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Ⅰ. 서론 13
Ⅱ. 재료 및 방법 18
1. 연구 대상 18
2. 연구 방법 19
1) 검체 전처리 19
2) 항산균 도말 검사 20
3) 항산균 배양 검사 22
4) Rapid immunochromatographic 검사 24
5) Advansure TB/NTM real-time PCR 26
6) 항균제 감수성 검사 28
7) 오염율 조사 30
3. 분석 31
Ⅲ. 연구결과 32
1. 항산균 도말 검사 32
2. 항산균 배양 검사 33
3. Rapid immunochromatographic 검사 34
4. Advansure TB/NTM real-time PCR 검사 35
5. 항균제 감수성 검사 36
6. 오염율 조사 40
Ⅳ. 고찰 41
참고 문헌 48
영문초록 58
Table 1. Detection rates in acid-fast bacilli smear tests in requested specimens. 32
Table 2. Results of acid-fast bacilli culture test according to the properties of the medium. 33
Table 3. Results of SD BIOLINE TB Ag MPT64 Rapid test on samples detected as positive in MGIT liquid medium. 34
Table 4. Results of Advansure TB/NTM real-time PCR test on samples detected as positive in MGIT liquid medium. 35
Table 5. Results of antimicrobial drug susceptibility test. 37
Table 6. Distribution by sex and age of patients who were tested for antibiotic susceptibility. 38
Table 7. Distribution of antimicrobial resistance. 39
Table 8. Contamination results of acid-fast bacilli culture test according to the properties of the medium. 40
Figure 1. Process of tuberculosis testing in a clinical microbiological laboratory. 18
Figure 2. Decision patterns based on acid-fast bacilli smear and PCR results in clinical microbiological laboratory. 23
Figure 3. Positive result of immunochromatic test using TB Ag MPT64 kit. 25
Figure 4. Results image of Advansure TB/NTM real-time PCR. 27
결핵을 유발하는 병원체인 Mycobacterium. tuberculosis는 면역체계를 회피할 수 있으며 잠복 감염으로 숙주 내에서 오랜 기간 동안 살 수 있다. M. tuberculosis의 잠복 상태를 뒷받침하는 분자 메커니즘을 밝히는 것은 결핵 감염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 경기도 소재 H 대학병원의 미생물학 검사실에 2021년에 의뢰된 검체 6,174건을 대상으로 한 결핵검사의 양성율, 오염률, 내성율을 조사하였다. 항산성균 도말검사에서 양성이 342건(5.5%)였으며, Mycobacterium growth indicator tube (MGIT) 액체배지와 3% Ogawa 고체배지에서 모두 배양되어 검출된 검사는 243건(71.1%)이었고 MGIT배지 또는 3% Ogawa 배지에서만 배양된 경우는 각각 341건(99.7%), 234건(68.4%)로 나타났다. 두가지 배지 모두에서 양성으로 검출된 341건의 검체를 SD BIOLINE TB Ag MPT64 Rapid 검사를 수행하여 결핵균 양성으로 최종 판정된 것은 333건(97.7%)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Advansure TB/NTM real-time PCR로 분석한 결과는 279건(81.8%)으로 나타났다.
결핵균으로 동정된 145건에 대하여 항결핵제의 감수성 검사를 수행한 결과 INH02((isoniazid))에 대한 내성률은 23건(15.9%), RIF (rifamycin)은 11건(7.6%), EMB (ethambutol;ETB) 10건(6.9%), RBT (rifabutin;RFB) 10건(6.9%)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오염율 조사는 액체배지에서 255건(4.4%), 고체배지는 254건(4.4%)으로 나타났다.
결핵의 확진을 위해 다양한 검사법을 이용하고 있는데 전통적 배양 검사와 RT-PCR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특히 액체배양 검사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존재하지만 시간이 상대적으로 빠른 RT-PCR 보다 정확한 결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빠른 결핵의 동정으로 감수성 검사를 통해 적절한 항생제 처방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결핵의 동정률을 높이기 위해 전통적 배양검사와 MPT64, RT-PCR 검사를 병행하는 것이 확진에 더 효율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이를 통해 축적된 정보를 활용해 약물 내성 결핵균의 내성획득 위험을 낮추며, 세균 제거를 통해 감염 기간을 단축하고 염증 및 폐 조직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번 연구를 통해 현재보다 더 나은 임상 치료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