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8

Ⅰ. 서론 10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0

2. 선행 연구 고찰 13

3. 연구의 방법 16

Ⅱ. 이론적 배경 17

1. 공연예술 17

1) 공연예술의 개념과 특징 17

2. 한국의 전통춤 20

1) 근대 전통춤의 역사적 개요 20

2) 전통춤의 특성과 미(美) 22

Ⅲ. 코로나 팬데믹 시기의 공연예술 26

1. 온라인 공연의 개념과 동향 26

1) 공간 28

2) 시간 31

3) 라이브니스 34

2. 전통춤의 온라인 공연 사례와 현황 38

1) 2020년 전통춤의 온라인 공연 현황 38

2) 2021년 전통춤의 온라인 공연 현황 50

3) 2022 전통춤의 온라인 공연 현황 60

3. 전통춤 온라인 공연의 사례 분석 62

1) 전통춤의 온라인 공연 횟수 62

2) 전통춤의 온라인 공연 플랫폼 63

3) 전통춤의 온라인 공연방식 64

4) 전통춤의 온라인 공연 주최 65

5) 전통춤의 온라인 공연 조회수 66

Ⅳ. 전통춤의 온라인 공연의 특성과 발전 방안 76

1. 전통춤의 온라인 공연의 특성 76

2. 발전 방안 77

1) 전통춤 온라인 공연의 플랫폼 구축 77

2) 온라인 공연의 시공간 활용 80

3) 전통춤의 온라인 공연의 교육 및 홍보 연계 활용 85

Ⅴ. 결론 87

Ⅵ. 참고문헌 92

단행본 92

학위논문 92

학술지 93

기타 94

ABSTRACT 96

표목차

〈표 1〉 공연예술의 특징 19

〈표 2〉 전통춤의 온라인 공연 상연 현황 1 (2020.01.20.~2020.12.31.) 39

〈표 3〉 전통춤의 온라인 공연 상연 현황 2 (2021.1.1.~2021.12.31) 50

〈표 4〉 전통춤의 온라인 공연 상연 현황 3 (2022.1.1~2022.04.18) 60

〈표 5〉 2020년 전통춤의 온라인 공연 일시별 조회수 66

〈표 6〉 2021년 전통춤의 온라인 공연 일시별 조회수 71

〈표 7〉 2022년 전통춤의 온라인 공연 일시별 조회수 75

〈표 8〉 전통춤의 온라인 공연을 위한 촬영 기법 84

그림목차

〈그림 1〉 국립현대무용단의 혼자 추는 춤 28

〈그림 2〉 아리아나 그란데의 버추얼 콘서트 30

〈그림 3〉 가장 가까운 극장 상영작 32

〈그림 4〉 유튜브 실시간 스트리밍과 채팅 36

〈그림 5〉 연도별 공연 횟수 62

〈그림 6〉 연도별 이용 플랫폼 63

〈그림 7〉 연도별 공연 방식 64

〈그림 8〉 코로나 팬데믹 시기의 전통춤 온라인 공연 주최 65

초록보기

 이 연구는 온라인 전통춤 공연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온라인 전통춤 공연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온라인 전통춤 공연이 어떻게 진행되어 왔는지 살펴보았으며, 그 기간은 COVID-19(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국내 첫 감염자 발생일인 2020년 1월 20일부터 사회적 거리 두기 전면 해제일인 2022년 4월 18일까지로 설정하였다. 코로나 팬데믹 3개년 동안 전통춤 장르가 내놓은 온라인 공연은 2020년도 171회, 2021년도 159회, 2022년도 20회였다.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항할 방역체계가 마련되지 않았던 2020년이 가장 많은 온라인 공연이 상연되었고 방역체계가 점차 마련될수록 그 횟수는 줄어들었다. 전통춤 온라인 공연이 상연된 플랫폼은 유튜브, 네이버TV, 주최기관의 홈페이지, 페이스북, 인스타그램이었다. 이 중 유튜브는 지난 모든 온라인 공연에 사용되었다. 이 다음으로 많이 사용된 플랫폼은 네이버 tv로 2020년 30회, 2021년 21회 사용되었다. 나머지로는 2020년 주최 측 홈페이지가 1회, 페이스북이 3회, 인스타그램이 2회 사용되고, 2021년 주최 측 홈페이지가 6회, 페이스북은 1회, 인스타그램은 1회 사용되었다. 2022년도는 유튜브만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공연 방식은 생중계, 녹화중계, 녹화공개가 있었다. 2020년도에 생중계는 78건, 녹화중계는 20건, 녹화공개는 57건이었다. 2021년도에 생중계는 70건, 녹화중계는 13건, 녹화공개는 25건이었다. 2022년도에는 생중계는 9건 녹화중계는 0건, 녹화공개는 11건이었다. 전통춤 중심으로 조사한 것을 바탕으로 전통춤 온라인 공연의 활성화를 위한 발전 방안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전통춤 장르만의 플랫폼을 개설해야 한다. 전통춤 플랫폼은 전통춤과 관련된 콘텐츠를 한눈에 볼 수 있어 편리성을 가져온다. 또한 플랫폼 내의 결제 시스템을 통하여 유료 가입을 이끌어 안정적으로 관객 개발을 할 수 있다. 지속적인 온라인 공연은 자료 구축도 가능하게 한다. 온라인 공연 플랫폼의 지속적인 운영을 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재정이 안정적인 국공립 단체가 플랫폼을 개설해야 할 것이다.

둘째, 온라인 공연의 시공간 활용이다. 온라인 전통춤 공연은 시공간의 제약에서 벗어나 전통춤 본연의 현장성을 도출해 내는 연출이 가능하다. 전통춤은 과거에 사방의 관객들이 관람하던 춤으로 각각 다른 각도의 멀티뷰를 제공한다면 전통춤의 과거 라이브니스를 재현할 수 있다. 시공간의 제약에서 벗어난 온라인 공연은 무용수 이외의 또 다른 볼거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전통춤이 본래 추어지던 장소에서 공연이 진행되어야 한다. 온라인 공연의 라이브니스는 플랫폼을 통해 시공간을 함께하며 경험할 수 있다. 또한 전통춤의 미적 특성을 담을 수 있도록 전통춤에 대한 면밀한 고찰을 통한 촬영과 편집이 필요하다.

셋째, 온라인 전통춤 공연의 교육 및 홍보 연계 활용이다. 전통춤 온라인 공연은 시공간의 제약에서 벗어나기에 교육의 현장에서도 활용할 수 있고, 공연 영상을 활용하여 전통문화 홍보로도 쓰일 수 있다. 조회수를 통해 알아본 결과, 전통춤의 화려함이 돋보이는 공연 영상이 대중에게 반응 좋았으므로 공연 영상을 숏폼 형식으로 재편집하여 활용한다면 온 · 오프라인 공연으로 관객을 유입할 수 있는 홍보용 영상이 될 것이다. 또한 온라인 공연은 전통문화를 2차 가공하려는 이들을 위해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전 세계적으로 알릴 수 있는 영상이 제작될 것이라 기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