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0

Ⅰ. 서론 11

1. 연구의 필요성 11

2. 연구의 목적 및 연구 가설 15

3. 용어의 정의 16

1) 합창중심의 치료적 음악활동 16

2) 주의집중력 16

3) 사회성 17

4) 경도지적장애 성인 17

Ⅱ. 이론적 배경 19

1. 지적장애의 개요 19

1) 지적장애의 정의 19

2) 지적장애의 심각도 및 특성 21

2. 주의집중력 개요 23

1) 주의집중력의 정의 및 중요성 23

2) 경도지적장애 성인의 주의집중력 24

3. 사회성 개요 26

1) 사회성의 정의 및 중요성 26

2) 경도지적장애 성인의 사회성 27

4. 합창중심의 치료적 음악활동 개요 30

1) 합창의 정의와 기능 30

2) 합창중심의 치료적 음악활동의 정의와 특징 31

3) 합창 중심의 치료적 음악활동 관련 선행연구 32

Ⅲ. 연구방법 35

1. 연구대상 35

2. 연구설계 37

3. 측정도구 38

1) 주의집중력 측정도구 38

2) 사회성 측정도구 39

4. 연구 절차 40

5. 합창중심의 치료적 음악활동 42

1) 합창중심의 치료적 음악활동 개요 42

2) 합창곡 선정 기준 43

3) 회기별 프로그램 내용 및 치료적 근거 44

6. 자료 분석 50

Ⅳ. 연구 결과 51

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동질성 검증 51

2. 합창중심의 치료적 음악활동 중재효과 분석 결과 53

1) 주의집중력 점수 분석 결과 53

2) 사회성 점수 분석 결과 55

3) 주의집중력과 사회성 유지 분석결과 57

Ⅴ. 결론 및 논의 59

1. 결론 및 논의 59

2. 제언 63

참고문헌 65

부록 9

〈부록 1〉 주의집중력 측정도구 73

〈부록 2〉 사회성 측정도구 74

〈부록 3〉 연구 참여 동의서 76

〈부록 4〉 1회기 지도안 77

〈부록 5〉 2회기 지도안 81

〈부록 6〉 3회기 지도안 84

〈부록 7〉 4회기 지도안 86

〈부록 8〉 5회기 지도안 88

〈부록 9〉 6회기 지도안 90

〈부록 10〉 7회기 지도안 92

〈부록 11〉 8회기 지도안 94

〈부록 12〉 9회기 지도안 96

〈부록 13〉 10회기 지도안 98

ABSTRACT 99

표목차

〈표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6

〈표 2〉 연구 설계 모형 37

〈표 3〉 주의집중력 척도의 하위영역 문항 38

〈표 4〉 사회성 척도의 하위영역 문항 39

〈표 5〉 합창중심의 치료적 음악활동 프로그램 46

〈표 6〉 경도지적장애 성인의 주의집중력에 대한 사전 동질성 검증 51

〈표 7〉 경도지적장애 성인의 사회성에 대한 사전 동질성 검증 52

〈표 8〉 실험집단 내 주의집중력 사전-사후 점수 비교 53

〈표 9〉 두 집단간 주의집중력 사후 점수 비교 54

〈표 10〉 실험집단 내 사회성 사전-사후 점수 비교 55

〈표 11〉 두 집단 간 사회성 사후 점수 비교 56

〈표 12〉 실험집단 내 주의집중력 사후-3주 후 점수 비교 57

〈표 13〉 실험집단 내 사회성 사후-3주 후 점수 비교 58

초록보기

 본 연구는 합창중심의 치료적 음악활동이 경도지적장애 성인의 주의집중력과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실험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경도지적장애 진단을 받은 20세 이상 35세 이하의 성인이며, 참여자는 총 30명으로 실험집단 15명, 통제집단 15명으로 배정하였다. 사전검사 후 실험집단에는 주 1회, 회기 당 50분, 총 10회기로 구성된 합창중심의 치료적 음악활동 프로그램을 제공하였고, 통제집단에는 관련 중재를 제공하지 않았다. 10주 후의 실험이 종료되고 1주 후 사후검사를, 실험이 종료되고 3주 후 추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도구는 지적장애인의 주의집중력을 측정하기 위해 Conners(1970)가 제작하고 오경자, 이혜련(1989)이 번안한 주의집중력 척도를 사용하였고, 사회성을 측정하기 위해 Wasserman와 Plutchik(1973)가 개발하고 김수진(1997)이 번안한 사회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합창중심의 치료적 음악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주의집중력의 사전-사후점수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으며 주의집중력의 하위영역인 주의산만, 충동성과 과잉행동 점수에서도 모두 유의미하게 변화하였다. 둘째, 합창중심의 치료적 음악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사회성 사전-사후점수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으며 사회성의 하위영역인 의사소통, 사회적 기술 점수에서도 모두 유의미하게 변화하였다. 셋째, 합창중심의 치료적 음악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주의집중력과 사회성 향상의 효과가 유지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합창중심의 치료적 음악활동이 경도지적장애 성인의 주의집중력과 사회성 향상에 효과적인 중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경도지적장애 성인의 단 회기 합창프로그램으로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