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12
Ⅰ. 서론 14
1. 연구의 필요성 14
2. 연구의 목적 19
3. 연구 가설 19
Ⅱ. 문헌 고찰 21
1. 발의 회내(foot pronation) 21
가. 생체역학적 관점(biomechanics) 21
나. 운동학적 관점(kinetics) 22
2. 발의 유형 평가 23
가. Foot Posture Index-6(FPI-6) 23
나. Arch Height Index(AHI) 25
3. 하지 근기능 및 야구 퍼포먼스 변인 26
가. 족지굴근 근력(toe grip strength) 26
나. 수직 점프 파워 27
다. Reactive Strength Endurance(RSE) 28
라. 10야드 스프린트 28
Ⅲ. 연구방법 30
1. 실험 설계 30
2. 표본 크기 30
3. 연구 대상자 31
가. 연구 대상자의 특성 31
나. 연구 대상자 선정 기준 32
다. 연구 대상자 배제 기준 32
4. 실험 절차 33
가. 연구 대상자 모집 33
나. 신체조성 계측 34
다. 대상자 구분을 위한 발 유형 평가 34
라. 연구 대상자 그룹 선정 37
마. 하지 근기능 및 퍼포먼스 변인 측정 37
5. 실험장비 38
가. 신체조성 38
나. Arch Height Index(AHI) 39
다. 족지굴근 근력 측정기(toe grip dynamometer) 40
라. OPTO GAIT 41
마. Smartspeed Pro V1 42
6. 측정 방법 43
가. 족지굴근 근력 43
나. 수직 점프 44
다. Reactive Strength Endurance(RSE) 46
라. 10야드 스프린트 47
7. 자료처리 48
8. 통계처리 48
Ⅳ. 연구 결과 50
1. 그룹 간 족지굴근 근력 측정 결과 50
2. 그룹 간 수직 점프 측정 결과 50
3. 그룹 간 10 야드 스프린트 측정 결과 50
4. 그룹 간 RSE 측정 결과 51
5. FPI-6와 AHI 상관관계 분석 결과 54
Ⅴ. 논의 55
연구의 제한점 62
Ⅵ. 결론 63
참고문헌 64
Abstract 76
표 1. 연구 대상자의 특성 32
표 2. 실험장비 38
표 3. 두 그룹 간 측정 변인 비교 결과 51
표 4. 두 그룹 간 Reactive Strength Endurance-Reactive Strength Index 측정 결과 52
표 5. 두 그룹 간 Reactive Strength Endurance-점프 높이 측정 결과 52
표 6. Foot Posture Index-6와 Arch Height Index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왼발) 54
표 7. Foot Posture Index-6와 Arch Height Index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오른발) 54
그림 1. Foot Posture Index-6 평가 기준 24
그림 2. Foot Posture Index-6 평가지 24
그림 3. Arch Height Index 측정 부위 26
그림 4. 연구의 실험 절차 33
그림 5. Foot Posture Index-6 측정 방법 35
그림 6. Arch Height Index 측정 방법 37
그림 7. 신장 체중 자동측정기 (DS-103M) 39
그림 8. Arch Height Index 측정기 40
그림 9. 족지굴근 근력 측정기 (T.K.K. 3364) 41
그림 10. OPTO GAIT 42
그림 11. Smartspeed Pro V1. 43
그림 12. 족지굴근 근력 측정 방법 44
그림 13. 수직 점프 측정 방법 45
그림 14. Reactive Strength Endurance(RSE) 측정 방법 46
그림 15. 10 야드 스프린트 측정 방법 47
그림 16. 그룹 및 구간에 따른 Reactive Strength Index 변화 53
그림 17. 그룹 및 구간에 따른 점프 높이 변화 53
서론: 야구 종목에서 엘리트 선수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투구, 타격, 달리기와 같은 기본 기술의 습득이 중요하다. 투구 및 타격에서 중요한 지면반력은 운동 사슬에 따라 발에서부터 시작하여 골반-몸통-손에 전달된다. 발의 스프링과 같은 탄성적인 기능은 달리기 시 폭발적인 추진력을 만들어낸다. 발의 변형은 하지의 생체역학 및 운동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된다. 투구 시 한 발로 강한 에너지를 생성하고 주루플레이 및 수비 시 폭발적인 스프린트와 방향전환이 필요한 만큼 발의 변형이 야구 선수의 경기력에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소년 야구 선수의 발의 유형에 따른 하지 근기능 및 퍼포먼스 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방법: 연구 대상자는 서울, 경기 지역의 중, 고등학교 야구부 소속인 만 13-18세 남자 야구 선수 34명을 모집하였다. 그룹 선정에 부합하지 않는 5명을 제외하고 Foot Posture Index-6 점수에 따라 회내 그룹 19명(age=16.1±0.9y, height=179.3±6.0cm, mass=81.0±10.6kg), 중립 그 그룹 10명(age=16.3±0.6y, height=179.3±3.8cm, mass=80.4±10.9kg)으로 구분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하지 근기능 및 퍼포먼스 변인 측정을 위해 족지굴근 근력, 수직 점프, Reactive Strength Endurance(RSE), 10야드 스프린트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회내 그룹과 중립 그룹 간의 하지 근기능 수준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 및 반복측정 이원분산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모든 데이터 값의 통계적 유의 수준은 0.05로 설정하였다.
결과: 회내 그룹과 중립 그룹 간 족지굴근 근력(kg), 수직 점프 파워(w/kg), RSE 테스트의 reactive strength index(m/s), 점프 높이(cm), 10야드 스프린트 시간(s)은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P>0.05). RSE 측정 결과에서 회내 그룹이 중립 그룹에 비해 모든 구간에서 평균 RSI 및 평균 점프 높이가 낮은 경향을 보였다.
결론: 야구 선수의 발 변형은 오랜 시간 반복된 훈련에 대한 적응으로 인한 것으로 사료되며 발의 구조적인 변형이 하지 파워 및 파워 지구력, 점프 퍼포먼스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나 실제 경기력에는 큰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야구 선수를 위한 훈련 및 컨디셔닝 전략은 발의 구조적인 교정이 아닌 동적 기능 개선을 목표로 하는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