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Ⅰ. 서론 13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13

2. 선행 연구 검토 18

3. 연구의 내용과 방법 22

Ⅱ. 이론적 배경 25

1. 옛이야기 그림책의 특징과 발전과정 25

가. 옛이야기 그림책의 특징 25

나. 옛이야기 그림책의 출현과 발전과정 27

2. 그림책에서 글과 그림의 관계 34

가. 대응 관계 35

나. 상호 보완 관계 36

다. 모순 관계 36

3. 옛이야기 그림책에 나타난 그림의 기본 요소와 서사 구조의 의의 38

가. 그림의 기본 요소 38

나. 그림 표현에 의한 서사적 구조의 의의 43

Ⅲ.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서사 구조 47

1. 구전설화에 나타난 주요 서사 47

가. 『조선동화집』(1924): 24. 천벌 받은 호랑이 47

나. 정인섭의 『해와 달 The Sun and the Moon』 49

2. 옛이야기 그림책에 나타난 핵심 서사 51

가. 등장인물의 기능에 따른 장면 52

나. 그림책의 핵심 서사 52

Ⅳ. 『해와 달이 된 오누이』 그림책의 그림 표현 양상 54

1. 각 판본에 따른 그림 표현 양상 55

가. 그림의 수 55

나. 핵심 서사의 표현 여부 57

다. 서사에 없는 인물이나 배경의 표현 63

라. 인물 묘사 64

마. 성격 묘사 69

바. 그림의 시점 72

사. 배경 76

아. 프레임의 활용 78

자. 표지에 선택된 그림 82

2. 그림의 기본 요소에 따른 그림 표현 양상 85

가. 선 85

나. 색 88

다. 공간과 구도 92

라. 매체 95

Ⅴ. 『해와 달이 된 오누이』 그림책에 나타난 서사 구조의 그림 표현의 의의 98

Ⅵ. 결론 104

참고문헌 107

ABSTRACT 111

표목차

〈표 1〉 그림의 기본 요소 38

〈표 2〉 출판사별 그림의 수 55

〈표 3〉 출판사별 핵심 서사의 표현 여부 57

〈표 4〉 화면 분할에 따른 구도의 종류 94

〈표 5〉 글과 그림을 한 명의 작가가 표현한 그림책 100

그림목차

〈그림 1〉 조선총독부(1924), 『조선동화집』 28

〈그림 2〉 심의린(1926), 『조선동화대집』 28

〈그림 3〉 한충(1927), 『조선동화우리동무』 28

〈그림 4〉 박영만(1940), 『조선전래동화집』 28

〈그림 5〉 박완서 글, 김현 그림(1981), 『왕비가 된 심청』 30

〈그림 6〉 어효선 글, 김교만 그림(1981), 『꾀 많은 토끼』 31

〈그림 7〉 어효선 글, 이우경 그림(1988), 『빨강부채 파랑부채』 32

〈그림 8〉 김구인 글, 이철수 그림(1986), 『큰 도둑 거믄이』 32

〈그림 9〉 류재수 글 그림(1988), 『백두산 이야기』 32

〈그림 10〉 조대인 글, 최숙희 그림(1997), 『팥죽할머니와 호랑이』 33

〈그림 11〉 팻 허친스(2020), 『로지의 산책』 37

〈그림 12〉 『팥죽할머니와 호랑이』 최숙희 그림의 앞표지 45

〈그림 13〉 『팥죽할머니와 호랑이』 김품창 그림의 앞표지 45

〈그림 14〉 『팥죽할머니와 호랑이』 최숙희 그림의 인물표현 46

〈그림 15〉 『팥죽할머니와 호랑이』 김품창 그림의 인물표현 46

〈그림 16〉 송수정 그림, 이경혜 글(2006),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시공주니어. 56

〈그림 17〉 이억배 그림, 글(2020), 『오누이 이야기』, 사계절 56

〈그림 18〉 남주현 그림, 박영만, 원유순 글(2008), 『해님 달님』, 사파리 61

〈그림 19〉 홍영우 그림, 글(2015), 『해와 달이 된 오누이』, 보리. 61

〈그림 20〉 『해와 달이 된 오누이』, 김미혜 글, 최정인 그림 - 산 속 까마귀 63

〈그림 21〉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최정인 그림 - 어머니의 옷과 짚신 63

〈그림 22〉 『오누이 이야기』, 이억배 그림 - 깨진 바구니와 어머니의 짚신 63

〈그림 23〉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심미아 그림 - 호랑이 묘사 65

〈그림 24〉 『해님 달님』, 이종미 그림 - 호랑이 묘사 65

〈그림 25〉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최정인 그림 - 호랑이 묘사 65

〈그림 26〉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송수정 그림 - 호랑이 묘사 66

〈그림 27〉 『해님 달님이 된 오누이』, 최양숙 그림 - 호랑이 묘사 66

〈그림 28〉 『해와 달이 된 오누이』, 고지영 그림 - 호랑이 묘사 66

〈그림 29〉 『해님 달님』, 남주현 그림 - 호랑이 묘사 66

〈그림 30〉 『해와 달이 된 오누이』, 김성민 그림 - 호랑이 묘사 66

〈그림 31〉 『해와 달이 된 오누이』, 홍영우 그림 - 호랑이 묘사 66

〈그림 32〉 『오누이 이야기』, 이억배 그림 - 호랑이 묘사 66

〈그림 33〉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심미아 그림 - 오누이 묘사 67

〈그림 34〉 『해님 달님』, 이종미 그림 - 오누이 묘사 67

〈그림 35〉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최정인 그림 - 오누이 묘사 67

〈그림 36〉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송수정 그림 - 오누이 묘사 68

〈그림 37〉 『해님 달님이 된 오누이』, 최양숙 그림 - 오누이 묘사 68

〈그림 38〉 『해와 달이 된 오누이』, 고지영 그림 - 오누이 묘사 68

〈그림 39〉 『해님 달님』, 남주현 그림 - 오누이 묘사 68

〈그림 40〉 『해와 달이 된 오누이』, 김성민 그림 - 오누이 묘사 68

〈그림 41〉 『해와 달이 된 오누이』, 홍영우 그림 - 오누이 묘사 68

〈그림 42〉 『오누이 이야기』, 이억배 그림 - 오누이 묘사 68

〈그림 43〉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심미아 그림 - 어머니 성격 묘사 70

〈그림 44〉 『해님 달님』, 이종미 그림 - 어머니 성격 묘사 70

〈그림 45〉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최정인 그림 - 어머니 성격 묘사 70

〈그림 46〉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송수정 그림 - 어머니 성격 묘사 70

〈그림 47〉 『해님 달님이 된 오누이』, 최양숙 그림 - 어머니 성격 묘사 70

〈그림 48〉 『해와 달이 된 오누이』, 고지영 그림 - 어머니 성격 묘사 70

〈그림 49〉 『해님 달님』, 남주현 그림 - 어머니 성격 묘사 70

〈그림 50〉 『해와 달이 된 오누이』, 김성민 그림 - 어머니 성격 묘사 70

〈그림 51〉 『해와 달이 된 오누이』, 홍영우 그림 - 어머니 성격 묘사 70

〈그림 52〉 『오누이 이야기』, 이억배 그림 - 어머니 성격 묘사 71

〈그림 53〉 『해님 달님이 된 오누이』, 최양숙 그림 - 어머니 성격 표현 71

〈그림 54〉 『해님 달님』, 남주현 그림 - 어머니 성격 표현 71

〈그림 55〉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심미아 그림 - 인물의 시점 묘사 73

〈그림 56〉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최정인 그림 - 인물의 시점 묘사 73

〈그림 57〉 『오누이 이야기』, 이억배 그림 - 인물의 시점 묘사 73

〈그림 58〉 『해와 달이 된 오누이』, 김성민 그림 - 인물의 시점 묘사 73

〈그림 59〉 『해님 달님』, 이종미 그림 - 호랑이의 시점 묘사 74

〈그림 60〉 『해님 달님이 된 오누이』, 최양숙 그림 - 호랑이의 시점 묘사 74

〈그림 61〉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송수정 그림 - 호랑이의 시점 묘사 74

〈그림 62〉 『해와 달이 된 오누이』, 고지영 그림 - 호랑이의 시점 묘사 74

〈그림 63〉 『해님 달님』, 남주현 그림 - 인물의 시점 묘사 75

〈그림 64〉 『해와 달이 된 오누이』, 홍영우 그림 - 인물의 시점 묘사 75

〈그림 65〉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송수정 그림 - 배경 77

〈그림 66〉 『해와 달이 된 오누이』, 홍영우 그림 - 배경 77

〈그림 67〉 『해님 달님』, 남주현 그림 - 배경 77

〈그림 68〉 『해님 달님』, 이종미 그림 - 배경 78

〈그림 69〉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심미아 그림 -프레임의 활용 79

〈그림 70〉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최정인 그림 - 프레임의 활용 80

〈그림 71〉 『해와 달이 된 오누이』, 김성민 그림 - 프레임의 활용 80

〈그림 72〉 『오누이 이야기』, 이억배 그림 - 프레임의 활용 81

〈그림 73〉 『해님 달님』, 이종미 그림 - 앞표지와 뒷표지 82

〈그림 74〉 『해와 달이 된 오누이』, 김성민 그림 - 앞표지와 뒷표지 82

〈그림 75〉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송수정 그림 - 앞표지와 뒷표지 83

〈그림 76〉 『해와 달이 된 오누이』, 고지영 그림 - 앞표지와 뒷표지 83

〈그림 77〉 『해님 달님』, 남주현 그림 - 앞표지와 뒷표지 84

〈그림 78〉 『오누이 이야기』, 이억배 그림 - 앞표지와 뒷표지 84

〈그림 79〉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심미아 그림 -특징선 85

〈그림 80〉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최정인 그림 - 특징선 85

〈그림 81〉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송수정 그림 - 특징선 86

〈그림 82〉 『해와 달이 된 오누이』, 홍영우 그림 -특징선 86

〈그림 83〉 『해님 달님』, 이종미 그림 - 직선과 곡선 87

〈그림 84〉 『해와 달이 된 오누이』, 홍영우 그림 -직선과 곡선 87

〈그림 85〉 『해님 달님』, 이종미 그림 - 수직선 87

〈그림 86〉 『오누이 이야기』, 이억배 그림 - 수직선과 곡선 87

〈그림 87〉 『해와 달이 된 오누이』, 김성민 그림 - 음영선 88

〈그림 88〉 『해님 달님』, 남주현 그림 - 음영선 88

〈그림 89〉 『해님 달님이 된 오누이』, 최양숙 그림 - 명도 대비 89

〈그림 90〉 『해와 달이 된 오누이』, 고지영 그림 - 흑백 대비 90

〈그림 91〉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송수정 그림 - 채도 활용 91

〈그림 92〉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최정인 그림 - 따뜻한 색과 차가운 색의 대비 91

〈그림 93〉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최정인 그림 - 따뜻한 색과 차가운 색의 대비 91

〈그림 94〉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최정인 그림 - 회화적 공간 표현 92

〈그림 95〉 『해님 달님』, 남주현 그림 - 회화적 공간 표현 92

〈그림 96〉 『해와 달이 된 오누이』, 김성민 그림 - 평면적 공간 표현 93

〈그림 97〉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심미아 그림 - 구도 표현 94

〈그림 98〉 『해와 달이 된 오누이』, 김성민 그림 - 목판화 표현 97

〈그림 99〉 『해님 달님이 된 오누이』, 최양숙 그림 - 글과 그림의 관계 101

〈그림 100〉 『오누이 이야기』, 이억배 그림 - 그림책의 판형 102

〈그림 101〉 『해님 달님』, 이종미 그림 - 글 작가와 그림 작가의 협업 작품 103

〈그림 102〉 『해와 달이 된 오누이』, 고지영 그림 - 글 작가와 그림 작가의 협업 작품 103

〈그림 103〉 『해와 달이 된 오누이』, 김성민 그림 - 글 작가와 그림 작가의 협업 작품 103

〈그림 104〉 『해와 달이 된 오누이』, 홍영우 그림 -글 작가와 그림 작가의 협업 작품 103

초록보기

 옛이야기에는 겨레의 삶과 생각, 슬기와 용기, 웃음과 눈물이 말 마디마디마다 스며들어 있다. 옛이야기는 삶의 일부였으며 더 나아가서는 사람들의 생각을 하나로 묶어 다듬는 역할을 했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고 시대가 변함에 따라 과거 우리 삶에서 일상적으로 기능하던 구비 전통 이야기판은 거의 사라졌다. 오늘날 옛이야기는 만화, 소설, TV, 그림책 등의 새로운 이야기판을 매체로 전승을 이루고 있다. 그 중에서도 그림책 분야는 현재 가장 많은 옛이야기가 전승되고 있는 새로운 이야기판이다.

본 연구는 옛이야기 그림책이 오늘날 옛이야기를 전승해가는 새로운 매체로 등장하였고 1990년대 이후 양적 성장을 이루었지만 옛이야기 그림책에 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그림 텍스트보다는 글 텍스트에 대한 분석이 주를 이루고 있다는 것에서 출발했다.

옛이야기 그림책이 옛이야기가 지닌 가치를 전승해 나가는 하나의 매체로서, 옛이야기 그림책에서 서사로 표현된 글 텍스트뿐만 아니라 그림으로 표현된 그림 텍스트를 보는 눈을 길러 글과 그림의 관계를 역동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전설화 『해와 달이 된 오누이』를 기반으로 국내에 출판된 단행본 10권을 선정하여 서사 구조와 그에 따른 그림 표현 양상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II장에서는 옛이야기 그림책의 특징을 알아보고, 옛이야기 그림책의 출현과 발전과정을 그림 표현양식의 변화 부분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림책의 그림 텍스트에 주목하여 이것이 글 텍스트와 갖는 여러 관계를 분석하였고, 옛이야기 그림책에 나타난 그림의 기본 요소를 선, 색, 공간과 구도, 매체로 분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그림책에서 서사 구조에 따른 그림 표현 양상이 갖는 의의를 창작 그림책과 옛이야기 그림책에서 찾아보았다.

III장에서는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서사가 되는 구전설화를 토대로 원전과 비교하여 프로프(V propp, 1895~1970)의 설화 구조 분석 방법을 바탕으로 그림책에서 나타난 서사를 정리하였다.

IV장에서는 『해와 달이 된 오누이』그림책의 각 판본에 따른 그림 표현 양상을 그림책의 그림의 수, 핵심 서사의 표현 여부, 서사에 없는 인물이나 배경의 표현 방식, 인물 묘사, 성격 묘사, 그림의 시점, 배경, 프레임의 활용, 표지에 선택된 그림에 따라 분석하고, 그림의 기본 요소와 매체가 서사 구조에 따라 어떻게 의의를 가지는지도 살펴보았다.

V장에서는 『해와 달이 된 오누이』그림책에 나타난 서사 구조와 그림 표현의 의의를 밝혔다. 또한 옛이야기 그림책이 현대의 독자들을 통해 세대전승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옛이야기의 가치를 제대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옛이야기 그림책 한 편 한 편의 글과 그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100년이 넘어가는 우리나라 그림책의 역사에서 옛이야기 그림책이 질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서사의 올바른 재화에 대한 연구 및 그림의 효과적인 표현에 대해 충분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특히 그림 표현에 있어서는 작은 요소 하나에도 글과 조화를 이루며 옛이야기의 맛을 잘 살려낼 수 있는 것이어야 의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