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Ⅰ. 서론 15
1. 연구의 목적과 의의 15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6
Ⅱ. 이론적 배경 18
1. 낭만주의 시대의 합창음악 18
2. 19세기 후기 이탈리아 합창음악의 경향 20
1) 종교 합창곡 20
2) 오페라 합창곡 21
3. 푸치니의 합창작품 23
1) 합창곡 24
2) 오페라 작품 26
4. 오페라 합창의 역할 31
1) 군중의 심리 대변 32
2) 주역 가수들의 감정 대변 33
3) 배경설정 및 분위기 조성 34
4) 극적인 효과 강화 35
5) 서사 전개의 매개 효과 37
Ⅲ. 오케스트라에 의한 4 성부 미사 38
1. 작품 개요 및 음악사적 특징 38
1) 개요 38
2) 음악사적 특징 39
2. 각 악장 분석과 곡의 특징 42
1) Kyrie(키리에) 42
2) 글로리아(Gloria) 48
3) 크레도(Credo) 66
4) 상투스와 베네딕투스(Sanctus e Benedictus) 76
5) 아뉴스 데이(Agnus Dei) 80
3. 분석 결과 85
Ⅳ. 푸치니 오페라에서의 합창 경향 88
1. 초기(1883~1893) 90
1) 빌리(Le Villi) 91
2) 에드가(Edgar) 97
3) 마농 레스코(Manon Lescaut) 103
2. 중기(1894~1904) 110
1) 라 보엠(La Bohème) 112
2) 토스카(Tosca) 116
3) 나비부인(Madama Butterfly) 121
3. 후기(1905~1924) 124
1) 서부의 아가씨(La Fanciulla del West) 127
2) 제비(La Rondine) 130
3) 일 트리티코(Il Trittico) 132
4) 투란도트(Turandot) 135
Ⅴ. 결과 및 논의 142
1. 오케스트라에 의한 4 성부 미사 142
2. 오페라 합창의 비중 143
3. 오페라 합창의 특징 144
4. 《오케스트라에 의한 4 성부 미사》와 오페라 합창의 종교적 연계성 145
Ⅵ. 결론 147
참고문헌 150
Abstract 153
그림 1. 런던의 리코르디 출판사 사진 원본(20세기 초반) 28
그림 2. 푸치니 《라 보엠》 중 2막 〈파르피뇰! 파르피뇰!〉 33
그림 3. 푸치니 《토스카》 중 1막 〈테 데움〉 35
그림 4. 구노 《파우스트》 중 4막〈병사들의 합창〉 35
그림 5. 푸치니 《빌리》 중 1 막 〈만세! 만세! 만세!〉 36
그림 6. 푸치니 《제비》 중 2 막 〈빨리! 빨리! 웨이터!〉 36
그림 7. 푸치니 《Messa a 4 Voci con Orchestra》 공식 표지 39
그림 8. 초기 오페라 리브레토 표지 90
그림 9. 초기 오페라 합창 사용 빈도 91
그림 10. 중기 오페라 리브레토 표지 110
그림 11. 중기 오페라 합창 사용 빈도 111
그림 12. 후기 오페라 리브레토 표지 124
그림 13. 후기 오페라 합창 사용 빈도 125
그림 14. 오페라 12 작품의 합창 사용 비중 143
〈악보 1〉 Kyrie 마디 12~17 43
〈악보 2〉 Kyrie 마디 17~21 44
〈악보 3〉 Kyrie 마디 31~35 45
〈악보 4〉 Kyrie 마디 33, 34, 마디 63, 64 45
〈악보 5〉 Kyrie 마디 35~40 46
〈악보 6〉 Kyrie 마디 61~67 47
〈악보 7〉 Gloria 마디 128~136 56
〈악보 8〉 Gloria 마디 141~147, 148~153, 'Gratias' 선율의 형태 57
〈악보 9〉 Gloria 테너 성부 주제선율과 음형 58
〈악보 10〉 Gloria 중 인상주의적 표현기법의 유사성 59
〈악보 11〉 Gloria 마디 197~203 61
〈악보 12〉 Gloria 마디 401~407, 408~415 선법의 대조 65
〈악보 13〉 Credo 마디 1~5 70
〈악보 14〉 Credo 마디 61~66 72
〈악보 15〉 Credo 마디 91~96 73
〈악보 16〉 Credo 마디 119~122 73
〈악보 17〉 Credo 마디 224~227 75
〈악보 18〉 Sanctus e Benedictus 마디 1~7 77
〈악보 19〉 Sanctus e Benedictus 마디 18~22 78
〈악보 20〉 Sanctus e Benedictus 마디 56~61 79
〈악보 21〉 Agnus Dei 마디 1~9, 13~21, 25~33 82
〈악보 22〉 Agnus Dei 마디 33~37 83
〈악보 23〉 Agnus Dei 마디 49~54 84
〈악보 24〉 호모포니 형태와 제창 형태의 합창구조 94
〈악보 25〉 굴리엘모의 선율과 Gratias의 선율 진행 95
〈악보 26〉 Gloria와 유사한 형태의 진행들 96
〈악보 27〉 당신은 불의 소용돌이(Tu volutta di fuoco) 100
〈악보 28〉 주여 겸손한 자에게 축복을(Dio non benedice) 101
〈악보 29〉 진혼곡(Requiem) 102
〈악보 30〉 그대가 방랑하는 산꼭대기에서(Sulla vetta tu del monte erri) 107
〈악보 31〉 하나님의 어린양(Agnus Dei) 107
〈악보 32〉 당신은 화려하고 반짝입니다(Sei Splendida e lucente) 108
〈악보 33〉 로제타! 저 모습을 보게! (Rosetta! Eh! Che aria!) 109
〈악보 34〉 내 이름은 미미(Si, Mi chiamano Mimi) 115
〈악보 35〉 축복받은 성모마리아시여(Madonna benedetta) 115
〈악보 36〉 테 데움(Te Deum) 선율 118
〈악보 37〉 로마 미사 성가집 중 Tonus Simplex 119
〈악보 38〉 새벽 교회 종소리(Le campane delle chiese mattutino) 120
〈악보 39〉 어제 나는 홀로 올라갔어요(Ieri son salita tutta sola) 123
〈악보 40〉 제한적 호모포니 형태의 외침(Gridando) 표현 129
〈악보 41〉 다양한 박자의 유형들 139
〈악보 42〉 아고긱 강세의 선율들 140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