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Ⅰ. 서론 16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6

2. 연구의 방법 및 구성 20

3. 연구의 문제 제기 22

Ⅱ. 이론적 배경 24

1. 메타모더니즘(Metamodernism) 24

1) 메타모더니즘의 배경과 개념 24

2) 메타모더니즘의 전략과 요소 29

3) 메타모더니즘의 특징과 변화 37

2. 뉴뮤지엄(New museum) 53

1) 뮤지엄의 패러다임 변화 53

2) 뉴뮤지엄의 개념과 담론들 56

3) 국내 뉴뮤지엄의 정책 63

4) 뉴뮤지엄의 구조와 특징 65

3. 메타모더니즘과 뉴뮤지엄의 관계 74

1) 모더니즘 시대의 뮤지엄 : 화이트큐브 74

2)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뮤지엄 : 탈중심적 양상 77

3) 메타모더니즘 시대의 뮤지엄 : 상호작용성 81

4. 선행연구 고찰 86

1) 메타모더니즘 연구 86

2) 뉴뮤지엄의 연구 91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94

Ⅲ. 연구 방법 96

1. 연구 설계 96

1) 예비 지표의 구성 97

1) 자료 수집 방법 102

2. 뉴뮤지엄의 구조 분석 112

1) 사회적 기능의 강화 유형 112

2) 혁신과 공간의 확장 유형 123

3) 포괄적 관점의 수용 유형 133

4) 상호작용적 문화공간 유형 142

3. 전문가 조사 158

1) 1차 라운드 결과 158

2) 2차 라운드 결과 164

4. 소결 173

1) 사례 연구 요약 173

2) 전문가 조사 결과 177

Ⅳ. 연구 결과 178

1. 뉴뮤지엄 사례 연구의 함의 178

2. 전문가 조사의 시사점 181

3. 뉴뮤지엄의 연구 결과 183

Ⅴ. 메타모더니즘 기반 뉴뮤지엄의 미래 방향 186

1. 사회적 공간으로서 뮤지엄(Museums as Social Space) 186

2. 뮤지엄 트랜스포메이션(Museum transformation) 188

3. 인클루시브 뮤지엄(Inclusive Museum) 190

Ⅵ. 결론 195

참고문헌 199

부록 209

Abstract 222

표목차

〈표 1〉 메타모더니즘의 용어 발전 과정 26

〈표 2〉 메타모더니즘 전략 33

〈표 3〉 메타모더니즘의 요소 35

〈표 4〉 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 메타모더니즘의 태도 36

〈표 5〉 모더니즘 예술 41

〈표 6〉 포스트모더니즘 예술 46

〈표 7〉 시기별 예술사조 특징과 아이디어 53

〈표 8〉 국내 박물관 및 미술관 정의 56

〈표 9〉 ICOM 발표 뮤지엄의 정의 57

〈표 10〉 국립현대미술관 21세기 뮤지엄 58

〈표 11〉 뉴뮤지엄의 이론과 정의 61

〈표 12〉 테이트 모던 뮤지엄의 유니레버 시리즈 82

〈표 13〉 시기별 뮤지엄의 변화 84

〈표 14〉 메타모더니즘의 국내 연구 86

〈표 15〉 메타모더니즘의 해외 연구 88

〈표 16〉 뉴뮤지엄의 국내 연구 91

〈표 17〉 뉴뮤지엄의 해외 연구 93

〈표 18〉 뉴뮤지엄의 예비 지표 요인 100

〈표 19〉 뉴뮤지엄 사례 선정 기준 103

〈표 20〉 전문가 패널 선정 기준표 107

〈표 21〉 전문가 패널 구성 108

〈표 22〉 본 연구의 전문가 조사 단계 109

〈표 23〉 델파이 연구 절차 및 기간 110

〈표 24〉 테이트모던 뮤지엄(Tate Modern Museum) 115

〈표 25〉 미국 몬티첼로(Monticello) 히스토리뮤지엄 118

〈표 26〉 21세기뮤지엄(Kanazawa) 122

〈표 27〉 사회적 기능 강화 뮤지엄 유형 123

〈표 28〉 아르떼 뮤지엄 125

〈표 29〉 국립 로마 뮤지엄 (Museo Nazionale Romano) 128

〈표 30〉 호주 내셔널 뮤지엄(National Museum of Australia) 131

〈표 31〉 혁신과 공간의 확장 유형 132

〈표 32〉 뉴욕 현대미술 뮤지엄, MoMA 137

〈표 33〉 퐁피두센터 (Le Centre Pompidou) 141

〈표 34〉 포괄적 관점 수용 뮤지엄 유형 142

〈표 35〉 일민미술관 146

〈표 36〉 뮤지엄 산 148

〈표 37〉 국립현대미술관 주요 전시 목록 (2021~2023) 151

〈표 38〉 국립현대미술관(MMCA) 152

〈표 39〉 광주비엔날레 장소의 확장 156

〈표 40〉 광주 비엔날레 157

〈표 41〉 1차 라운드 답변 159

〈표 42〉 뉴뮤지엄의 구조 조사결과 165

〈표 43〉 뉴뮤지엄의 방향 조사결과 167

〈표 44〉 뉴뮤지엄의 구조 내용타당도 분석 171

〈표 45〉 뉴뮤지엄의 방향 내용타당도 분석 173

〈표 46〉 뉴뮤지엄 사례 종합 분석 176

〈표 47〉 국내 뮤지엄 사례 분석 176

〈표 48〉 뉴뮤지엄의 사례 분석 종합 179

그림목차

그림 1. 진동 원리 30

그림 2. 메타모더니즘 예술철학의 특성 37

그림 3. Georges Braque, 〈바이올린과 촛대〉, Oil on canvas, 60.96 x 50.17 cm, 1910 39

그림 4. Pablo Picasso, 〈바이올린 든 남자〉, Oil on canvas, 100 x 73.2 cm, 1911-1912 39

그림 5. Giacomo Balla, 〈줄에 메인 개의 움직임〉, Oil on canvas, 90x110㎝, 1912 40

그림 6. Natalia Goncharova, 〈자전거 타는 사람〉, Oil on canvas, 78x103cm, 1913 40

그림 7. 러셀(Russell Co nner),의 책 〈Beyond the Brillo Box〉, 1992 45

그림 8. 앤디 워홀(Andy Warhol), 〈브릴로 상자들〉, 1964, MoMA 45

그림 9. 〈Change the System〉, Boijmans Van Beuningen 뮤지엄, 2017. 49

그림 10. Museum Boijmans Van Beuningen. 네덜란드. 49

그림 11. Martin Wittfooth, 〈Rain song〉, 2015. 49

그림 12. Sarah Sze, 〈파편속의 이미지〉, 2018. 50

그림 13. Joseph Nechvatal, 〈Orlando Mani festation in Circulation〉, 2022. 50

그림 14. Giuseppe Penone, 〈나를 가지고 있는 나〉, 1968~ 현재. 51

그림 15. Giuseppe Penone, 〈숲의 반복〉, 2015-2016. 51

그림 16. Madmuseum(뉴욕), 〈No More Modern : Notes on Metamoder nism(FILM)〉, 2011. 52

그림 17. Galerie Tanja Wagnerr(베를린), 〈Discussing Metamodernism〉, 2012. 52

그림 18. 19세기 루브르 뮤지엄의 전시 모습. 54

그림 19. 뮤지엄 공간에서의 상호작용. 68

그림 20. 뮤지엄에서 현상학적 인식의 과정 70

그림 21. Chanel Mobile Art Pavilion 71

그림 22. D-Tower, Doetinchem, Netherland 72

그림 23. 금세기미술관(The Art of This Century Gallery), Designed by Frederick Kiesler, 1942. 75

그림 24. MOMA(The Museum Of Modern Art), 1929 76

그림 25. MOMA의 화이트큐브 방식의 Display 76

그림 26. Claes Oldenburg, 〈The Store〉, 1961. 78

그림 27. Keith Haring, 〈Pop Shop〉, New York, 1986. 78

그림 28. Keith Haring, 〈Pop Shop, interior〉, 1986. 78

그림 29. 해체주의 뮤지엄 건축 : Weisman Museum(Minneapolis), Milwaukee Museum (Milwaukee), Guggenheim Museum(Bilbao) 79

그림 30. 용도 폐기 건물의 재활용 뮤지엄, 삼례문화예술촌(좌)과 보안여관(우) 80

그림 31. 청주국립현대미술관, 재활용 뮤지엄과 새로운 아카이브 전시공간 81

그림 32. Ai Weiwei, 〈해바라기 씨앗〉, 2010. 83

그림 33. Kara Walker, 〈폰스 아메리카누스(Fons Americanus)〉, 현대 커미션, 2020. 83

그림 34. 메타모더니즘 국제 컨퍼런스 동영상(2019~2023) 90

그림 35. 연구의 분석틀 97

그림 36. 델파이 기법의 과정 104

그림 37. 델파이 기법 활용 105

그림 38. 도리스 살체도(Doris Salcedo), 〈쉬볼레스(Shibboleth)〉, in the Turbine Hall at Tate Modern, 2007 113

그림 39. Olafur Eliasson, 〈웨더 프로젝트, 터빈홀〉, Tate Modern, 2003 114

그림 40. Monticello, Thomas Jefferson museum. 외부 116

그림 41. Monticello,Thomas Jefferson museum. 내부 116

그림 42. 21세기뮤지엄(21st Century Museum of Contemporary Art), Kanazawa, Is hikawa, Japan 119

그림 43. 21세기뮤지엄, Kanazawa, Ishikawa, Japan, 내부, 외부의 연결 구조 120

그림 44. Chanel Mobile Pavilion 121

그림 45. 아르떼뮤지엄과 오르세 미술관 협업 스페셜 미디어아트전 124

그림 46. 아르떼뮤지엄 〈JUNGLE TROPIC〉, 2021 124

그림 47. 3D작업. Baths of Diocletian,Museo Nazionale Romano 127

그림 48. 아프로디테 조각상 3D 시각화: 메시 모델부터 AR 및 3D 웹 뷰어 127

그림 49. 1870년의 전시모습, Curator of the Australian Museum 130

그림 50. National gallery of australia exhibitions, 〈Aboriginal Memorial〉 131

그림 51. 테이트모던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 134

그림 52. MoMA, 새로운 공간, 새로운 모더니즘 135

그림 53. Alfred H. Barr, 〈포신, torpedo〉 diagrams of the ideal permanent collection of The Museum of Modern Art, 1941. 135

그림 54. Le Centre Pompidou, 층별 용도 139

그림 55. Niki de Saint Phalle & Jean Tingueli, 〈La fontaine Stravinsky〉 퐁피두센터의 외부 시민광장 140

그림 56. 일민미술관, Fortune Telling: 운명상담소, 2021. 144

그림 57. 뮤지엄산, 제임스 테렐관 미디어 전시 147

그림 58. 도시 내 유적 근대건축물을 활용한 호랑가시나무 아트폴리곤과 전시 154

그림 59. 폐쇄된 구 국군광주병원 설치, 문선희'묻고, 묻지 못한 이야기(좌)', 마이크넬슨 '거울의 울림(우)' 155

그림 60. 뉴뮤지엄의 구조 요인 162

그림 61. 뉴뮤지엄의 방향성 요인 163

그림 62. The Inclusive Museum의 제16회 Research Network의 포스터 191

초록보기

 이 연구는 현대 뮤지엄의 역할과 기능을 최근의 이론 메타모더니즘의 관점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뉴뮤지엄의 발전 방향을 탐구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뮤지엄 연구는 뉴뮤지올로지(New Museology)의 등장으로 비판적 담론이 확산되었고, 원점에서 그 기능과 역할을 재정립하려는 움직임이 촉진되었다. 뉴뮤지엄은 전통적 뮤지엄의 관점과 범위를 초월한 이용자 중심으로의 새로운 개념을 제시한다. 최근 등장한 문화이론 메타모더니즘은 과거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흐름이 뮤지엄의 패러다임을 변화시켰듯 뉴뮤지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메타모더니즘이 오늘의 뮤지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 분석하는 연구는 아직 미비하여 적절한 이론적 프레임과 실천적 방법론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학문적 융합과 상호작용을 중시하는 뉴뮤지엄의 개념과 역할을 정의하기 위해 모더니즘에서 포스트모더니즘, 그리고 메타모더니즘에 이르는 미술사적 변화와 뮤지엄과의 관계를 추적하였다. 그리고 메타모더니즘이 21세기 뉴뮤지엄의 구축과 방향성 설정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메타모더니즘에 기반한 뉴뮤지엄의 구조적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전략을 제안하고자 사례 연구와 전문가 조사를 통해 통합적인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혼합적 연구의 설계는 이론적 근거와 실제 적용 사이에서 다각적이고 균형 잡힌 결과를 얻기 위함이었다. 두 연구에서 도출된 공통적인 시사점은 21세기 뉴뮤지엄이 현대 사회의 복잡한 요구에 부응하여 사회적 대화와 문화적 다양성의 증진, 기술적 혁신을 추진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메타모더니즘을 토대로 뉴뮤지엄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세 가지 구조가 요구된다. 첫째, 새로운 매체의 수용과 공간 자체를 매체로 활용하는 매체미학적 구조의 필요성이다. 둘째, 현재의 가치관을 수용하고 과거의 인식에 머무르지 않는 현상학적 구조가 요구된다. 셋째, 뮤지엄 패러다임 변화와 관람객의 요구에 유동적이고 즉각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비결정적 구조가 필요하다. 연구의 결론으로 메타모더니즘을 기반으로 한 뉴뮤지엄의 방향 세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 번째는 뮤지엄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방향성으로서 '사회적 공간으로서의 뮤지엄(Museums as Social Space)'이어야 한다. 현대의 뮤지엄은 사회적 대화와 참여를 촉진하는 공간으로 발전해야 한다. 두 번째는 뮤지엄의 혁신과 변화의 지향점으로 '뮤지엄 트랜스포메이션(Museum Transformation)'을 제안한다. 이는 뉴뮤지엄이 기존의 관행과 경계를 넘어서 새로운 형태로 끊임없이 변모해야 함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최근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인클루시브 뮤지엄(Inclusive Museum)'을 뉴뮤지엄의 궁극적인 방향으로 제안한다. 인클루시브 뮤지엄은 다양한 계층과 문화적 배경을 가진 관람객을 포용하고 그들의 요구와 기대에 부응하는 공간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 연구는 21세기 뉴뮤지엄의 새로운 방향성과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뉴뮤지엄은 사회적 변화의 구심점이자 이슈에 대한 논의를 주도하는 플랫폼으로서, 사회적 요구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모델로 진화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뉴뮤지엄의 필요성과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현대 사회에서 역할과 중요성에 대한 지속적인 탐구가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