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2

Ⅰ. 서론 14

1. 연구 목적 14

2. 연구 범위 및 연구 방법 15

Ⅱ. 본론 17

1. 19세기 말 ~ 20세기 초의 스페인 음악 17

1) 스페인 음악의 역사적 배경과 흐름 17

2) 음악적 특징 17

2. 그라나도스(1867-1916)에 관하여 22

1) 그라나도스의 생애 22

2) 그라나도스의 음악적 특징 26

3. 《Canciones Amatorias》 작품 개요 35

1) 작품개요 35

2) 시의 형식 37

3) 작사가의 특징 39

4) 곡 분석 41

Ⅲ. 결론 118

Ⅳ. 참고문헌 121

ABSTRACT 124

표목차

〈표 1〉 피아노 모음집 《Danzas Españolas Op.37》의 곡과 특징 27

〈표 2〉 《Colección de Tonadillas》의 12개 곡 28

〈표 3〉 피아노 모음집《Goyescas》의 곡명과 특징 31

〈표 4〉 《Canciones Amatorias》와 《Goyescas》 민족주의 특징 32

〈표 5〉 《Canciones Amatorias》와 《Goyescas》에 나타난 낭만주의 특징 33

〈표 6〉 《Canciones Amatorias》의 작사와 시의 형식 36

〈표 7〉 〈Mira que soy niña〉의 가사와 한국어 번역 41

〈표 8〉 원시와 가사의 비교 42

〈표 9〉 그라나도스의 〈Mira que soy niña〉 가사 구조 43

〈표 10〉 〈Mira que soy niña〉의 형식 구조 44

〈표 11〉 〈Llorad, corazón, que tenéis razón〉의 가사와 한국어 번역 52

〈표 12〉 원시와 가사의 비교 53

〈표 13〉 그라나도스의 〈Llorad, corazón, que tenéis razón〉 가사의 구조 54

〈표 14〉 〈Llorad,corazón,que tenéis razón〉의 형식 구조 55

〈표 15〉 〈No lloréis, ojuelos〉의 가사와 한국어 번역 62

〈표 16〉 원시와 가사의 비교 63

〈표 17〉 그라나도스의 〈No lloréis, ojuelos〉 가사의 구조 64

〈표 18〉 〈No lloréis, ojuelos〉 형식의 구조 65

〈표 19〉 〈Iban al pinar〉의 가사와 한국어 번역 74

〈표 20〉 원시와 가사의 비교 75

〈표 21〉 그라나도스의 〈Iban al pinar〉 가사의 구조 76

〈표 22〉 〈Iban al pinar〉의 형식 구조 77

〈표 23〉 〈Descúbrase el pensamiento〉의 가사와 한국어 번역 86

〈표 24〉 원시와 가사의 비교 87

〈표 25〉 그라나도스의 〈Descúbrase el pensamiento〉 가사의 구조 88

〈표 26〉 〈Descúbrase el pensamiento〉의 형식 구조 89

〈표 27〉 〈Mañanica era〉의 가사와 한국어 번역 98

〈표 28〉 원시와 가사의 비교 99

〈표 29〉 그라나도스의 〈Mañanica era〉 가사의 구조 100

〈표 30〉 〈Mañanica era〉의 형식 구조 101

〈표 31〉 〈Gracia mía〉의 가사와 한국어 번역 108

〈표 32〉 원시와 가사의 비교 109

〈표 33〉 그라나도스의 〈Gracia mía〉 가사의 구조 110

〈표 34〉 〈Gracia mía〉의 형식 구조 111

악보목차

[악보 1] 5 번째 곡 〈Andaluza〉 기타의 푼테아도 주법 모방 27

[악보 2] 〈La maja de Goya〉 민족주의 특징(마디1-4) 29

[악보 3] 〈Allegro de Concierto〉 낭만주의 특징 30

[악보 4] 〈Mira que soy niña〉의 전주(마디 1-10) 45

[악보 5] 〈Mira que soy niña〉 박자의 변화(마디 11-19) 46

[악보 6] 〈Mira que soy niña〉 박자의 변화(마디 21-26) 47

[악보 7] 〈Mira que soy niña〉 푼테아도 기법의 사용(마디 31-32) 48

[악보 8] 〈Mira que soy niña〉 마디 49-53 49

[악보 9] 〈Mira que soy niña〉의 후주(마디 109-102) 50

[악보 10] '¡Ay, ay, ay, que me moriré!'의 비교 51

[악보 11] 〈Llorad, corazón, que tenéis razón〉의 전주(마디 1-2) 55

[악보 12] 〈Llorad, corazón, que tenéis razón〉의 전조(마디 7-10) 56

[악보 13] 〈Llorad, corazón, que tenéis razón〉의 도약 진행(마디 11-13) 57

[악보 14] 〈Llorad, corazón, que tenéis razón〉의 마디 17-24 58

[악보 15] 〈Llorad, corazón, que tenéis razón〉의 마디 25 59

[악보 16] 〈Llorad, corazón, que tenéis razón〉의 마디 30-34 59

[악보 17] 'dolor(고통)'의 반복(마디 42-46) 60

[악보 18] 〈Llorad corazón, que tenéis razón〉의 후주(마디 47-51) 61

[악보 19] 〈No lloréis, ojuelos〉의 전주(마디 1-7) 66

[악보 20] 〈No lloréis, ojuelos〉의 마디 8-14 68

[악보 21] 〈No lloréis, ojuelos〉의 마디 15-16 69

[악보 22] 〈No lloréis, ojuelos〉의 마디 17-20 70

[악보 23] 〈No lloréis, ojuelos〉의 마디 21-24 71

[악보 24] 〈No lloréis, ojuelos〉의 마디 25-28 72

[악보 25] 〈Iban al pinar〉의 전주(마디 1-4) 78

[악보 26] 〈Iban al pinar〉의 마디 5-13 79

[악보 27] 〈Iban al pinar〉의 선율 반복(마디 18-22) 80

[악보 28] 〈Iban al pinar〉의 마디 29-32 81

[악보 29] 〈Iban al pinar〉의 마디10-12와 마디 32-35의 비교 82

[악보 30] 〈Iban al pinar〉의 반주 푼테아도 기법 모방(마디 38-40) 83

[악보 31] 〈Iban al pinar〉의 마디 23 84

[악보 32] 〈Iban al pinar〉의 후주(마디 40-46) 85

[악보 33] 〈Descúbrase el pensamiento〉의 전주(마디 1-3) 89

[악보 34] 〈Descúbrase el pensamiento〉의 마디 5-8 90

[악보 35] 〈Descúbrase el pensamiento〉의 마디 14-18 91

[악보 36] 〈Descúbrase el pensamiento〉의 마디 26-31 92

[악보 37] 〈Descúbrase el pensamiento〉의 마디 26-31 93

[악보 38] 〈Descúbrase el pensamiento〉의 화음 사용(마디 41-45) 94

[악보 39] 〈Descúbrase el pensamiento〉의 마디 52-56 95

[악보 40] 〈Descúbrase el pensamiento〉의 마디 57-66 96

[악보 41] 〈Descúbrase el pensamiento〉의 후주(마디 67-76) 97

[악보 42] 〈Mañanica era〉의 전주(마디 1-4) 102

[악보 43] 〈Mañanica era〉의 마디 5-6 102

[악보 44] 〈Mañanica era〉의 마디 12-15 103

[악보 45] 〈Mañanica era〉의 마디 21-27과 36-37 비교 105

[악보 46] 〈Mañanica era〉의 마디 48-53 106

[악보 47] 〈Mañanica era〉의 후주(마디 58-63) 107

[악보 48] 〈Gracia mía〉의 전주(마디 1-2) 112

[악보 49] 〈Gracia mía〉의 박자 변화(마디 5-9) 113

[악보 50] 〈Gracia mía〉의 마디 13-17 114

[악보 51] 〈Gracia mía〉의 마디 42-46 115

[악보 52] 〈Gracia mía〉의 전조(마디 47-51) 116

[악보 53] 〈Gracia mía〉의 마디 63-68 117

초록보기

 엔리케 그라나도스(Enrique Granados, 1867-1916)는 19세기 말 ~ 20세기 초에 활약했던 스페인 민족주의 음악의 대표 작곡가이다. 그는 프랑스 유학 후 낭만주의 양식의 음악을 선호하게 되었으며 민족주의 음악뿐만 아니라 낭만주의 음악을 작곡했고, 그의 작곡 후기에는 낭만주의 양식의 큰 틀 안에서 스페인 민속 양식을 혼합하여 작곡하였다.

《Canciones Amatorias》(사랑의 가곡집)는 그라나도스의 후기 작품으로 1914년에서 1915년에 작곡되었고 7개의 가곡으로 구성되어있다.

본 논문은 이 가곡집에 실린 가곡들의 가사와 음악적 특징, 이 두 가지 측면을 중점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가사의 내용 및 민속 형식과 특징들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그라나도스가 민족주의의 양식 중 어떤 특징들을 계승하였고 당시 유럽 작곡가들이 사용했던 양식들 중 어떤 특징들을 사용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 작품의 가사는 스페인 황금기 시대에 활약했던 시인들을 포함해 18세기 이전에 사랑을 주제로 하여 쓴 시집에 실려 있는 시들로 그라나도스는 그 수많은 시들 중 스페인 민속형식인 비얀시코(Villancico), 깐시온(Canción) 그리고 로만세(Romance) 형식에 따라 쓴 시 7개를 선정하여 편곡하였다.

이 가곡들은 공통적으로 낭만주의의 핵심이 되는 사랑을 주제로 하고 있으나 시에 등장하는 주인공들이 남자, 소녀 또는 여인, 여신 등으로 다양하듯이 사랑의 종류 또한 다양하여 사랑의 두려움, 사랑의 배신, 사랑의 질투, 우정, 짝사랑의 아픔, 진실 된 사랑, 여인에 대한 사모함 등 다양한 주제의 사랑을 다루고 있다.

《Canciones Amatorias》는 낭만주의 양식에 융합된 스페인 민속양식으로 그라나도스는 낭만주의 음악에 영향을 받아 장단조로 작곡을 했으며 시의 내용과 정경이 자아내는 분위기를 중시하여 성악 부분과 피아노 반주 부분을 대등하게 다루어 가곡을 표현하였다. 서정적인 선율, 잦은 전환의 가곡의 조성, 슈베르트의 〈Erlkönig〉(마왕)에서처럼 레치타티보로 끝나는 극적인 마무리, 르네상스 때부터 사용하여 낭만주의 시대에도 계속 사용되었던 피카르디 종지를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민족주의 양식으로는 스페인 민속 음악과 깊이 관련되어 있는 기타 주법을 반주 부분에서 모방했으며 장식음과 셋잇단음표, 다섯잇단음표, 증 2도 화성, 프리지안 선법, 플라멩코 특유의 단조의 멜리스마, 민속춤을 연상케 하는 형식의 가곡, 리듬의 강조와 반복 등의 요소들을 사용하였다.

《Canciones Amatorias》는 서정적 가사와 낭만주의, 민족주의 양식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예술가곡으로써 스페인 민속 음악 특징과 색체가 대체적으로 음악전반에 걸쳐 잘 나타나 있다. 그라나도스의 이러한 작곡의 특징은 스페인 음악 작품들에 다양성을 더해주어 가곡만이 아니라 스페인 음악 작품 세계에 다양함을 더 해 주었다.