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3
제1장 서론 15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5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18
제2장 헤테로토피아와 스피크이지 바에 대한 이론적 고찰 20
제1절 헤테로토피아의 개념과 이론 20
2.1.1. 헤테로토피아의 정의와 개념 20
2.1.2. 헤테로토피아의 특성이 나타난 작품과 건축 공간 26
제2절 스피크이지 바에 관한 이론적 고찰 33
2.2.1. 바의 역사 및 유형 33
2.2.2. 스피크이지 바의 출현 배경 36
2.2.3. 스피크이지 바의 헤테로토피아 공간 특성 38
제3절 스피크이지 바의 특성과 헤테로토피아 공간 개념의 연관성 41
제3장 헤테로토피아 공간 특성을 반영한 스피크이지 복합 바 대지 분석 및 프로그램 구성 43
제1절 헤테로토피아 공간 특성이 반영된 바 사례 조사 43
3.1.1. 헤테로토피아 공간 특성에 따른 사례 조사 항목 43
3.1.2. 국내/외 스피크이지 바 사례 조사 48
제2절 사이트 선정 및 분석 62
3.2.1. 사이트 선정 62
3.2.2. 사이트 개요 65
3.2.3. 사이트에 나타나는 헤테로토피아 특성 분석 66
제3절 헤테로토피아 개념에 의한 프로그램 및 공간 구성 69
3.3.1. 프로그램 구성 69
3.3.2. 프로그램에 따른 공간의 유형 분석 71
제4절 헤테로토피아 특성에 의한 공간 프로그램 구성 74
제4장 헤테로토피아 공간 특성을 반영한 스피크이지 복합 바 디자인 계획안 75
제1절 디자인 계획 75
4.1.1. 헤테로토피아 공간 특성에 따른 디자인 콘셉트 76
4.1.2. 디자인 프로세스 79
4.1.3. 헤테로토피아 관점에 의한 프로그램 배치 80
4.1.4. 동선 계획 82
제2절 배치도 83
제3절 평면도 84
4.3.1. 지하 1층 평면도: 갤러리 바 84
4.3.2. 1층 평면도: 라운지 바와 가든 바 85
4.3.3. 2층 평면도: 라이브러리 바의 하층 86
4.3.4. 3층 평면도: 라이브러리 바의 상층 87
4.3.5. 평면도 모형 88
제4절 단면도 89
제5장 헤테로토피아 공간 특성을 반영한 스피크이지 복합 바 내외부 디자인 91
제1절 외부 디자인 91
5.1.1. 헤테로토피아 특성을 표현하기 위한 재료 계획 91
5.1.2. 외부 전경 92
제2절 내부 디자인 95
5.2.1. 1층 라운지 바와 뮤직 바 95
5.2.2. 지하 1층 갤러리 바 97
5.2.3. 2, 3층 라이브러리 바 101
제3절 프레젠테이션 패널 103
제6장 결론 104
참고문헌 107
ABSTRACT 111
〈그림 2-1〉 헤테로토피아의 6가지 원리에 따른 공간 개념 26
〈그림 2-2〉 르네 마그리트의 그림 '겨울비' (좌), '리즈닝 룸' (우) 27
〈그림 2-3〉 마스셀 뒤샹과 그의 작품 '자전거 바퀴' 28
〈그림 2-4〉 쿤스트할 다이어그램 29
〈그림 2-5〉 미국 워싱턴 시애틀 중앙 도서관 30
〈그림 2-6〉 베르나르 츄미의 라 빌레뜨 공원 계획 31
〈그림 2-7〉 베르나르 츄미의 라 빌레뜨 공원 32
〈그림 2-8〉 미국 피츠버그 디스패치에서 초기에 사용된 'Speakeasy' 단어 38
〈그림 2-9〉 간판 없는 창고 같은 문 39
〈그림 2-10〉 이발소 뒤에 숨겨진 바(bar) 공간 39
〈그림 2-11〉 회전문처럼 돌아가는 바(bar)의 벽 39
〈그림 2-12〉 그림으로 위장한 비밀의 문 39
〈그림 2-13〉 헤테로토피아와 스피크이지 복합 바 공간의 연관성 42
〈그림 3-1〉 외부와 내부의 변화를 통해 나타난 이질적 특성 44
〈그림 3-2〉 다양한 빛과 거울로 표현한 환상적인 공간 44
〈그림 3-3〉 빛과 반투명한 패브릭 가벽을 통해 나타낸 모호한 공간 45
〈그림 3-4〉 감옥의 담 속 도서관에서 보이는 폐쇄적 공간 46
〈그림 3-5〉 스피크이지 복합 바 공간 특성이 반영된 공간 구성 요소 47
〈그림 3-6〉 '갤러리 바'의 외부와 내부 49
〈그림 3-7〉 클로드 모네의 '수련'을 모티브로 한 칵테일 '클로드 모네' 49
〈그림 3-8〉 'Chapel Bar' 외부와 내부 50
〈그림 3-9〉 Chapel Bar 의 옆에 위치한 교회 본당 건물 50
〈그림 3-10〉 중앙 홀의 모습 51
〈그림 3-11〉 내부의 디자인 요소들 53
〈그림 3-12〉 'The raines law room' 외부와 내부 54
〈그림 3-13〉 'The raines law room' Floor Plan 55
〈그림 3-14〉 각 공간별 다른 컨셉의 디자인 56
〈그림 3-15〉 '찰스 H.' 외부와 내부 58
〈그림 3-16〉 '찰스 H.' Floor Plan 59
〈그림 3-17〉 공간의 주 컨셉과 한국적 장식들 59
〈그림 3-18〉 기존 주거지역 및 주변 신도시 62
〈그림 3-19〉 천안 성성호수공원 일대 개발계획도 63
〈그림 3-20〉 천안 성성(1~4)지구 도시개발사업 토지이용계획도 64
〈그림 3-21〉 충남 천안시 서북구 성성동 117-1번지 일대 사이트 65
〈그림 3-22〉 신도시(좌)와 기존거주지역(우)의 도로 형태 66
〈그림 3-23〉 도로의 형태가 겹쳐지며 보이는 헤테로토피아 특성 67
〈그림 3-24〉 사이트 진입 방향 67
〈그림 3-25〉 사이트 남-북 방향 대지 고저차 68
〈그림 3-26〉 천안시 성성동 연령별 인구 분포도 69
〈그림 3-27〉 헤테로토피아 특성을 반영한 프로그램 중첩 구성 70
〈그림 3-28〉 단순 배치 71
〈그림 3-29〉 복수의 공간 중첩 71
〈그림 3-30〉 강한 단절 72
〈그림 3-31〉 단계적 단절 72
〈그림 3-32〉 불규칙한 공간 배치 72
〈그림 3-33〉 스피크이지 복합 바 공간 배치 콘셉트 73
〈그림 4-1〉 공간에 따른 프로그램 분류 75
〈그림 4-2〉 규칙 속에 놓여있는 자유로운 형태의 대지 77
〈그림 4-3〉 공간의 수직 배치 다이어그램 78
〈그림 4-4〉 의도하지 않은 진입 동선 78
〈그림 4-5〉 디자인 프로세스 다이어그램 79
〈그림 4-6〉 공간 및 프로그램 구성 다이어그램 81
〈그림 4-7〉 진입 동선 다이어그램 82
〈그림 4-8〉 배치도 83
〈그림 4-9〉 지하 1층 평면도 84
〈그림 4-10〉 1층 평면도 85
〈그림 4-11〉 2층 평면도 86
〈그림 4-12〉 3층 평면도 87
〈그림 4-13〉 겹쳐진 평면도 모형 88
〈그림 4-14〉 단면도 89
〈그림 4-15〉 수직 동선에 의한 헤테로토피아 공간 경험 90
〈그림 5-1〉 재료 계획 91
〈그림 5-2〉 서쪽에서 바라본 대지 92
〈그림 5-3〉 정원 전경 93
〈그림 5-4〉 건물 파사드 94
〈그림 5-5〉 1층 라운지 바 95
〈그림 5-6〉 1층 뮤직 바와 히든 도어 96
〈그림 5-7〉 책장 뒤 통로 97
〈그림 5-8〉 전화부스 아래 복도 97
〈그림 5-9〉 지하1층 갤러리 바 전경 98
〈그림 5-10〉 지하1층 갤러리 바: 그림 벽면 99
〈그림 5-11〉 지하1층 갤러리 바: 책장 벽면 99
〈그림 5-12〉 지하1층 갤러리 바: 거울 히든 도어와 남자 화장실 히든 도어 100
〈그림 5-13〉 지하1층 갤러리 바: 여자 화장실 히든 도어 100
〈그림 5-14〉 2층에서 올려다본 라이브러리 바 전경 101
〈그림 5-15〉 3층에서 내려다본 라이브러리 바 전경 101
〈그림 5-16〉 2층 바 102
〈그림 5-17〉 프레젠테이션 패널 103
21세기 현대 사회는 기술의 발전과 급격한 도시화로 인해 정보의 접근성이 높아져 일상생활을 더욱 편리하게 했지만, 사람들은 개인화 된 디지털 공간 속에서 소통과 독서와 같은 정적 활동이 사라지며 일상에서의 상호작용과 삶의 다양성을 잃어버리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의 다양하고 새로운 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공간적 혁신을 위해 헤테로토피아 개념을 적용한 비일상적인 공간을 제시하는데 있다.
많은 사람들이 상호작용을 위해 사회적 모임을 하는 장소로 바(Bar)를 선택한다. 바는 일상에서 벗어난 일탈의 경험을 제공하는 장소이기 때문이다. 그 중 스피크이지 바는 아는 사람만 찾아 갈 수 있는 은밀히 숨겨진 공간에 놓여있어 비일상적인 특징이 크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독서, 그림 및 음악 감상과 같은 다양한 생활예술 활동을 주류와 함께 즐기며 소통과 상호작용을 촉진하여 심적 안정과 즐거움을 취할 수 있는 색다른 공간으로 스피크이지 복합 바 디자인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미셸 푸코가 정의한 헤테로토피아를 고찰해 연구에 반영할 것이다. 미셸 푸코는 사회의 공간 구조에 대한 비판을 제기하면서, 이질적인 요소를 통해 공간의 의미를 재해석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며 헤테로토피아를 주 공간과는 '다른 공간'이라고 정의했다. 여러 예술 작품과 현대 건축물들을 통해 살펴본 현대 사회의 헤테로토피아 공간은 '비위계적 공간', '혼종된 공간', '은폐된 공간'으로 비일상 공간을 표현한다. 이러한 헤테로토피아 공간 개념을 스피크이지 복합 바 공간 특성과 연결 짓기 위해 실제 스피크이지 바 공간에서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 사례를 통해 분석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헤테로토피아의 세가지 공간 개념이 프로그램의 중첩, 분위기의 중첩, 무질서한 공간 구성, 그리고 은폐된 출입 동선을 통해 나타날 수 있다고 추론해 이를 설계에 반영했다.
비일상적인 새로운 공간으로서 장소에 대한 궁금증을 유발시키기 위해서는 프로젝트의 사이트에서부터 헤테로토피아 특성이 잘 묻어나야 한다. 따라서 사이트는 구획이 확실히 나뉘어 있는 정형화된 신도시 중심의 한 블록에 기존의 비정형적인 좁은 길과 집들이 남아있어 옛 모습이 섞여 있는 이질적인 모습을 지닌 구역으로 선택하였다. 헤테로토피아의 비위계적 공간 개념은 내부 공간을 수직과 수평으로 무질서하게 배치해 나타냈다. 혼종된 공간의 개념은 술과 함께 다양한 생활예술 프로그램을 프로젝트의 한 공간에 중첩시키고 공간마다 서로 다른 분위기로 연출해 나타내고자 했다. 마지막으로 은폐된 공간의 개념을 나타내기 위해 대지의 대부분을 지면 아래로 낮추어 숨기고 도심과는 다른 모습을 보여줄 수 있도록 정원으로 새롭게 디자인했다. 또한 각 공간으로 연결되는 출입구를 거울 또는 그림 등으로 위장하거나 잘 보이지 않도록 숨겨놓았다. 따라서 본 프로젝트를 통해 이질적으로 재해석된 헤테로토피아 공간을 보여주고자 했다.
도시의 중심에 위치한 본 프로젝트는 현실의 삶에 지친 사람들을 '현실 속 도피의 공간'이라는 개념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이 중첩된 비현실적인 공간에서 함께 즐길 수 있도록 이끈다. 따라서 스피크이지 복합 바 프로젝트는 술과 예술의 상호작용을 통한 새로운 비 일상 경험을 제공해 일상에서의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한다. 이를 통해 지역 커뮤니티가 강화되고, 다양한 인구 집단 간의 사회적 통합이 촉진될 것이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