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10

Ⅰ. 서론 12

1. 연구의 필요성 12

2. 연구의 목적 17

3. 용어의 정의 18

1) 호중구감소증 18

2) 복합항암화학요법 19

3) 건강증진행위 19

4) 영양상태 20

Ⅱ. 문헌 고찰 21

1. 건강증진행위와 호중구감소증 21

2. 영양상태와 호중구감소증 25

Ⅲ. 연구 방법 28

1. 연구 설계 28

2. 연구 대상 28

3. 연구 도구 30

1) 일반적 특성 및 질병 관련 특성 30

2) 건강증진 행위 도구 31

3) 영양 상태 32

4. 자료 수집 33

5. 연구의 윤리적 고려 34

6. 자료 분석 34

Ⅳ. 연구 결과 35

1. 호중구감소증 발생군과 비발생군의 일반적 특성 차이 35

2. 호중구감소증 발생군과 비발생군의 질병관련 특성 차이 37

3. 호중구감소증 발생군과 비발생군의 건강증진행위 차이 39

4. 호중구감소증 발생군과 비발생군의 영양상태 차이 41

5. 호중구감소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3

Ⅴ. 논의 44

Ⅵ. 결론 및 제언 49

참고문헌 50

부록 63

[부록 1] 생명윤리위원회 심의결과 통지서 63

[부록 2] 연구 동의서 65

[부록 3] 설문지 68

[부록 4] 증례기록서 73

[부록 5] 연구도구 사용 승인서 74

Abstract 75

표목차

Table 1. Difference of General characteristics between Neutropenia and Non-neutropenia Group (N=107) 36

Table 2. Difference of Disease-related Factors between Neutropenia and Non-neutropenia Group (N=107) 38

Table 3. Difference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between Neutropenia and Non-neutropenia Group (N=107) 40

Table 4. Difference of PG-SGA between Neutropenia and Non-neutropenia Group (N=107) 42

Table 5. Factors related to Neutropenia (N=107) 43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복합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소화기암 환자의 호중구감소증 영향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복합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소화기암 환자의 호중구감소증을 예방하기 위한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2021년 8월 31일부터 2021년 12월 18일까지 S시 소재의 일 종합병원에 5-FU 복합항암화학요법을 받기 위해 입원한 소화기암 환자 총 10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도구는 일반적 특성 및 질병관련 특성 총 13문항을 조사하였고, 건강증진행위는 Walker, Sechrist와 Pender(2002)가 개발한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II를 박은하 등(2003)이 번안하고 수정 보완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영양상태는 Ottery(1996)에 의해 개발된 후 Bauer(2002)에 의해 수정된 Patient-Generated Subjective Global Assessnemt(PG-SGA)를 이용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질병관련 특성은 전자의무기록으로 조사하였고 건강증진행위와 영양상태는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질병관련 특성, 건강증진행위, 영양상태는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호중구감소증 발생군과 비발생군 간의 일반적 특성 및 질병관련 특성, 건강증진 행위, 영양상태의 차이는 Independent t-test, Chi-squre test, Fisher's exact test 로 분석하였다. 호중구감소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Binary logistic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대상자 중 호중구감소증 발생군은 26명(24.3%)으로 나타났다.

호중구감소증 발생군과 비발생군 간의 일반적 특성 차이를 분석한 결과 혈소판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x²=6.06, p=.014).

호중구감소증 발생군과 비발생군 간의 건강증진행위 차이를 분석한 결과 건강증진행위 점수는 발생군과 비발생군이 각각 평균 2.46±0.41점, 2.81±0.48점으로 두 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보였다(t=3.57, p<.001).

호중구감소증 발생군과 비발생군 간의 영양상태 차이를 분석한 결과 영양상태 점수는 발생군과 비발생군이 각각 평균 3.77±0.59점, 3.40±0.79점으로 두 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U=2.49, p=.013).

복합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소화기암 환자의 호중구감소증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건강증진행위와 영양상태가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건강증진행위가 1점 증가할 때 호중구감소증이 발생될 교차비가 0.80(95% 신뢰구간: 0.71~0.90, p<.001), 영양상태가 1점 감소할 때 호중구감소증이 발생될 교차비가 1.91(95% 신뢰구간: 1.16~3.15, p=.011)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복합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소화기암환자의 호중구감소증을 예방하기 위해서 건강증진행위와 영양상태 정도를 파악하고 건강증진행위와 영양상태를 증진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를 적용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