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0

제1장 서론 12

제1절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2

제2절 연구방법 및 범위 14

제2장 아메리칸 액팅 메소드의 기원과 형성 및 발전 16

제1절 스타니슬랍스키 시스템의 변화 과정 16

1. 시스템 형성 전의 연기론 16

2. 스타니슬랍스키 초기 시스템 19

3. 스타니슬랍스키 후기 시스템 22

제2절 아메리칸 액팅 메소드의 형성 및 발전 25

1. 아메리칸 레보레터리 씨어터(American Laboratory Theatre) 25

2. 그룹 씨어터(Group Theatre) 27

제3장 스텔라 애들러의 연기방법론 32

제1절 상상력(Imagination) 33

제2절 주어진 상황(Given Circumstances) 36

제3절 신체적 행동(Physical Action) 39

제4절 응용과 창조 46

1. 바꾸어 말하기(Paraphrase) 46

2. 행동의 목록화(Building a Vocabulary of Action) 48

제4장 스텔라 애들러 제자들의 연기방법론 적용 연구 52

제1절 말론 브란도(Marlon Brando) 53

1.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A Streetcar Named Desire) 55

2. 〈워터프론트〉(On The Waterfront) 61

3. 〈대부〉(The Godfather) 67

제2절 마크 러팔로(Mark Ruffalo) 73

1. 〈스포트라이트〉(Spotlight) 75

2. 〈어벤져스〉(The Avengers) 시리즈 79

제5장 결론 85

참고문헌 88

ABSTRACT 92

표목차

〈표 1〉 스텔라 애들러의 작품 분석 과정 37

그림목차

〈그림 1〉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포스터 55

〈그림 2〉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56

〈그림 3〉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56

〈그림 4〉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57

〈그림 5〉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57

〈그림 6〉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57

〈그림 7〉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57

〈그림 8〉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59

〈그림 9〉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59

〈그림 10〉 〈워터프론트〉 포스터 61

〈그림 11〉 워터프론트 62

〈그림 12〉 실제 권투선수의 모습 62

〈그림 13〉 워터프론트 63

〈그림 14〉 워터프론트 63

〈그림 15〉 워터프론트 64

〈그림 16〉 워터프론트 64

〈그림 17〉 워터프론트 66

〈그림 18〉 워터프론트 66

〈그림 19〉 〈대부〉 포스터 67

〈그림 20〉 대부 69

〈그림 21〉 대부 69

〈그림 22〉 대부 70

〈그림 23〉 대부 70

〈그림 24〉 대부 70

〈그림 25〉 대부 72

〈그림 26〉 대부 72

〈그림 27〉 〈스포트라이트〉 포스터 75

〈그림 28〉 스포트라이트 76

〈그림 29〉 스포트라이트 76

〈그림 30〉 스포트라이트 77

〈그림 31〉 스포트라이트 78

〈그림 32〉 스포트라이트 78

〈그림 33〉 〈어벤져스〉 포스터 79

〈그림 34〉 〈어벤져스 : 에이지 오브 울트론〉 포스터 79

〈그림 35〉 모션캡쳐를 활용한 촬영 모습 80

〈그림 36〉 모션캡쳐를 활용한 촬영 모습 80

〈그림 37〉 모션캡쳐를 활용한 촬영 모습 81

〈그림 38〉 어벤져스 81

〈그림 39〉 모션 캡쳐를 활용한 촬영 모습 82

〈그림 40〉 어벤져스 : 에이지 오브 울트론 82

〈그림 41〉 어벤져스 83

〈그림 42〉 어벤져스 83

〈그림 43〉 어벤져스 83

〈그림 44〉 어벤져스 : 에이지 오브 울트론 83

〈그림 45〉 어벤져스 : 에이지 오브 울트론 83

〈그림 46〉 어벤져스 : 에이지 오브 울트론 83

초록보기

 본 연구는 스타니슬랍스키 시스템의 변화 과정, 아메리칸 액팅 메소드의 형성과 발전, 그리고 스텔라 애들러의 연기방법론에 대해 연구하였다. 또한 그녀의 제자들인 말론 브란도와 마크 러팔로의 출연작에서 그들의 연기를 분석해봄으로써 스텔라 애들러 연기방법론이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연구하였다.

아메리칸 액팅 메소드는 스타니슬랍스키 시스템을 미국적 풍토에 맞게 변화시키고 재정립한 사실적인 연기를 추구하는 연기론이다. 아메리칸 액팅 메소드의 대표적인 연기 교사로는 리 스트라스버그, 스텔라 애들러, 샌포드 마이즈너로 잘 알려져 있으며, 리 스트라스버그는 스타니슬랍스키 초기 시스템, 스텔라 애들러와 샌포드 마이즈너는 스타니슬랍스키 후기 시스템에 영향을 받았다. 스텔라 애들러는 그룹 씨어터에서 단원으로 활동하던 당시 리 스트라스버그의 '정서 기억'을 활용한 훈련에 반감을 가지고 있었고, 이에 스타니슬랍스키를 찾아가 그에게 직접 가르침을 받았다. 이후 스타니슬랍스키 후기 시스템인 '신체적 행동의 방법'과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상상력', '주어진 상황', '신체적 행동'을 주요 요소로 삼은 자신의 연기방법론을 창안했다. 애들러는 인물 구축의 과정에서 텍스트를 바탕으로 상상력의 활용과 지적 작업을 통해 극중 인물의 과거, 현재, 사회적 계급, 주변 인물들과의 관계 등의 주어진 상황을 구체화함으로써 정당화를 이끌어내 최종적으로 신체적 행동으로 표현하는 것을 목표로 둔다.

영화에서 배우의 신체적 행동은 중요한 요소이다. 관객은 극중 인물의 신체적인 표현을 통해서 극중 상황, 인물의 성격과 태도, 가치관, 감정 등을 유추하기 때문이다. 모든 인간은 살아온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각 상황에서 그들의 행동이 다르게 나올 수밖에 없다. 극중 인물 또한 살아온 환경이 각기 다르기 때문에 배우는 작품 속 주어진 상황을 바탕으로 그들의 삶을 창조해야한다. 이 과정에서 작가는 대본 속에 인물의 모든 것을 제시해주지 않기 때문에 배우는 작가가 제시한 텍스트를 바탕으로 상상력과 지적 작업을 통해 극중 인물의 삶을 창조하여 인물의 목적과 감정, 내적 상태를 최종적으로 행동으로 표현해야 한다. 배우의 궁극적인 목표는 극중 인물의 삶을 사실적이고 진실되게 표현하는 것이고 이는 절대 변하지 않는다. 또한 배우가 극중 인물로서 존재하기 위해서는 작품과 인물의 주어진 상황에 대한 구체화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상상력', '주어진 상황', '신체적 행동'을 주요 요소로 삼은 스텔라 애들러의 연기방법론은 캐릭터를 사실적이고 일관성있게 표현함에 있어 효과적인 연기방법론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말론 브란도와 마크 러팔로가 다양한 인물 구축을 위해 실제로 스텔라 애들러 연기방법론을 적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그녀의 연기방법론이 영화 연기에서 사실적이고 입체적인 인물을 구축하기 위해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고, 앞으로도 애들러의 훈련법 및 영화 연기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라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