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7

제1장 서론 9

제1절 연구 목적 9

제2절 선행 연구 분석 12

1. 한국의 모옌 연구 현황 13

2. 중국의 모옌 연구 현황 18

제3절 연구 대상과 방법 27

제2장 모옌 장편소설의 인물원형 분석 36

제1절 자아 정체성 찾기: 페르소나와 그림자 36

1. 『열세 걸음十三步』 : 페르소나와 자아 정체성 찾기 36

2. 『술의 나라酒国』 : 그림자의 의식화와 자아 정체성 찾기 53

3. 『사십일포四十一炮』 : 페르소나의 확립과 그림자의 의식화 71

제2절 집단 무의식의 의식화: 아니마와 아니무스 76

1. 『탄샹싱檀香刑』 : 아니마와 아니무스의 상호투사 76

2. 『티엔탕 마을 마늘종 노래天堂蒜薹之歌』 : 일방적 아니마의 투사 89

3. 『풍유비둔豐乳肥臀』 : 끝없는 아니무스 찾기 93

제3절 대극의 합일과 개성화 과정: 자기실현 99

1. 『붉은 수수밭 가족红高粱家族』 : 통과 의례를 통한 자기 실현의 길 99

2. 『생사피로生死疲劳』 : 환생 모티프를 통한 자기실현의 길 111

3. 『개구리蛙』 : 환각과 환상을 통한 자기실현의 길 131

제3장 모옌 장편소설 속 상징 의미 139

제1절 색채의 상징적 의미와 감각성 139

1. 자연 색채의 사용 139

2. 보색 대비의 활용 147

3. 화려한 색채의 향연 151

제2절 무생물의 상징적 의미와 욕망 156

1. 대포(박격포)와 고기의 의미 156

2. 술과 권총의 의미 162

3. 황태후의 염주, 호랑이 수염 168

제3절 자연물의 상징적 의미와 생명력 171

1. 하늘 속 천체: 해, 달, 별 171

2. 땅위의 대자연: 강, 대지, 호수 184

3. 기상 현상: 비, 안개, 무지개 189

제4절 동식물의 상징적 의미와 민간성 200

1. 인간 본성의 발현으로서의 동물 상징 201

2. 숭배하는 존재로서의 식물 상징 218

제4장 결론 231

참고문헌 234

ABSTRACT 250

초록보기

 모옌은 2012년 노벨상을 수상하면서 세계적인 작가로 인정받았다. 그의 작품은 중국의 현·당대 인물 군상들에 대한 세밀한 인성 서사를 특징으로 하고 있다. 특히 부조리한 사회 속에서 고군분투하는 인물 형상이 자기 자신을 찾아가는 자기화 과정에서 전형적 인물의 형상화와 상징을 잘 운용하고 있다.

본 논문은 모옌 작품에 나타나는 개성화 과정과 자기실현의 양상을 보이는 인물 원형을 분석하고자 한다. 융의 원형 개념을 통해 인물들이 어떻게 다양한 원형을 드러내면서 자기실현을 진행하는지 주목한다. 또한 작품에 나타나는 자기실현의 모습을 보여 주는 상징 표현을 고찰하면서, 상징이 드러내는 무의식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제2장에서는 모옌이 창조한 인물들에게서 어떠한 원형들이 드러나는지 살펴보았다. 인물 원형을 통해 인물들이 자아 정체성을 어떻게 찾아가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헤 융의 페르소나와 그림자 원형의 개념을 활용하였다. 또 인물들의 집단 무의식의 의식화 과정을 아니마와 아니무스의 투사 개념을 통해 분석하였다. 마지막에는 인물들이 어떻게 자기 자신이 되는 개성화 과정을 거치는지 주목하였으며, 이러한 분석을 통해 인물의 자기실현 과정과 그 의미를 사유할 수 있었다. 제3장에서는 상징의 표현 속에 나타나는 무의식적 의미에 대해 고찰하였다. 색채와 무생물, 자연물, 동식물 상징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모옌 작품 속에서 드러나는 감각성과 욕망, 생명력과 민간성의 특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모옌 작품 속에는 일상적 현실과 환상적 비현실이 신화적 인물 원형과 상징 원형을 통해 발현되고 있다. 이러한 인물과 상징을 통해 때로는 부조리하고 때로는 유토피아적인 양가적 공간인 가오미 둥베이향이 창조되었다. 이 농촌을 배경으로 도시와 대비되는 공간들을 묘사하면서 그 속에서 부표하고 있는 인간의 삶과 인성에 대한 통찰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그는 고향과 인간의 관계성에 천착하면서 시간이 갈수록 순수함을 잃어가는 인간의 퇴락에 주목하며 순종의 인간들이 내재하고 있는 건강한 생명력을 서사화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