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0

제1장 서론 12

제1절 문제 제기 및 연구목적 12

제2절 연구 방법 및 범위 13

제2장 조선시대 민화의 이론적 고찰 15

제1절 조선시대 민화의 개념 15

제2절 조선시대 민화의 종류와 특성 21

1) 화조도(花鳥圖) 23

2) 모란도(牡丹圖) 25

3) 화훼도(花卉圖) 27

4) 연화도(蓮花圖) 28

5) 초충도(草蟲圖) 29

제3장 조선시대 민화 속 꽃 31

제1절 조선시대 민화 속 꽃의 종류와 상징 31

1) 모란 34

2) 연꽃 35

3) 매화 37

4) 국화 38

5) 해당화 40

제2절 조선시대 민화 속 꽃의 표현 특성 분석 42

1. 구도적 표현 특성 42

2. 형태적 표현 특성 48

3. 색채적 표현 특성 분석 52

제4장 서피스 디자인 개발 및 분석 54

제1절 제작 의도 및 전개 과정 54

제2절 서피스 디자인 개발 56

1. 디자인 no.1 Flower Shower 56

2. 디자인 no.2 Pink Present 60

3. 디자인 no.3 Lotus-leaf vine 64

4. 디자인 no.4 the Return of Flowers 68

5. 디자인 no.5 Flower Marble 72

6. 디자인 no.6 Flower in Memory 76

7. 디자인 no.7 Peonies in the Wilderness 80

제5장 결론 84

참고문헌 89

ABSTRACT 92

표목차

〈표 2-1〉 민화의 견해에 관한 선행 연구 분석 18

〈표 2-2〉 민화 연구가 별 분류 기준 및 분류 방식 23

〈표 3-1〉 그림 유형에 따른 민화 속 꽃의 종류 33

〈표 3-2〉 개체별 출현 빈도 분석 33

〈표 3-3〉 민화 구도의 유형 분류 체계 43

〈표 3-4〉 구도적 표현 별 특성 분석 47

〈표 3-5〉 민화의 색상 분포표 52

〈표 4-1〉 디자인 전개 과정 55

〈표 4-2〉 디자인 no.1의 컬러, 메인 모티프, 컬러웨이 58

〈표 4-3〉 디자인 no.2의 컬러, 메인 모티프, 컬러웨이 62

〈표 4-4〉 디자인 no.3의 컬러, 메인 모티프, 컬러웨이 66

〈표 4-5〉 디자인 no.4의 컬러, 메인 모티프, 컬러웨이 70

〈표 4-6〉 디자인 no.5의 컬러, 메인 모티프, 컬러웨이 74

〈표 4-7〉 디자인 no.6의 컬러, 메인 모티프, 컬러웨이 77

〈표 4-8〉 디자인 no.7의 컬러, 메인 모티프, 컬러웨이 82

그림목차

〈그림 2-1〉 심사정, '딱따구리' 24

〈그림 2-2〉 조속, '메마른 가지 위의 까치' 24

〈그림 2-3〉 이영윤, 화조도, 견본채색 24

〈그림 2-4〉 모란도 10폭 병풍 25

〈그림 2-5〉 모란 8곡 병풍, 19세기 전반 26

〈그림 2-6〉 모란도, 19세기 26

〈그림 2-7〉 모란도, 19세기 26

〈그림 2-8〉 산수화훼도, 신명연, 17세기 27

〈그림 2-9〉 연화도, 『꽃과 새 선비마음』 p.23 28

〈그림 2-10〉 연화도, 『KOREAN ArtBook』 p.396 28

〈그림 2-11〉 연화도, 『KOREAN ArtBook』 p.158 28

〈그림 2-12〉 연화도, 『꽃과 새 선비마음』 p. 54 28

〈그림 2-13〉 연화도, 『KOREANArtBook』 p. 171 28

〈그림 2-14〉 연화도, 『민화의 즐거움』 p. 33 28

〈그림 2-15〉 신사임당의 초충도, 15세기 30

〈그림 2-16〉 겸재 정선 초충도, 17세기 30

〈그림 3-1〉 모란화병도 35

〈그림 3-2〉 괴석모란도 35

〈그림 3-3〉 연지원앙도 지본채색 36

〈그림 3-4〉 연화도, 서울개인소장 36

〈그림 3-5〉 연화도, 10폭중1폭, 지본채색 서울개인소장 36

〈그림 3-6〉 어몽룡, 월매도, 국립중앙박물관 37

〈그림 3-7〉 조희룡,홍매화 국립중앙박물관 37

〈그림 3-8〉 조희룡,홍매대련도 개인소장 37

〈그림 3-9〉 소치 허련(小癡 許鍊, 1809-1892)작 국화(墨菊),22.2cm X32.5cm 지본 수묵 화정박물관 소장 39

〈그림 3-10〉 작가미상 화조도 19세기 후반 지본채색 가회민화박물관 소장 39

〈그림 3-11〉 작가미상 화조도10폭 병풍 19세기 후반 견본채색 호림박물관 소장 39

〈그림 3-12〉 화조도 8첩 병풍 중 1폭, 19세기, 〈조선시대 꽃그림, 민화 현대를 만나다〉, p.81 40

〈그림 3-13〉 화조도 10첩 병풍 중 1폭, 19세기, 〈조선시대 꽃 그림, 민화 현대를 만나다〉, p.94 40

〈그림 3-14〉 화조도, 19세기, 10첩 병풍 44

〈그림 3-15〉 화조도, 19세기 45

〈그림 3-16〉 화조도, 19세기 45

〈그림 3-17〉 연화도 10폭 병풍 중 4폭 45

〈그림 3-18〉 궁중모란도 46

〈그림 3-19〉 19세기, 화조도 46

〈그림 3-20〉 겸재, 화조화 48

〈그림 3-21〉 화조화 48

〈그림 3-22〉 화조화 48

〈그림 3-23〉 20세기, 화조화 49

〈그림 3-24〉 20세기, 화조화 49

〈그림 3-25〉 20세기, 화조화 50

〈그림 3-26〉 19세기, 화조도 51

〈그림 3-27〉 20세기, 화조도 51

〈그림 3-28〉 19세기, 화조도 51

〈그림 4-1〉 디자인 no.1 Flower Shower 56

〈그림 4-2〉 Flower Shower의 맵핑 이미지 59

〈그림 4-3〉 디자인 no.2 Pink Present 60

〈그림 4-4〉 Pink Present의 맵핑 이미지 63

〈그림 4-5〉 디자인 no.3 Lotus-leaf vine 64

〈그림 4-6〉 Lotus-leaf vine의 맵핑 이미지 67

〈그림 4-7〉 디자인 no.4 the Return of Flowers 68

〈그림 4-8〉 the Return of Flowers의 맵핑이미지 71

〈그림 4-9〉 디자인 no.5 Flower Marble 72

〈그림 4-10〉 Flower Marble의 맵핑 이미지 75

〈그림 4-11〉 디자인 no.6 Flower in Memory 76

〈그림 4-12〉 Flower in Memory의 맵핑 이미지 79

〈그림 4-13〉 디자인 no.7 Peonies in the Wilderness 80

〈그림 4-14〉 Peonies in the Wilderness의 맵핑 이미지 83

초록보기

 민화 작품 속 등장하는 소재는 인간의 소망과 같은 상징적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옛 선조들의 삶을 그린 그림으로 그 역사와 가치가 깊다. 특히 민화에 활용되는 다양한 소재들 중에서도 꽃은 상징적 의미와 더불어 아름다움을 가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현 사회에서도 꽃은 사람들에게 감정을 전달하는 정서 표현의 요소가 되면서 꽃을 활용한 디자인 또한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고 있다. 이와 더불어 텍스타일 디자인에서도 꽃이 중요한 연구 대상이나, 실제로 한국에서 유통되고 있는 플라워 디자인은 꽃의 종류나 디자인을 연출하는 분위기가 서양의 영향이 크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연구자는 꽃이라는 디자인 소재와 우리나라의 문화적 유산인 민화의 관계성을 파악하고 그 상징적 의미와 표현적 특성을 차용하여 꽃을 활용한 현대적인 서피스 디자인을 개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민화와 관련한 선행 연구 및 문헌을 통해 민화가 성행했던 사회적 양상에 대해 시기별로 고찰하였다. 이에 민화의 개념 정의 또는 분류 기준에 관한 연구 사례를 바탕으로 현 사회의 관점에서 민화를 인식하는 견해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꽃을 대표적인 소재로 하는 민화의 종류인 화훼화, 화조화, 초충도를 기준으로 민화의 특성과 꽃의 표현 특성에 대해 구도, 형태, 색채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따라서 본 분석 내용을 토대로 민화의 꽃을 활용한 서피스 디자인 표현 방식에 적합한 모티프를 분석하고 한국의 문화 정체성을 담은 디자인적 요소로 활용 가능함을 제안하였다.

연구의 결과, 모티브 분석과 관련하여 꽃이 연출되는 구도를 상승형 구도, 하강형 구도, 대칭형 구도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형태의 표현은 사실적, 단순적, 과장적 표현 방법을 활용하였음을 분석하였다. 색채에 관해서는 크게 무채색보다 유채색이, 한색보다 난색이 우세하게 활용된다는 공통적인 특징을 파악하였다. 이렇듯 디자인적 관점으로 분석한 민화 속 꽃의 표현 양상 및 특성을 토대로 서피스 디자인 모티프로서 민화의 꽃의 활용 가능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문화유산을 활용한 디자인에 대한 중요성과 가치를 제고할 수 있으며 꽃을 적용한 서피스 디자인에 한국적 감성을 부여하여 경쟁력 있는 디자인 개발 방안을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민화 작품의 일부를 분석 대상의 기반으로 하며, 이를 바탕으로 표현 특성을 분석하고 디자인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연구자의 주관적 견해가 포함된다는 제한점이 존재한다. 그러나 연구자는 민화의 주제나 소재의 상징을 분석하는 것을 넘어 서피스 디자인에서 중요한 소재로 평가되는 꽃을 주제로 민화에서 꽃이 표현되는 구도나 형태, 색채와 같은 디자인적 특성에 대해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꽃이라는 디자인 모티프를 활용할 때, 민화 이외의 다양한 영역을 서피스 디자인의 모티프에 접목할 수 있는 분석 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