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Ⅰ. 서론 14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4

2. 연구의 방법 및 제한점 15

Ⅱ. 이론적 배경 17

1. 고전시대의 배경 및 음악의 특징 17

2. 베토벤의 생애 18

3. 베토벤 작품의 시대적 구분 20

1) 제1기 - Period of Imitation(1782-1802) 21

2) 제2기 - Period of Realization(1803-1812) 24

3) 제3기 - Period of Contemplation(1813-1827) 26

4. 베토벤의 Violin Sonata 27

Ⅲ. 『Violin Sonata No. 3 Op. 12-3』과 『Violin Sonata No. 7 Op. 30-2』의 작품 분석 31

1. 『Violin Sonata No. 3 Op. 12-3』 작품 분석 31

1) 제1악장 32

2) 제2악장 40

3) 제3악장 44

2. 『Violin Sonata No. 7 Op. 30-2』 작품 분석 53

1) 제1악장 55

2) 제2악장 70

3) 제3악장 77

4) 제4악장 84

3. 『Violin Sonata No. 3 Op. 12-3』과 『Violin Sonata No. 7 Op.30-2』의 비교 분석 98

1) 형식 및 구성 98

2) 도입부 주제선율 제시 100

3) 곡의 길이 102

4) 피아노와 바이올린의 역할 104

5) 조성 108

Ⅳ. 결론 110

참고문헌 112

Abstract 113

표목차

표 1. 렌츠의 베토벤 창작 시기 구분 21

표 2. 제1기의 작품 23

표 3. 제2기의 작품 25

표 4. 제3기의 작품 27

표 5. 베토벤 Violin Sonata 작품 목록 28

표 6. 렌츠의 분류법에 의한 베토벤 Violin Sonata 시기 구분 29

표 7. 베토벤의 시기별 음악적 특징에 따라 구분한 Violin Sonata 30

표 8. Violin Sonata 제3번 악장별 형식 및 조성 31

표 9. 제1악장 형식 구조 32

표 10. 제2악장 형식 구조 40

표 11. 제3악장 형식 구조 44

표 12. Violin Sonata 제7번 악장별 형식 및 조성 53

표 13. 제1악장 형식 구조 55

표 14. 제2악장 형식 구조 70

표 15. 제3악장 형식 구조 77

표 16. 제4악장 형식 구조 84

표 17. 베토벤 Violin Sonata 제3번, 제7번 형식 및 구성 99

표 18. 베토벤 Violin Sonata 제3번, 제7번 도입부 주제 선율의 제시 100

표 19. 베토벤 Violin Sonata 제3번, 제7번 곡의 길이 102

표 20. 베토벤 Violin Sonata 제3번, 제7번 1악장 조성 108

악보목차

악보 1. No. 3 Op. 12-3 1악장, 1마디-11마디 33

악보 2. No. 3 Op. 12-3 1악장, 12마디-17마디 34

악보 3. No. 3 Op. 12-3 1악장, 18마디-28마디 35

악보 4. No. 3 Op. 12-3 1악장, 29마디-30마디, 37마디-38마디 36

악보 5. No. 3 Op. 12-3 1악장, 57마디-58마디, 67마디 36

악보 6. No. 3 Op. 12-3 1악장, 68마디-69마디 37

악보 7. No. 3 Op. 12-3 1악장, 96마디-101마디 37

악보 8. No. 3 Op. 12-3 1악장, 1마디-4마디, 104마디-106마디 38

악보 9. No. 3 Op. 12-3 1악장, 125마디-128마디 38

악보 10. No. 3 Op. 12-3 1악장, 5마디-6마디, 168마디-170마디 39

악보 11. No. 3 Op. 12-3 1악장, 44마디, 171마디-173마디 39

악보 12. No. 3 Op. 12-3 2악장, 1마디-5마디, 9마디-12마디 41

악보 13. No. 3 Op. 12-3 2악장, 22마디-23마디 41

악보 14. No. 3 Op. 12-3 2악장, 39마디-40마디 42

악보 15. No. 3 Op. 12-3 2악장, 46마디-47마디, 53마디-54마디 42

악보 16. No. 3 Op. 12-3 2악장, 64마디-71마디 43

악보 17. No. 3 Op. 12-3 3악장, 1마디-16마디 45

악보 18. No. 3 Op. 12-3 3악장, 10마디-24마디 46

악보 19. No. 3 Op. 12-3 3악장, 39마디-47마디 46

악보 20. No. 3 Op. 12-3 3악장, 48마디-63마디 47

악보 21. No. 3 Op. 12-3 3악장, 94마디-98마디, 117마디-120마디 48

악보 22. No. 3 Op. 12-3 3악장, 163마디-176마디 49

악보 23. No. 3 Op. 12-3 3악장, 193마디-198마디, 207마디-213마디 50

악보 24. No. 3 Op. 12-3 3악장, 226마디-232마디, 1마디-9마디 51

악보 25. No. 3 Op. 12-3 3악장, 253마디-278마디 52

악보 26. No. 7 Op. 30-2 1악장, 1마디-11마디 56

악보 27. No. 7 Op. 30-2 1악장, 16마디-19마디 57

악보 28. No. 7 Op. 30-2 1악장, 25마디-29마디 57

악보 29. No. 7 Op. 30-2 1악장, 25마디-39마디 58

악보 30. No. 7 Op. 30-2 1악장, 44마디-50마디 59

악보 31. No. 7 Op. 30-2 1악장, 51마디-54마디, 62마디-74마디 60

악보 32. No. 7 Op. 30-2 1악장, 75마디-83마디 61

악보 33. No. 7 Op. 30-2 1악장, 95마디-98마디 62

악보 34. No. 7 Op. 30-2 1악장, 100마디-109마디 62

악보 35. No. 7 Op. 30-2 1악장, 113마디-124마디 63

악보 36. No. 7 Op. 30-2 1악장, 125마디-140마디 64

악보 37. No. 7 Op. 30-2 1악장, 153마디-161마디 65

악보 38. No. 7 Op. 30-2 1악장, 159마디-173마디 66

악보 39. No. 7 Op. 30-2 1악장, 179마디-184마디 67

악보 40. No. 7 Op. 30-2 1악장, 185마디-188마디 67

악보 41. No. 7 Op. 30-2 1악장, 208마디-214마디, 219마디-229마디 68

악보 42. No. 7 Op. 30-2 1악장, 234마디-240마디, 247마디-254마디 69

악보 43. No. 7 Op. 30-2 2악장, 1마디-10마디 71

악보 44. No. 7 Op. 30-2 2악장, 16마디-32마디 72

악보 45. No. 7 Op. 30-2 2악장, 33마디-38마디 73

악보 46. No. 7 Op. 30-2 2악장, 51마디-62마디 74

악보 47. No. 7 Op. 30-2 2악장, 78마디-80마디 75

악보 48. No. 7 Op. 30-2 2악장, 93마디-97마디 76

악보 49. No. 7 Op. 30-2 2악장, 110마디-114마디 76

악보 50. No. 7 Op. 30-2 3악장, 1마디-18마디 78

악보 51. No. 7 Op. 30-2 3악장, 18마디-33마디 79

악보 52. No. 7 Op. 30-2 3악장, 34마디-48마디 80

악보 53. No. 7 Op. 30-2 3악장, 48마디-58마디 81

악보 54. No. 7 Op. 30-2 3악장, 58마디-72마디 82

악보 55. No. 7 Op. 30-2 3악장, 73마디-84마디 83

악보 56. No. 7 Op. 30-2 4악장, 1마디-17마디 85

악보 57. No. 7 Op. 30-2 4악장, 9마디-25마디 86

악보 58. No. 7 Op. 30-2 4악장, 26마디-38마디 87

악보 59. No. 7 Op. 30-2 4악장, 39마디-57마디 88

악보 60. No. 7 Op. 30-2 4악장, 76마디-96마디 89

악보 61. No. 7 Op. 30-2 4악장, 97마디-105마디 90

악보 62. No. 7 Op. 30-2 4악장, 106마디-113마디 90

악보 63. No. 7 Op. 30-2 4악장, 114마디-128마디 91

악보 64. No. 7 Op. 30-2 4악장, 146마디-165마디 92

악보 65. No. 7 Op. 30-2 4악장, 166마디-180마디 93

악보 66. No. 7 Op. 30-2 4악장, 174마디-197마디 94

악보 67. No. 7 Op. 30-2 4악장, 198마디-214마디 95

악보 68. No. 7 Op. 30-2 4악장, 246마디-251마디 96

악보 69. No. 7 Op. 30-2 4악장, 258마디-275마디 96

악보 70. No. 7 Op. 30-2 4악장, 276마디-291마디 97

악보 71. No. 7 Op. 30-2 4악장, 316마디-328마디 97

악보 72. No. 3 Op. 12-3 1악장, 1마디-8마디 101

악보 73. No. 7 Op. 30-2 1악장, 1마디-11마디 101

악보 74. No. 3 Op. 12-3 1악장, 5마디-11마디 104

악보 75. No. 3 Op. 12-3 1악장, 18마디-24마디 105

악보 76. No. 7 Op. 30-2 3악장, 48마디-58마디 106

악보 77. No. 7 Op. 30-2 4악장, 152마디-165마디 107

초록보기

 본 논문은 고전주의에서 낭만주의를 시작하는데 큰 역할을 한 독일 출생의 대표적인 작곡가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의 『Violin Sonata No. 3 Op. 12-3』 과 『Violin Sonata No. 7 Op. 30-2』를 분석하고 비교 연구하여 베토벤의 시기별 음악적 특징을 도출하는 것에 의의를 두었다.

루드비히 반 베토벤은 1800년경 격동하는 시대 변화를 자신의 음악에 고스란히 담은 작곡가이다. 그는 고전주의 양식에 제한되지 않고 독창적이며 개성적으로 음악을 표현함으로써, 고전주의와 낭만주의의 교량 역할을 하였다.

베토벤은 총 10개의 Violin Sonata 작품을 남겼는데, 초기에서 중기, 후기로 넘어갈수록 바이올린의 비중이 피아노만큼 커지면서 두 악기의 역할이 점차 동등해졌다. 작품 시기에 따라 고전주의적 요소와 낭만주의적 요소가 어떻게 나타났는지, 두 작품의 음악적 특징과 양면성을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베토벤의 『Violin Sonata No. 3 Op. 12-3』 과 『Violin Sonata No. 7 Op. 30-2』의 전 악장을 선율, 화성, 형식, 리듬 등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두 작품의 차이점을 비교 연구하고자 한다.

베토벤 Violin Sonata 제3번의 특징은 하이든과 모차르트의 영향을 받아 고전시대의 전통을 따른 초기 바이올린 소나타 형식으로, 바이올린보다 피아노의 역할이 더 우위에 있다. 베토벤 Violin Sonata 제7번의 특징은 고전시대 소나타의 전통을 벗어나서 새로운 음악적 형식과 요소를 볼 수 있는 작품이다. 제3번과 비교하였을 때 전통적인 고전시대 소나타 구조인 3악장에서 4악장으로 확장된 것과 곡의 길이가 길어졌으며, 복잡한 발전부, 코다의 확대, 그리고 제3악장의 Scherzo가 삽입되었다. Scherzo의 출현은 초기 작품에서는 잘 볼 수 없었던 중기, 후기 베토벤 작품의 큰 특징 중 하나이다. 제7번의 두 악기 간의 역할은 제3번보다 바이올린이 독주악기로서의 가능성을 이끌어내어 바이올린의 비중이 점차 확대됨으로써 피아노와 역할이 점차 동등해졌다.

연구 방법으로는 베토벤 Violin Sonata 악보를 분석하고, 문헌을 통해 자료 수집 및 정리 등이 있다.

『Violin Sonata 제3번』과 『Violin Sonata 제7번』을 분석함으로써 베토벤의 작품세계를 이해함과 더불어 학문적 접근을 통해 실제 연주에서의 연주 해석에 도움을 얻고자 쓰인 연구 논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