 통한 수용의 매개된 조절효과 분석 66

〈표 17〉 부트스트래핑을 통한 수용의 매개된 조절효과의 유의성 검증 67

〈표 18〉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우울의 관계에서 경험회피를 통한 긍정적 재평가의 매개된 조절효과 분석 69

〈표 19〉 부트스트래핑을 통한 긍정적 재평가의 매개된 조절효과의 유의성 검증 70

〈표 20〉 주요 연구 결과 요약표 72

그림목차

〈그림 1〉 매개된 조절효과 연구모형 19

〈그림 2〉 매개모형 검증 41

〈그림 3〉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우울의 관계에서 조망확대의 조절효과 47

〈그림 4〉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우울의 관계에서 계획다시 생각하기의 조절효과 47

〈그림 5〉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우울의 관계에서 긍정적 초점변경의 조절효과 48

〈그림 6〉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우울의 관계에서 수용의 조절효과 48

〈그림 7〉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우울의 관계에서 긍정적 재평가의 조절효과 49

〈그림 8〉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경험회피의 관계에서 긍정적 초점변경의 조절효과 56

〈그림 9〉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경험회피의 관계에서 수용의 조절효과 57

〈그림 10〉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경험회피의 관계에서 재평가의 조절효과 57

〈그림 11〉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우울의 관계에서 경험회피를 통한 긍정적 초점변경의 매개된 조절효과 65

〈그림 12〉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우울의 관계에서 경험회피를 통한 수용의 매개된 조절효과 68

〈그림 13〉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우울의 관계에서 경험회피를 통한 긍정적 재평가의 매개된 조절효과 71

초록보기

 본 연구는 초기 성인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우울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를 포함한 매개된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특히,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5개 하위요인으로 구성하여 조절효과를 세부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19세 이상 35세 미만의 성인 550명을 대상으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척도 단축형(IUS-12), 경험회피 척도(K-AAQ-II),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CERQ), 통합적 한국판 역학연구 센터 우울 척도(CES-D)를 사용하여 온라인 자기보고식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자 80명을 제외하여 총 470명(남성 219명, 여성 251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포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SPSS 23.0을 사용하여 빈도 및 기술 통계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PROCESS macro for SPSS 4.2를 이용하여 매개효과, 조절효과, 매개된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우울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의 완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우울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5가지 하위요인의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경험회피의 관계에서 긍정적 초점변경, 수용, 긍정적 재평가의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매개된 조절효과 검증 결과 긍정적 초점변경, 수용, 긍정적 재평가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 경험회피 → 우울'의 매개모형에 대해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의 결과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수준이 높더라도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개입을 통해 경험회피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을 낮출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와 매개된 조절효과를 세부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우울의 수준을 낮춰 줄 수 있는 구체적인 개입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